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include(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영웅)] [목차] == 기본 == >오버워치의 창립 멤버이자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저격수인 아나 아마리는 자신의 능력과 노련함으로 무고한 이들을 지킵니다. 비록 오른쪽 눈을 잃고 한때 자취를 감췄지만 자신의 의무와 책임감을 깨닫고 다시 전투에 합류했습니다. 짐적 이후 오버워치 본편 시간대의 노년인 모습. 원작의 희귀 등급 스킨들이 전체적인 톤은 유지하면서 후드 안의 천 등 일부 부위만 바뀌는 것에 비해 히오스의 색놀이 스킨들은 더 과감한 변화를 주고 있다. === 아나 (Ana) === ||
[[파일:Default Ana.png|width=100%]] || 오버워치 기본 모습. === 빛나는 아나 (Burnished Ana) === ||
[[파일:Burnished Ana.png|width=100%]] || [[발레리안 멩스크]]를 연상시키는 고급스러운 황금색 장식을 준 스킨. === 한밤의 아나 (Midnight Ana) === ||
[[파일:Midnight Ana.png|width=100%]] || 칠흑에 가까운 망토와 창백한 피부, 붉은 컬러링 등이 마치 흡혈귀나 탈다림, 혹은 [[탈론(오버워치)|탈론]] 같은 인상을 주는 스킨. === 일몰의 아나 (Sunset Ana) === ||<-4>
[[파일:Sunset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120 시공석 ||<|2> '''등급''' ||<|2> [[파일:Rare_Skin.png|width=20px]] 희귀 스킨 || || [[파일:HotSShard.png]] 75 파편 || 원작의 황수정 스킨. 안과 밖의 색 배색이 반대다. === 황혼의 아나 (Twilight Ana) === ||<-4>
[[파일:Twilight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120 시공석 ||<|2> '''등급''' ||<|2> [[파일:Rare_Skin.png|width=20px]] 희귀 스킨 || || [[파일:HotSShard.png]] 75 파편 || 어째 [[오버워치]] [[솜브라]]의 배색과 유사하다. 참고로 솜브라의 초기 콘셉트의 후드와 긴 외투 복장은 아나에게 넘어갔다. === 의무관 아나 (Medic Ana) === ||<-4>
[[파일:Medic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120 시공석 ||<|2> '''등급''' ||<|2> [[파일:Rare_Skin.png|width=20px]] 희귀 스킨 || || [[파일:HotSShard.png]] 75 파편 || 원작의 수호천사 스킨. 다만 원작에서는백색, 적색 계통의 색상이고 후드를 벗고 있지만 여기서는 녹색 계통인데다 후드를 쓴 모습이다. == 때까치 == >최근 아나는 시공의 폭풍에서 "때까치"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간첩, 폭행, 절도 행위로 룩소리아에서 수배 중입니다. [[오버워치]]에서도 나온 위장용으로 사용했던 가면을 쓴 [[아나(오버워치)/영웅 갤러리#s-1.3.1|때까치 스킨]]. 스킨 설명도 원작 때까치 스킨의 설명을 장소 이름만 변경해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그리고 룩소리아는 아나의 출신지이자 원작 설명에서도 수배 중이라고 언급된 국가인 이집트와 공통점이 많은 차원이므로[* 작품 외적 기준에서 직설적으로 설명하자면 룩소리아는 대놓고 이집트 문명과 신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배경이다. 룩소리아가 무대인 하늘 사원과 거미여왕의 무덤 디자인들을 보면 바로 이집트가 생각난다. 거기다 공식 일러스트 배경도 룩소리아.] 아나가 활동하기 어울리는 장소. === 때까치 (Shrike) === ||<-4>
[[파일:Shrike(HotS).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2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300 파편 || 오버워치 오리지널 때까치 스킨 배색. === 때까치 요원 (Agent Shrike) === ||<-4>
[[파일:Agent Shrike.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2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300 파편 || 오버워치 하면 생각나는 흰색과 노란 형광색이 사용된 스킨이다. 컬러링만 보면 꽤나 정화자가 생각나기도 한다. === 긴급 출동 때까치 (Rescue Shrike) === ||<-4>
[[파일:Rescue Shrike.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2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3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 남옥 때까치 (Aquamarine Shrike) === ||<-4>
[[파일:Aquamarine Shrike.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2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300 파편 ||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헌터(데스티니 가디언즈)/전기질주자|전기질주자]]를 연상케 하는 컬러링. 전기질주자의 일러스트 디자인 또한 아나의 때까치 스킨과 매우 유사하여 정말 닮았다는 느낌이 든다. === 은신 때까치 (Stealth Shrike) === ||<-4>
[[파일:Stealth Shrike.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2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300 파편 || 2차 창작에서 즐겨 사용하는 소재인 "[[탈론(오버워치)|탈론]]화"라는 [[흑화]] 콘셉트을 채용한 듯 한 스킨. 2차 창작에서 기존 캐릭터의 탈론화 버전은 주로 흑색과 적색 컬러링을 사용하는 모습으로 디자인된다. == 살무사 == >독사단의 가장 치명적인 저격수인 살무사는 조직에 맞서는 세력들의 중심 인물들을 암살합니다. 그녀가 없었다면 독사단은 부흥하지 못했을 것이고, 살무사 또한 이를 잘 알고 있기에 자신의 영향력의 의문을 표하는 자들에게 이 사실들을 명백히 깨쳐 줍니다. 화이트메인 출시와 함께 추가된 스킨. [[스투코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스투코프]]의 [[스투코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스킨#s-3|독사단장 스킨]]과 [[겐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겐지]]의 [[겐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스킨#s-4|죽음송곳니]] 스킨과 독사단 테마를 공유한다. 스킨 테마 발표 비디오가 올라오기도 전에 [[https://www.reddit.com/r/heroesofthestorm/comments/92f4c7/new_stukov_skin_leaked_on_hots_website/|공식 홈페이지]]에 먼저 올라왔다. 공식 홈페이지에 화이트메인을 추가하다가 실수로 올라온 것으로 추정된다. 독사단이란 이름으로 보아 G.I JOE 시리즈의 악역 집단인 코브라 군단이 모티브로 보인다. 모티브는 아마 배로니스인듯. 고유 능력 때까치와 생체 수류탄, 호루스의 눈의 시각 효과가 붉은기를 띠도록 바뀌며, 수면총의 투사체에는 톱니가 달린다. 때까치로 피해를 입힐 때마다 붉은색 살무사 표식이 점멸하는 것이 가장 눈에 띄는 특징. === 살무사 아나 (Sidewinder Ana) === ||<-4>
[[파일:Sidewinder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3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4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 치명적인 살무사 아나 (Noxious Sidewinder Ana) === ||<-4>
[[파일:Noxious Sidewinder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3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4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 극지 살무사 아나 (Arctic Sidewinder Ana) === ||<-4>
[[파일:Arctic Sidewinder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3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4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 황무지 살무사 아나 (Badlands Sidewinder Ana) === ||<-4>
[[파일:Badlands Sidewinder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3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4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 한기의 살무사 아나 (Cryo Sidewinder Ana) === ||<-4>
[[파일:Cryo Sidewinder Ana.png|width=100%]] || ||<|2> '''가격''' || [[파일:HotSGem.png]] 350 시공석 ||<|2> '''등급''' ||<|2> [[파일:Epic_Skin.png|width=20px]] 특급 스킨 || || [[파일:HotSShard.png]] 400 파편 || 스킨 이미지 및 설명. [[분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영웅/스킨]][[분류:아나(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