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AS 로마|{{{#fbba00 ''' AS 로마 주장 ''' }}}]] || || 세르지오 산타리니[br](1976~1980) ||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width=100%]]]] || '''{{{#000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br](1980~1984)}}}''' ||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width=100%]]]] || [[카를로 안첼로티]] [br] (1984~1987)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S 로마/명예의 전당)] ---- }}} || ||<-3> {{{+1 [[AS 로마|{{{#fbba00 '''AS 로마 명예의 전당'''}}}]]}}} || ||<-3> {{{#000000 '''Associazione Sportiva Roma S.p.A.'''}}}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gostino Di Bartolomei.jpg|width=100%]]}}} || ||<-2> {{{#fbba00 '''이름'''}}} || '''{{{+1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br]Agostino Di Bartolomei[* [[영어]]를 제외한 [[로망스어군|로망어]]와 [[게르만어파|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나 관사(여기서는 di)는, 발음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은 채 뒤 요소와 붙여 적는다.]''' || ||<-2> {{{#fbba00 '''출생'''}}} ||[[1955년]] [[4월 8일]] [br] [[로마]] || ||<-2> {{{#fbba00 '''사망'''}}} ||[[1994년]] [[5월 30일]] (향년 39세) || ||<-2> {{{#fbba00 '''국적'''}}}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2> {{{#fbba00 '''신체'''}}} ||[[키(신체)|키]] 180cm || ||<-2> {{{#fbba00 '''직업'''}}} ||[[축구선수]]([[중앙 미드필더]] / ^^은퇴^^) || ||<-2> {{{#fbba00 '''번호'''}}} ||[[AS 로마]] - 10번[* 로마에서 쓰던 번호가 워낙 많아 마지막 시즌에 쓰던 번호로 기재함.][br][[AC 밀란]] - 5번[br][[AC 체세나]] - 10번 || || {{{#fbba00 '''소속''' }}} || {{{#fbba00 '''선수''' }}} ||[[AS 로마]](^^유스^^)[br]'''[[AS 로마]] (1972~1984)'''[br]→ {{{-1 [[비첸차 칼초]] (1975~1976 / ^^임대^^)}}}[br][[AC 밀란]] (1984~1987)[br][[AC 체세나]] (1987~1988)[br][[US 살레르니타나 1919]] (1988~1990) || ||<-3> {{{#fbba00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bba00 '''주발''' }}} ||오른발 || || {{{#fbba00 '''종교''' }}} ||[[카톨릭]]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는 내 축구의 부활이다."''' >---- >- [[풀비오 베르나르디니]][* [[AS 로마]]의 전설적인 선수] [[이탈리아]] 국적의 전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 [[AS 로마]] === [[자살|비극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한 [[AS 로마|로마]]의 비운의 레전드 9~10세때부터 축구에 대한 재능이 뛰어났던 아고스티노는 [[AS 로마]]에 스카웃되어 14세 로마 유스팀에 들어가고 2번의 프리마베라 우승을 이끈다. 프리마베라와 1군을 오고 가던 아고스티노는 73년 4월에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과의 경기에서 데뷔하게 되고 아고스티노는 경험을 위해 비첸차 칼초로 임대를 간다. 비첸차 임대 후 디 바르톨로메이는 닐스 리드홀름 감독 지휘아래에서 로마의 핵심 선수가 되어 팀을 이끌었다. 볼은 배급하고 경기를 조율하는 등 로마의 공격을 책임지며 '''레지스타'''로서 역할을 다했다. 1977/78시즌에는 득점력까지 높아져 중앙미드필더로 13골이나 넣으면서 활약했지만 로마는 그의 활약이 무색하게 중위권과 하위권을 맴돌았다. 이에 로마는 주장이었던 디 바르톨로메이와 다시 선임한 리드홀름 감독을 중심으로 [[제노아 CFC]]에 임대 갔던 [[브루노 콘티]]를 불러들이고 [[카를로 안첼로티]]를 영입하면서 부활을 예고한다. 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던 디 바르톨로메이는 느린발을 가진 단점이 있었기에 레지스타에서 좀더 수비적인 리베로로 역할을 변경하고 [[브루노 콘티]], [[카를로 안첼로티]], [[호베르투 팔캉]]과 함께 유벤투스를 제치고 40년만에 [[스쿠데토]]를 차지한다. || [[파일:Agostino Di Bartolomei Liverpool.jpg|width=100%]] || || {{{#fbba00 ''' 리버풀 FC와의 유로피언컵 결승전 ''' }}} || 여기서 멈추지 않고 1년 뒤 로마의 홈 구장인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인 [[유로피언컵]] 결승전을 치루는데 이때 상대가 당시 최고의 팀 중 하나였던 [[리버풀 FC]]였다. 리퍼풀이 우세할 것이라는 사람들의 말을 깨고 1:1로 대등한 경기를 했지만 승부는 승부차기까지 간다. 디 바르톨로메이는 1번 키커로 나와 페널티킥을 성공하였지만 [[브루노 콘티]] 등이 실축하면서 리버풀에게 우승을 내주게 된다. 경기 패배 후 페널티킥을 거부했던 [[호베르투 팔캉]]과 라커룸에서 다퉜다고 한다. 이때의 패배는 디 바르톨로메이에게 큰 상처로 남고 불면증까지 앓았다고 한다. 이후 기량이 조금씩 떨어지던 디 바르톨로메이는 주전을 보장받을 수 없었던 로마와 재계약을 하지 않고 자유계약으로 풀린다. [[AS 로마]]에서 '''301경기 68골 1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자유계약으로 풀린 디 바르톨로메이는 은사 리드홀름이 부임한 [[AC 밀란]]이었다. 이때 나이가 만 29세였다. 하지만 폼이 많이 떨어진 디 바르톨로메이는 [[AC 체세나]]로 이적하고 이곳에서 1시즌을 보낸 뒤 세리에 C에 속해있던 살레르니타나로 이적한다. 이후 살레르니타나에서 2시즌을 보내면서 [[세리에 B]]로 승격시킨 뒤 디 바르톨로메이는 은퇴를 발표한다. == 은퇴 후 삶과 죽음 == >'''"난 빠져나갈 길이 없어."''' >---- >-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의 유서 일부분 축구선수를 은퇴하고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 해설도 맡고 보험업계에 종사해보고 축구교실을 만들려고도 했지만 실패하고 항상 축구계를 그리워했다. 축구계를 떠난 그는 '''[[우울증]]'''에 시달렸고 살레르노의 자신의 빌라 발코니에서 '''가슴에 총을 쏘아 [[자살]]했다.''' 이때 그의 나이 만 39세였다. 놀랍게도 그가 자살은 날짜는 유로피언 컵에서 승부차기로 리버풀에게 패한지 딱 10년이 되던 날이었다.[* 유로피언컵 결승 1984년 5월 30일, 디 바르톨레메이가 자살한 날짜는 1994년 5월 30일이다.] 이게 우연의 일치인지 디 바르톨로메이가 그날에 맞춰 자살한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사람들에게 충격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의 장례식에는 83년도 우승멤버들과 구단부회장, 2,000여명의 사람들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기렸다. 더욱 슬픈 것은 현역 [[AS 로마]] 선수 중에 조문을 온 사람은 [[주세페 지아니니]]가 유일했다. 팀의 레전드이고 주장이었던 디 바르톨로메이는 헤어스타일이나 외관에 신경쓰지 않고 축구만을 생각했던 조용했던 천재였다고 지인들은 말한다. == 국가대표 경력 == 로마에서 주장을 맡고 역대급 선수였던 디 바르톨로메이는 '''한번도 아주리 국가대표로 뛰지 못했다.''' 경기를 조율하는 레지스타와 수비적인 리베로 역할을 수행할 줄 알고 경기를 조율하는 능력이 뛰어났던 디 바르톨레메이었지만 당시 아주리 감독이었던 [[엔초 베아르초트]]가 디 바르톨로메이보다 더 수비적인 성향이 강했던 가브리엘레 오리알리와 [[마르코 타르델리]]를 더 선호했기 때문이다. 로마의 우승과 유로피언컵을 결승으로 이끌었던 선수로써는 안타까운 일다. [각주] [[분류:1955년 출생]][[분류:1972년 데뷔]][[분류:1990년 은퇴]][[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1994년 사망]][[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비첸차 칼초/은퇴, 이적]][[분류:AC 밀란/은퇴, 이적]][[분류:체세나 FC/은퇴, 이적]][[분류:US 살레르니타나 1919/은퇴, 이적]][[분류:로마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의 자살한 인물]][[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자살한 축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