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기공룡 둘리)] [목차] == [[아기공룡 둘리(1987년 애니메이션)|아기공룡 둘리 1, 2기(TV) - 1987~1988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기공룡 둘리(1987년 애니메이션))] == 아기공룡 둘리 '[[둘리의 배낭여행]]'(비디오, 카세트, CD) - 1995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둘리의 배낭여행)] ==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극장판) - 1996년 == 1996년에 개봉한 아기공룡 둘리의 [[극장판]]. 당시 국산 극장판 애니메이션들의 [[병맛]] 행진에 굴하지 않고 당당히 그 해 [[한국 영화]] 중 흥행 4위[* 서울 관객 29만, 전국 관객 61만. 기대를 모았던 [[아마게돈]]이 서울 관객 9만, 전국 관객 22만을 모은 것과 차이가 크다.]를 기록하며 선전한 작품이다. 둘리의 애니메이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정도로 대표적인 작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얼음별 대모험)] == NEW 아기공룡 둘리(TV) - 2008년 == ||||
<#6da036> {{{#white '''{{{+1 NEW 아기공룡 둘리}}}''' (2009)}}} || |||| {{{#!wiki style="margin: -6px -10px" [[https://i.namu.wiki/i/tVvM6-RePWVqaR6mwcmqlvihmio7zNnWn7b7NQA_lEgtJCd9QZaTs5H5ujLPwraxztyLaZ_i5fxC2EHdi-JdZHvghAoLzyPa6Y28hIHeJmfFbTZvYxZsoN1RhmCmitW8uSC5vqGvUVKVJ_fu8uhMLA.webp|width=100%]]}}} || ||||<-2><#6da036>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white 작품 정보 ▼}}} ||
<-2><#6da036> '''{{{#white 원작 겸 총감독 겸 각본}}}''' ||[[김수정(만화가)|김수정]] || ||<-2><#6da036> '''{{{#white 연출감독}}}''' ||김재웅 || ||<-2><#6da036> '''{{{#white 캐릭터 디자인}}}''' ||신영숙 || ||<-2><#6da036> '''{{{#white 녹음연출}}}''' ||김종호 || ||<-2><#6da036> '''{{{#white 음향효과}}}''' ||진재영, 정선희 || ||<-2><#6da036> '''{{{#white 음악효과}}}''' ||이인영 || ||<-2><#6da036> '''{{{#white 애니메이션 제작}}}''' ||[[동우 애니메이션|동우 A&E]] || ||<-2><#6da036> '''{{{#white 방영 기간}}}''' ||[[2008]]. 12. 25.(파일럿)[br][[2009]]. 01. 08. ~ 07. 02. || ||<|2><-2><#6da036> '''{{{#white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모든 연령 시청가}}}]][* [[투니버스]], [[카툰네트워크]], [[재능TV]] 등] || ||<-2>[[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SBS]], [[디즈니채널]], [[니켈로디언]] 등] || }}}}}} || [clearfix] SBS와 9개 지역민방[* [[광주방송|kbc]], [[KNN]], [[전주방송|JTV]], [[울산방송|ubc]], [[대전방송|TJB]], [[대구방송|TBC]], GTB(현 [[G1방송]]), [[청주방송|CJB]], [[제주방송|JIBS]]]에서 2008년 12월 25일([[크리스마스]])에 세 개의 에피소드를 선행으로 선보이면서 근 20년만에 다시 돌아온 아기공룡 둘리의 새로운 TV 시리즈. SBS와 [[SBS 콘텐츠허브]], [[온미디어]]가 기획, [[동우 애니메이션|동우 A&E]]가 제작을 각각 맡았다. 원래 얼음별 대모험 편을 만든 직후 새로운 TV 시리즈를 제작하기로 계획했으나 IMF가 터져 투자를 받지 못하고, 거기에 개인사정까지 겹쳐 제작 계획이 차일피일 미뤄지다가 2008년 5월이 되어서야 투니버스와 SBS의 투자로 제작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2009년 1월 8일부터 2009년 7월 2일[* 재방송은 2012년 12월 3일까지 방영되었다.]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4시에 본격적으로 첫 방송을 개시했다. 그리고 첫 방송 때 동 시간대 최고의 시청률을 올리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투니버스]]에서도 방영했고 [[시청률]]면에서는 [[온미디어]] 전체 프로그램을 통틀어도 매주 상위권에 드는 수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투니버스에서 방영중인 모든 애니메이션들 중 짱구나 도라에몽 같은 일본 아동 애니메이션을 제치고 시청률 1위였다고 한다. 그래서 심심찮게 24시간 편성을 몽땅 둘리로 편성하는 일도 있었다. 전작과는 달리 작화나 캐릭터들 성격 등이 원작 만화에 가까워지면서 특유의 개그가 살아난다는 점과, 더욱 늘어난 에피소드 등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네 비쥬얼이나 고길동 패밀리의 생활상은 원작 1980~90년대의 쌍문동의 모습을 베이스로 하고 있지만 방영 시점인 2008~2009년을 연상케 하는 묘사도 많다. 작품의 물가가 2008년 폭등한 물가를 기준으로 잡혀 있으며[* 희동이의 아이스크림 값 천원, 영희의 스케치북 값 오천원, 아이들의 세뱃돈 만원, 희동이의 치과진료비 4만원 등. 다만 구권이 아닌 2007년에 전면 통합된 신권 지폐 도안으로 그려져있다.], 그 당시에는 전혀 알지 못할 [[오바마]]나 [[원더걸스]], [[소녀시대]]에 대한 언급이 대사에 나온다.[* 이외에도 "도우너 엄마를 찾아서" 편을 보면 분명 시대적 배경은 1980년대를 모티브로 하고 있는데 에피소드 끝자락에 마이콜이 방에서 컴퓨터로 [[싸이월드|'''싸이월드''']]에 접속하며 '상어호'에 대한 인터넷 기사를 보는 장면도 등장하였다.] 또한 [[블랙 코미디|당시 세태에 대한 풍자와 패러디]]가 원작 내용에 알게 모르게 슬쩍 추가되어 있다. "이건 좀 위험하다" 싶은 내용도 들어가 있는데....[* 8화에서 소고기 좀 먹자는 [[둘리]]에게 [[고길동]]이 [[광우병 논란|소는 광우병 무서워서 못 먹고!]] 라고 하거나 20화에서는 둘리 일당이 [[이명박|쥐를잡자]] 노래를 부르거나 하는등] 거기다가, 2004년의 서울시내버스 대개편이 반영된 버스 노선과 도색(만화에서는 [[서울 버스 160|160번]]([[도봉산]]-[[경복궁 광화문|광화문]]-[[온수역]], 파랑도색. 작품에서는 광화문에서 온수역까지의 구간이 단축된 채 나왔다.), 그리고 2006년 개정된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도 등장하였다.[* 평안운수차량(36,36-5,37,133) 추정] 게다가 삽입된 음악도 다양한 세대, 다양한 장르를 망라하여 삽입되어 있다. [[설운도]]의 사랑의 트위스트 및 박경애의 곡예사의 첫사랑(또치 또치 또치 편), [[비치 보이스]]의 Surfin' U.S.A.(알 수 없는 나라 편), [[마이클 잭슨]]의 [[Billie Jean]] 및 [[BIGBANG|빅뱅]]의 거짓말(스타 탄생 편), G.O.D(지오디)의 어머님께(꼴두기별 왕자님 편), 이해연의 단장의 미아리고개(길동씨 표류기 편), 한정무의 꿈에 본 내 고향, [[조영남]]의 삽다리, 이은상의 가고파, [[윤석중]] 작사 한용희 작곡의 동요 고향땅 (이상 내 친구들 편), [[슈퍼주니어]]의 [[Sorry, Sorry]], [[비(연예인)|비]]의 [[Rainism]](이상 슬픈 길동이 편), [[송창식]]의 가나다라(겨울 이야기 편) 등. 다만 아기공룡 둘리가 [[블랙 코미디]]라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삽입곡들 중 이해연의 단장의 미아리고개나 한정무의 꿈에 본 내 고향 등은 가사 자체도 암울할 뿐더러 곡조도 매우 어두운 노래들이다. 애초에 이 노래들이 발표된 것이 1950년대, [[6.25 전쟁]]으로 인해 극도로 암울하고 엉망진창이던 시절이었다. [[북한|갈 수 없는 곳]]이 되어버린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납북|북으로 끌려간]] 남편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곡들이 어떻게 밝을 수가 있겠는가. 이 작품의 주된 시청자들 중 하나인 어린이 시청자들은 들어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당연지사. 단 1996년 극장판인 [[얼음별 대모험]]에 삽입되었던 또치의 주제가나 마이콜의 주제가 등은 편곡되어 다시 쓰였다. 하지만 새로 만든 신판 오프닝 주제가는 오리지날 노래에 비하면 명함도 못내민다. 또한 마이콜이 첫등장후 [[가요제]]에서 부른 예쁜 송아지 역시 라면과 구공탄에 비교하면 영 아니었다는 반응도 있지만. 오프닝 노래와 라면과 구공탄을 비롯한 제작 노래의 판권이 KBS에 묶여있어서 새롭게 만들었던 것. [youtube(A2L4F2rGgAo)] --심지어 [[썬키스트]]의 사탕 자체를 17화에서 홍보한다.-- 작품의 퀄리티 자체는 당시 제법 훌륭한 편이며, 개그나 패러디 등도 더 강화되어 원작 팬들에게 '이제야 둘리가 제 모습을 찾았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신판의 둘리는 원작 이상으로 철이 없는 것을 넘어서 막돼먹은 데다 부리는 말썽의 수위가 뒷목잡을 정도로 상향됐다. 다만 캐릭터들의 바뀐 모습과 [[성우 교체|성우진의 교체]]로 인한 목소리 변화, 주제곡들의 교체로 인해 이질감을 느끼는 사람들 역시 많다. 특히 둘리의 성격이 원작에 맞게 돌아갔기 때문에 비판이 많고 과거 TV판 시절의 둘리를 그리워하는 사람들도 많다. 특히 고길동이 원작보다 상대적으로 착하고 불쌍한 이미지가 강조되어 나온다든지[* 원작에서는 상당히 무서운 이미지로 애니메이션에서 당하는 수난이 약과로 보일 정도로 둘리 일당 때문에 험하게 구르는 수준이 더 심한 만큼 과도한 폭력성이 느껴질 만큼 둘리 일당을 진심으로 싫어하며 처절하게 응징하는 느낌이 강했다.], 둘리 친구들의 악동 캐릭터가 더 돋보인다든지 하는 점에서 비판이 있다. 다만 성우진의 교체는 원작자인 김수정의 요구사항이었다고 한다. 대표적인 이유로 둘리를 연기한 [[박영남]]이 [[노하라 신노스케|짱구]] 목소리와 이미지로 너무 익숙해졌다고 한다.[* 더빙 작업은 몇몇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방영작과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의 외주 작업을 맡은 [[더빙/외주사 일람#s-3|프로웍스]]에서 맡았다.] 더불어 김수정 작가의 인터뷰에 의하면 둘리를 만든다고 할때 세월이 지나서 이젠 아이들이 안 찾는다느니 심지어 [[닌자]] 둘리로 만들면 어떻겠느냐는 어이없는 요구를 하던 투자자나 방송국도 있어서 유일하게 방영에 적극적이던 SBS를 통하여 방영하게 되었다고 한다. 총 26부작으로, 신판 시즌 2 제작도 확정되어 2010년 상반기부터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했지만 하지만 [[베이퍼웨어|이 이후로 소식이 없다]]. 10년 이상 지난 시점까지도 소식이 없는 것을 보면 바로 아래의 극장판과 마찬가지로 제작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중단되지 않았더라면 아마존에 갇힌 [[마이콜]]이 다시 돌아오는 편이 나올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한편으론 구판과 대비해서 원작자가 원하는 대로 다 적용하며 만들었지만 동시에 원작까지 완결이 나지 못한 노선을 그대로 이어버린 셈. 제43회 [[휴스턴]] 국제필름페스티벌에서 애니메이션 부문 동상을 수상했고, 제16회 [[상하이]] 국제TV페스티벌에 노미네이션되었다. 모든 회차들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Et8Q-eNP9YCPpbSMeYbLHMNOh5v46Ig9|여기]]서 무료로 볼 수 있다.[*링크 유튜브 채널 [[KTH|PLAYY ANI]]에서 제공한다.] == ~~아기공룡 둘리 '방부제 소녀들의 지구대침공!'(극장판) - 2014년~~ == SBS에서 '新 아기공룡 둘리'의 방영이 끝나갈 즈음, 둘리나라에서 극장판 떡밥을 날린게 2012년 12월에 공개됐다. 기획은 둘리나라 쪽에서, 제작은 [[동우 애니메이션|동우 A&E]]에서 하는 듯 하다. 둘리 공식 블로그에 정식 발표되었을 때는 2013년 가을에서 2013년 겨울 → 2014년 여름 → 2015년 여름으로 계속 미뤄졌고 [[베이퍼웨어|결국 제작이 중지된 거 같다.]][[http://blog.naver.com/kimsj5000/220233884107|#]] 하지만 작가의 신작 단행본을 낼때 이 작품의 스토리를 일부 추가하겠다는 언급이 있기도 하였다. 주요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우주 최강이라 우기는 외계인들의 터무니없는 지구침공이 시작된다!! 언제나처럼 조용하던 쌍문동의 하루… 길동이의 뇌성벽력 14단 고음 고함소리로 조용한 하루는 또 멀리 달아난다. 괴성의 발단은 언제나처럼 둘리 일당의 말썽… 하루하루 길동이의 주름살은 그랜드 캐년처럼 깊고도 굵게 패어만 가고… 한편, 먼 우주에서는 정처없고 기약없이 떠도는 두마리(?)의 우주인들이 지구를 발견하게 되고… 아무도 모르는 초슈퍼울트라 극비지령을 완수하기 위해 지구침공에 도전하게 된다. 지구침공에 앞서 우선 지구별을 탐색하던 중, 기기괴괴묘묘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둘리 일동을 샘플로 선정하고 조사에 나서지만 의도되지않은 계속되는 말썽과 점점 꼬여가는 갖가지 사건 속에 휘말려 제대로 된 조사는커녕, 본인들의 목숨조차 건질 수 있을까?? 라는 지경에 이른다. 결국 자신들의 지구침공에 막대한 우려를 끼칠 '범우주적 악의 축'으로 판정을 내리고 고향별 '핑거스타'에서 가져온 대 행성밀살무기인 '아뭬~바'를 투입하여 얄미운 둘리 일당 척결은 물론, 지구대침공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게 되는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기공룡 둘리, version=812)] [[분류:아기공룡 둘리/애니메이션]][[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