[include(틀:대한민국의 공유 킥보드 서비스)]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3>
'''{{{#000 {{{+1 씽씽}}}[br] XINGXING}}}''' || ||<-3> [[파일:xingxing_logo.png|width=300]] || ||<-2> '''소유자''' ||<|2> (주) 피유엠피 || ||<-2> '''운영자''' || ||<-2> '''서비스 시작일''' || 2019년 7월 || ||<|4> '''공식 링크''' || ||<-2> [[http://xingxingmobility.com/|공식 홈페이지]] || ||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xingxingapp|다운로드]] || || [[iOS|[[파일:iOS 로고.svg|height=16]]]] || [[https://apps.apple.com/kr/app/id1460221520|다운로드]] || || ''' 관련 링크''' ||<-2> [[https://www.youtube.com/channel/UCbIWkNvuyIZhZG5b-WbMWg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xingxing.mobilit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xingxing_mobilit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blog.naver.com/xingxing_mobilit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피유엠피에서 운영하는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 2019년 5월 강남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했고, 7월부터 정식 런칭하였다.[[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5/285487/|#]] '씨앗'이라는 마일리지가 추가되어 걷기를 통해 모은 '씨앗'으로 킥보드 쿠폰을 구매할 수 있다. 2023년 10월엔 PM 주차장 겸 사이니지 서비스인 '딱대' 서비스 또한 런칭했음을 신사업 본부장의 링크드인을 통해 공개하였다. === 전동킥보드 === || [[파일:씽씽 1세대.jpg|width=100%]] || || 씽씽의 2세대 모델(바이사이클) || || [[파일:씽씽 Q Series.png |width=100%]] || || 씽씽 Q1([[Nanjing Kuailun Intelligent Technology|퀵휠]]) ||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약 40km. 2021년 6월 기준, 거의 모든 공유 킥보드 업체에서 [[세그웨이]]-[[나인봇]] 맥스 플러스 모델을 사용중인 반면, 씽씽은 자체 킥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초창기 1세대의 경우 타 공유 킥보드가 사용하는 보급형 샤오미 모델에 비해 매우 안정적이고 주행 경험이 월등히 높았으나, 타 업체들이 세그웨이의 고급형 모델을 도입하는 2020년 여름을 기준으로 보아 타 업체들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 주행 경험을 받는 편이다. 2세대부터는 하단에 RGB [[LED]] 조명이 장착된 채로 나와서 킥보드 이용 중에는 전조등. 후미등과 함께 아래쪽으로도 화려한 불빛이 비친다. [[독일]]에서 주행테스트를 통과하였다.[[https://platum.kr/archives/128096|#]] 2022년 말부터는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고, 강남을 중심으로 배포되었다. 튼튼한 바디감으로 안정감이 보이고 킥보드 거치를 위한 스텐드도 양쪽으로 되어 있어 균형감있게 세울수 있다. 맥스 플러스 모델는 출발시 급발진을 하는 느낌을 주지만 씽씽의 신형 모델은 적당한 속도로 출발됨이 느껴진다. 다만 사람에 따라서 호불호는 있을 수 있다. === 전기자전거 === [include(틀:다른 뜻1, from=씽씽바이크, other1=현재 TMAP과 씽씽이 협업하여 운영 중인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 rd1=티맵바이크)] || [[파일:티맵바이크.png|width=100%]] || || 티맵바이크 || || [[파일:씽씽 자전거.jpg|width=100%]] || || 씽씽바이크(초기형, 전량 퇴역) || 2021년, [[대구광역시]]에서 전기자전거를 시범 운영했으나, 1년도 안되어 서비스 종료된 적이 있었다. 이후 [[TMAP]]과의 협업으로 2023년 10월 31일부로 [[티맵바이크]] with 씽씽으로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였다. 티맵바이크 모델 기준 원본 모델은 [[Nanjing Kuailun Intelligent Technology|Kuailun]]사의 Kuickwheel SE 200.[[https://www.kuickwheel.com/se-200-e-bike-20-inch/|#]] 최대 속도 시속 25km, 완충 기준 최대 이용 시간 약 1시간 40분. == 이용 방법 == 씽씽 어플을 설치한 후 회원가입 및 면허인증, 카드등록을 한다. 앱 화면 하단의 '대여하기'를 누른다. 적용하고 싶은 쿠폰을 선택한 후 킥보드 상단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대여할 수 있다.[* 면허증이 있다면 만 16세 이여도 이용이 가능하다.] 반납할 곳에 킥보드를 안전하게 세운 후, 앱 화면 하단의 '반납하기'를 누르면 반납이 완료된다.[* 자세한 이용 방법 및 요금이 궁금하다면, 다음 블로그를 참고할 것. [[https://astralopithecus-099.tistory.com/76]]] 2019년 11월 '일시잠금' 기능이 추가되었다. 씽씽을 잠시 멈춰 놓아야 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된다. 일시잠금 기능은 씽씽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분당 요금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2020년 3월 반납 정책이 바뀌었다. 위치에 따라 반납요금이 부과되거나 반납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으니 반납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이용 시간 == 24시간 운영되고 있지만 시스템 점검 및 천재지변에 따라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서비스 중지 기록 === 2020년 08월 26일 12시부터 27일 12시까지 태풍으로 인해 수도권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26일 0시에 공지하였으나, 배치에 시간이 소요되어 27일 20시부터 서비스가 부분적으로 재개되었다. 하지만 이때도 배치 대수가 한 지역구당 5대 남짓한 수로 배치되었다. 2020년 08월 28일 공식적으로 경기도 성남시 서비스 중단에 대한 공지문이 올라왔다. 2020년 09월 03일 0시부터 11시까지 긴급 서비스 점검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따로 공지 없이 진행된 점검이라 이용자들의 불편이 매우 컸다. 11시에 서비스가 재개되었지만, 로그인 오류로 인해 점검이 4일 12시까지 연장되었다. 2022년 4월 1일 여주, 강화군, 인천 일부 지역의 서비스가 당분간 일시중단 되었다. 2022년 6월 10일 경상남도 양산 지역 서비스가 당분 간 일시중단 되었다. 과거에는 심야에 일시중단하여 업데이트 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심야 중에 일시중단하여 업데이트하는 경우는 많이 없어보인다. == 이용 요금 == 어플 내 요금안내에 나온 비용은 다음과 같다.[* 2023년 6월 20일 기준] ||평일 잠금해제[* 평일 (04시~22시)]||1,000원|| ||주말 잠금해제[* 토/일/법정공휴일/대체공휴일 (04시~22시)]||1,500원|| ||심야 잠금해제[* 매일 (22시~익일 04시)]||2,000원|| ||이용요금||1분당 130원|| 일부 지역 요금이 다르다.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논현동 일대에서 2022년 1월 기준 실 사용으로 확인된 비용은 다음과 같다. ||평일 잠금해제[* 평일 (06시~24시)]||500원|| ||주말 잠금해제[* 토/일/법정공휴일 (06시~24시)]||700원|| ||심야 잠금해제[* 매일 (00시~06시)]||1,100원|| ||이용요금||1분당 150원|| 부산 지역 이용요금은 2022년 11월 기준 다음과 같다. ||주간 잠금해제[* 평일 (04시~22시)]||500원|| ||주말 잠금해제[* 토/일/법정공휴일 (04시~22시)]||1000원|| ||야간 잠금해제[* 매일 (02시~04시)]||1,500원|| ||이용요금||1분당 180원|| == 이용 전 주의사항 == 씽씽은 자체 제작한 킥보드로 운영중이며, 주행하기 전 아래의 내용을 한번쯤은 확인하고 이용하자. * 핸들바와 바퀴가 일직선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노후된 1,2세대 킥보드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로, 킥보드 앞바퀴와 핸들바가 틀어진 경우가 많다.] * 브레이크가 허술하지는 않는지 브레이크를 잡아본다.[* 같은 세대라고 하더라도 브레이크의 강도가 제각각이라 제동거리에 큰 차이가 있으니,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는 킥보드라면 즉시 반납 처리를 하고 고객센터로 환불 요청을 접수하자.] * 가속레버가 부드럽게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특이한 케이스로 가속레버가 회전한 경우도 있으니 끝까지 밀어내려보자.] * 벨 손잡이를 돌렸을 때 벨이 제대로 울리는지,[* 장마철인 여름에 대부분의 킥보드에서 벨이 작동하지 않는다.] 주행 중 전원이 꺼지지 않는지 확인한다.[* 초기 잠금해제 후 전원이 꺼졌다 켜지는 증상이 있는 경우 십중팔구 주행 중에 전원이 꺼지는 킥보드로 즉시 반납 처리를 하고 고객센터로 환불 요청을 접수하자.] 전원과 상관 없이 브레이크는 정상 작동하기 때문에, 탑승 전 브레이크를 확인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 환불 규정 == 위의 경우처럼 기기에 고장이 있는 경우 고객센터로 전화를 하거나, 1:1 문의에 환불 신청을 해야 환불 받을 수 있다. 다만, 아무나 다 환불해 주는건 아니고 특정 조건에 부합해야 가능한데, 기기 고장이어야 하고, 주행 거리가 500m를 넘기지 말아야 하며,[* 만약 기기가 고장난 사실을 500m 넘겨서 확인을 했다면 환불 신청을 해도 본사에서는 기기에는 결함이 없으니 주행이 잘 된다고 판단하여 환불을 해주지 않는다.] 되도록이면 사용 시간 5분을 넘기지 않아야[* 5분을 넘긴다는 것 자체가 '기기에 결함이 없으니 주행이 잘 될 것이다' 라는 의미와 일맥상통한다.] 환불해준다. 킥보드 이용 시작 후 고장인 것을 확인했으나 위 조건을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환불이 어려울 수 있다. 반드시 이용 전에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주행을 시작해야 한다. 단,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이용 중 자체적인 노후화로 파손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부분 환불을 진행해준다. 킥보드의 GPS 오류로 반납금지구역이 아님에도 반납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먼저 이용 시간 확인하고 고객센터에 연락하면 강제 반납과 추가요금 환불을 진행해준다. == 이용 가능 지역 == 정확한 내용은 어플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다. 이용 가능 외 지역에 씽씽이 진입할 경우 넘어간다면 엑셀의 작동이 멈추고 소리가 나며, 이용 가능 외 지역에서 반납할 경우 반납 위치에 따라 반납요금이 발생한다. 대여/주행과 상관없이 반납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이용 가능 지역의 직선거리에 따라 금액을 산정한다. 500원~3만원까지 (최대 15km) 아래의 이용 가능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이용 가능 지역 내부와 인근에 위치한 모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도심 공원, 호수, 녹지 지역, 일부 아파트와 주차금지 지역과 인접한 모든 인도와 차도[* 이 때문에 길건너에 반납 금지 구역이 있을 경우 주차가 어렵다.]는 주차 금지 구역으로, 반납이 불가능하다.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운영 구역 목록''' || || '''서울''' ||[[강남구]][* 도곡동 일부지역, 대치동 일부와 개포동, 압구정동, 일원동은 서비스지역이 아니다], [[강동구]][* 성내동/풍납동/둔촌동 일부지역], [[관악구]][* 성현동/중앙동/봉천동/서림동/서원동/신림동/청림동/행운동 일부지역], [[광진구]][* 2호선 뚝섬역 ~ 강변역, 7호선 건대입구 ~ 군자역 주변], [[구로구]][* 구로동 일부지역], [[동작구]], [[마포구]], [[서초구]][* 잠원동/반포동/서초동/방배동], [[성동구]][* 성수동 일부지역], [[송파구]][* 잠실3/6/7동/잠실본동/삼전동/석촌동/송파1/2동/방이동 일부지역][* 배치된 스쿠터 대수가 30대 이하로 이용하기 매우 어렵다.], [[영등포구]],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동대문구]], [[양천구]],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성북구]], [[서대문구]], [[종로구]], [[금천구]] || || '''부산''' ||[[강서구(부산)|강서구]] | [[남구(부산)|남구]] | [[부산진구]][* 2019년 12월부터 서면축을 중심으로 당감동, 가야동, 범전동, 부전동, 전포동, 명지동, 대연동 등에서 서비스 중이다.] | [[수영구]] | [[연제구]] | [[동래구]] | [[금정구]] | [[기장군]] || || '''대구'''[* 서비스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았을 때에는 [[수성유원지|수성못]] 지역도 센트럴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제외되었다.] ||[[중구(대구)|중구]][* 남산동, 봉산동, 삼덕동 1가, 삼덕동 2가, 삼덕동 3가, 성내동, 계산동 1가, 계산동 2가, 동성로 1가, 동성로 2가, 동성로 3가, 공평동, 종로 1가, 종로 2가, 동인동 2가, 태평로 1가, 태평로 2가, 태평로 3가] | [[남구(대구)|남구]][* 대명2동, 대명3동, 이천동] | [[북구(대구)|북구]][* 고성동 1가, 고성동 2가, 고성동 3가, 칠성동 2가, 침산동 성북로 이남구역, 복현1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 [[동구(대구)|동구]][* 신천역 주변, 송라로] | [[수성구]] || || '''인천''' ||[[연수구]][* 송도 일대], [[중구(인천)|중구]][* 영종도 일대], [[남동구]], [[미추홀구]], [[부평구]],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계양구]], [[강화군]] || || '''광주''' ||[[동구(광주)|동구]][* 조선대 일대] | [[서구(광주)|서구]] | [[남구(광주)|남구]] | [[북구(광주)|북구]][* 전남대 일대] | [[광산구]] ||}}} ||<-12> '''대전광역시''' || ||<-3> [[파일:유성구 CI.svg|height=20]][br][[유성구]][* [[카이스트]], [[충남대학교]], [[봉명동(대전)|봉명동]], [[장대동]], [[궁동(유성구)|궁동]], [[어은동]]] ||<-3>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height=20]][br][[동구(대전광역시)|동구]] ||<-3>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height=20]][br][[서구(대전광역시)|서구]] ||<-3>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height=20]][br][[중구(대전)|중구]] || ||<-3> [[파일:대덕구 CI.svg|height=20]][br][[대덕구]] || ||<-12> '''울산광역시''' || ||<-6> [[파일:남구(울산광역시) CI.svg|height=20]][br][[남구(울산광역시)|남구]][* 무거동, 삼호동, 신정3동, 신정5동, 달동, 삼산동] ||<-6> [[파일:울주군 CI.svg|height=20]][br][[울주군]] || ||<-12> '''경기도''' || ||<-3> [[파일:광주시 CI.svg|height=20]][br][[광주시]] ||<-3> [[파일:부천시 CI.svg|height=20]][br][[부천시]] ||<-3> [[파일:수원시 CI.svg|height=20]][br][[수원시]] ||<-3> [[파일:안산시 CI.svg|height=20]][br][[안산시]] || ||<-3> [[파일:용인시 CI.svg|height=20]][br][[용인시]][* 수지구청역, 성복역, 죽전역 일대 수지구 한정] ||<-3> [[파일:의정부시 CI.svg|height=20]][br][[의정부시]] ||<-3> [[파일:평택시 CI.svg|height=20]][br][[평택시]] ||<-3> [[파일:하남시 CI.svg|height=20]][br][[하남시]] || ||<-3> [[파일:화성시 CI.svg|height=20]][br][[화성시]][* [[동탄1신도시]] 전역 및 [[동탄2신도시]] 북쪽 일대, [[장안대학교]], [[협성대학교]], [[수원대학교]] 일대(봉담)] ||<-3> [[파일:고양시 CI.svg|height=15]][br][[고양시]][* [[일산신도시]] 전역, [[풍동(고양)|풍동]], [[일산동(고양)|일산1,2동]] 및 [[식사동]] 중 동국대 일대, [[중산동(고양)|중산동]] 중 연세대 일대] ||<-3> [[파일:남양주시 CI.svg|height=15]][br][[남양주시]][* 별내동,[[다산신도시|다산동]],오남읍,진접읍 일대] ||<-3> [[파일:군포시 CI.svg|height=20]][br][[군포시]] || ||<-3> [[파일:여주시 CI.svg|height=20]][br][[여주시]] ||<-3> [[파일:시흥시 CI.svg|height=20]][br][[시흥시]] ||<-3> [[파일:파주시 CI.svg|height=20]][br][[파주시]] ||<-3> [[파일:안양시 CI.svg|height=20]][br][[안양시]] || ||<-3> [[파일:이천시 CI.svg|height=20]][br][[이천시]] ||<-3> [[파일:김포시 CI.svg|height=20]][br][[김포시]] ||<-3> [[파일:성남시 CI.svg|height=20]][br][[성남시]] ||<-3> [[파일:양주시 CI.svg|height=20]][br][[양주시]] || ||<-3> [[파일:구리시 CI.svg|height=20]][br][[구리시]] ||<-3> [[파일:안성시 CI.svg|height=20]][br][[안성시]] ||<-3> [[파일:과천시 CI.svg|height=20]][br][[과천시]] ||<-3> [[파일:의왕시 CI.svg|height=20]][br][[의왕시]] || ||<-12> '''강원도''' || ||<-3> [[파일:원주시 CI.svg|height=20]][br][[원주시]][* 한라, 기업도시, 강릉원주, 연세대학교, 두산아파트를 포함한 근방, 원주종합경기장과 예술관 근방이다. 상지대학교는 가능했지만 현재는 반납금지이며 원주 시내권 일부 학교와 기업도시 아파트 내부는 반납금지 구역이다.][* 흥업(연세대, 두산위브, 한라대, 강릉원주대), 기업도시(신평리 세종페이퍼 쪽에 모바일 어플에는 존재하는 것으로 뜨지만 사실상 찾으러 가면 창고만 있음. 추측컨대 충전중인 것 같다.), 명륜동(치악체육관, 종합운동장, 예술관 근방), 혁신도시(부영1단지, 중흥2단지, 푸른숨3단지 제외)] ||<-3> [[파일:춘천시 CI.svg|height=20]][br][[춘천시]][* [[강원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림대학교]] 일대 등 석사동, 퇴계동 아파트 밀집지역과 봉의산 일대를 제외한 동지역] ||<-3> [[파일:강릉시 CI.svg|height=20]][br][[강릉시]] ||<-3> [[파일:속초시 CI.svg|height=20]][br][[속초시]] || ||<-3> [[파일:삼척시 CI.svg|height=20]][br][[삼척시]] ||<-3>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height=20]][br][[고성군(강원도)|고성군]] || ||<-12> '''충청북도''' || ||<-3> [[파일:청주시 CI.svg|height=20]][br][[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복대동 일대, 충북대학교, 강내면 교원대, 충청대, 오송읍 오송생명과학단지 일대] ||<-3> [[파일:충주시 CI.svg|height=20]][br][[충주시]] ||<-3> [[파일:제천시 CI.svg|height=20]][br][[제천시]] ||<-3> [[파일:음성군 CI.svg|height=20]][br][[음성군]][* 충북혁신도시, 금왕읍, 감곡면 일대] || ||<-3> [[파일:진천군 CI.svg|height=20]][br][[진천군]][* 충북혁신도시 일대] || ||<-12> '''충청남도''' || ||<-3> [[파일:공주시 CI.svg|height=20]][br][[공주시]][* 대여 및 반납 지역을 강북 지역으로만 한정한 대부분의 다른 업체들과는 달리 강남 지역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3> [[파일:천안시 CI.svg|height=20]][br][[천안시]] ||<-3> [[파일:아산시 CI.svg|height=20]][br][[아산시]] || ||<-12> '''전라북도''' || ||<-3> [[파일:익산시 CI.svg|height=20]][br][[익산시]] ||<-3> [[파일:전주시 CI.svg|height=20]][br][[전주시]][* [[전주한옥마을]],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일대] ||<-3> [[파일:정읍시 CI.svg|height=20]][br][[정읍시]] ||<-3> [[파일:부안군 CI.svg|height=20]][br][[부안군]] || ||<-3> [[파일:완주군 CI.svg|height=20]][br][[완주군]] || ||<-12> '''전라남도''' || ||<-6> [[파일:여수시 CI.svg|height=20]][br][[여수시]] ||<-6> [[파일:순천시 CI.svg|height=20]][br][[순천시]] || ||<-12> '''경상북도''' || ||<-3> [[파일:경산시 CI.svg|height=20]][br][[경산시]] ||<-3> [[파일:포항시 CI.svg|height=20]][br][[포항시]] ||<-3> [[파일:구미시 CI.svg|height=20]][br][[구미시]] ||<-3> [[파일:경주시 CI.svg|height=20]][br][[경주시]] || ||<-12> '''경상남도''' || ||<-3> [[파일:거제시 CI.svg|height=20]][br][[거제시]][* [[디큐브백화점]], [[장평동]] [[고현동(거제)|고현동]] [[상문동]] [[수양동]] 일대] ||<-3> [[파일:진주시 CI.svg|height=20]][br][[진주시]][*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가좌캠퍼스|가좌캠]] 및 [[경상국립대학교/칠암캠퍼스|칠암캠]] 일대, [[진주혁신도시|혁신도시]], [[상대동(진주)|상대동]], [[하대동]], [[초장동(진주)|초장동]]] ||<-3> [[파일:창원시 CI.svg|height=20]][br][[창원시]][* 마산합포구 및[[경남대학교]] 일대, 진해구 일대, 마산합포구 진동면, 마산회원구 내서읍(함안군 일부 지역과 이어진다.) 등] ||<-3> [[파일:양산시 CI.svg|height=20]][br][[양산시]] || ||<-3> [[파일:함안군 CI.svg|height=20]][br][[함안군]] || ||<-12> '''제주도'''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height=20]][br][[제주시]] ||<-6> [[파일:서귀포시 시정목표 CI.png|height=20]][br][[서귀포시]] || ||<-12> '''세종특별자치시''' || ||<-12>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height=20]][br][[세종특별자치시]] || == 논란 및 문제점 == === 운영 태도 === [[파일:씽씽운영태도.jpg]] 사진과 같이 자사의 스테이션 사진 촬영을 위해 타 업체의 킥보드를 무단으로 이동시켰으며, 해당 사진 촬영 후 원상복구하지 않았다.[* 사진을 보면 거치대 옆에 [[킥고잉]] 여러 대가 몰려있는데, 이 사진 촬영을 위해 씽씽 직원이 고의로 이동시켜놓은 것이다.] 킥보드 거치대는 [[씽씽]]과 [[Beam]], [[킥고잉]] 3사가 함께 설치한 것인데, 이를 독점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이며, 타 업체 킥보드는 이용하기 힘든 구석에 몰아두어, 해당 업체 직원들이 현장에 방문하여 다시 거치대에 주차시키는 일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씽씽에 문의한 결과, 씽씽스테이션은 씽씽에서 운영하는 주차구역으로, 다른 킥보드를 주차할 수 없다는 당당한 답변을 했다. [[파일:라임방씽씽공지.jpg|width=500px]] 이후 본사에 직접 확인한 결과 이는 씽씽 직원 중 하나가 업무를 급하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수라고 해명했다. 고객센터에서 '씽씽스테이션에 다른 킥보드를 주차할 수 없다'고 응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신입 고객센터 직원의 실수라고 밝혔다. === 요금안내 === 어플의 지도 화면에서 킥보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 시각에 적용되는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2022년 11월 기준]. 또한 '우측 상단 설정 버튼->이용안내->요금안내'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씽씽은 해당 화면 하단에 '일부 지역은 상이한 요금이 적용될 수 있다'라고 고지하였는데, 이 '상이한 요금'이라는 것을 어플 내에서 지역 별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지역의 분당 주행요금은 180원[* 2022년 11월 기준,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함] 으로, 화면 중앙에 크게 써넣은 분당 130원의 138%, 약 1.4배의 가격인데도 불구하고 대부분 이용자들은 잘 누르지도 않는 킥보드 아이콘을 클릭해야만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지역과 주야에 따라 적용되는 요금 목록은 어플 내 고객센터에서 '1:1문의하기'를 이용하거나,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서 '씽씽'을 추가하여 상담직원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타회사들과 비슷하게 지역마다 다른 요금을 가지고 있고, 앱 접속 후 '씽씽 찾기'로 진입하여 해당 지역의 킥보드를 클릭해보면 정확한 요금을 알 수 있다. === 서비스 품질 === 종종 GPS오류가 발생하여, 주차 가능 구역에서 이용을 종료하는데도 주차 금지 구역이라고 안내되며 반납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 주행 중에 킥보드의 위치를 지도에서 볼 수 있게 업데이트되어 어디로 옮기면 반납을 할 수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특히 경사가 높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다보니, 다른 킥보드업체에 비해 대학교 캠퍼스 등 특정 지역에서의 고장이 눈에 띄게 많다. 킥보드 배터리를 넣는 상판, 핸들 좌측에 달린 종[* 돌리면 따르릉 소리가 나는 자전거 종], 가방걸이나 핸들을 덮는 고무가 파손된 것은 양반이고, 킥보드의 핸들 각도가 수평으로 꺾여 운전하기 어려운 경우[* 운전자의 하중이 한 쪽 핸들에 집중되어 넘어지기 쉬운 것은 물론, 한 번 꺾인 핸들이 언제 다시 꺾일 지 모르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브레이크가 심하게 마모되거나 고장나 말을 듣지 않는 경우는 심각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비 온 뒤, 뒷바퀴 커버가 떨어져 나간 킥보드를 타면 회전하는 뒷바퀴가 빗물과 함께 모래, 자갈같은 온갖 이물질들을 끌어올려 바지와 신발을 엉망으로 만드는데, 뒷바퀴 커버가 너덜너덜하거나 아예 뜯어진 기기가 많다. == 여담 ==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모델이 많은 편으로 SNS에서 브레이크 개선 요구가 적지 않게 보인다. 2020년 1월 업계 최초로 1년 정기권인 ‘2020 씽씽 프리패스’를 2,020명에게 한정 판매했다. 가격은 9만 9천원, 사용 가능한 일수로 단순 계산하면 1일 300원만 내고 타는 것[[https://platum.kr/archives/134964|#]] 새 도로교통법 시행을 앞두고 최근 이용 약관을 개정했다. 이전에는 만 18세 이하가 회원가입이 불가했지만, 현재는 만16세 미만으로 낮아져 서비스 확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 만 15세일 경우 내년 생일날을 기다려야 한다.] 이에 따라 면허가 없는 만 16세 이상은 이용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으며, 면허 등록을 완료한 회원에 한하여만 보험 적용 혜택을 제공한다. 2020년 10월 14일부터 면허가 없는 이용자는 이용이 제한되도록 변경되었다. 이후 10월 말 중에 다시 이용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지만, 속도 제한 모드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어플 개선 이전에는 지속적인 기능 추가와 센트럴지역/주차금지 지역 추가로 인해 어플의 구동 속도가 매우 느려, 당시 공유 킥보드 서비스 어플 중 가장 느린 속도를 자랑했었다. 하지만 3.0.0 버젼에서 지도 API를 개선하고 속도가 개선되었지만, 몇몇 버그는 남아있는 상태이다. 이후 최신 기종의 스마트폰에서 킥보드의 QR 스캔을 위한 카메라 실행시 어플이 멈추고, 반납 시도 시 어플이 구동되지 않는 등 각종 어플 오류가 다시 발생했으나, 최근에는 이 오류가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씽씽과 함께한 이동이 기록되어 총 이동 횟수, 총 이동 거리, 총 이동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씽씽, version=343, paragraph=2)] [[분류:공유 킥보드]][[분류:공유 모빌리티]][[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분류:201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