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nta [목차] == 불교의 승려 ==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 한 명인 [[아난다]]를 말한다. == [[인도 신화]]의 등장인물 == [[인도 신화]]의 [[나가(인도 신화)|나가]]. 나가란 인도 신화의 뱀신족이며 아난타는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다. 본명인 세샤(Shesha, शेष)로도 흔히 알려져 있다. 세샤는 '남아있는 존재', '여분'이란 의미. 아난타란 ‘[[무한]]’을 의미하며 사실 별호에 가까운 호칭이다. 아난타세샤, 세샤나가, 아디세샤로도 불린다. === 상세 === 무한히 긴 똬리와 수많은 머리[* 1천여 개, 100만여 개까지라고 묘사될 때도 있다.]를 가진 거대한 뱀으로, 세계의 시작과 끝에서만 나타나는 존재다. [[칼파]]가 끝나 세상이 멸망했을 때도 아난타는 계속 남아있다고 한다.[* 본명 세샤의 의미인 '남아있는 존재', '여분'과 연결되는 점.] 온화하고 사려깊은 성격으로, 나가를 원수로 보는 [[가루다]]도 아난타와는 친교를 맺었다. 뱀의 좋은 면을 상징. 나가족을 시작한 카샤파와 카드루의 첫째 자식이기 때문에, 인도 신화에서 비중있는 나가들은 모두 아난타의 동생이거나 친척이다. [[우유 바다 휘젓기]]로 유명한 [[바스키]] 역시 아난타의 동생. [[비슈누]] 신의 수하이며, 평소엔 비슈누가 휴식을 취할때 깔고 눕는 깔개 역할이다. 정확히는 똬리를 튼 몸통은 깔개, 수많은 머리는 비슈누의 위에서 차양 역할을 한다. 때로는 비슈누의 아내인 [[락슈미]]도 함께 올라가 있다. 인도 그림 중에서 비슈누가 똬리를 튼 뱀 위에 누워있는 그림이나 조각상이 대단히 많은데 이 뱀이 바로 아난타. 이런 구도에서 아난타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자아, 또는 우주의 무한함을 상징한다. 즉 비슈누가 그런 아난타를 깔개 삼고 있다는 것은 그가 자아나 무한도 능가하는 최고 존재임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러면서, 우주를 떠받치고 있는 에너지이자 우주의 실체를 상징[* 여담으로, 신화 속에서 뱀은 우주의 기원 혹은 창조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뱀은 존재 자체가 원초적 물질 혹은 존재를 뜻한다고 한다.]하는 것은 물론, 영원한 [[생성]]의 원리라고도 여겨진다고 한다. === 신화 === 어머니 카드루와 형제들이 [[비나타]]를 속이고 그 아들인 가루다까지 하대하는 것을 보곤 질려[* 자신의 뱀인 몸을 벗어던지는 것과 생사를 불문하고 자신의 뱀 친족을 다시는 보지 않기를 바랄 정도였다.] 그들을 떠났다. 이후 홀로 떠돌며 목숨을 건 혹독한 수행을 했으며, 수행의 대가로 [[브라흐마]]에게 진리를 추구하며 수행에 정진하는 삶을 살게 해달란 소원을 빌었다. 브라흐마는 감명을 받아 이를 이루어주곤 이미 비슈누의 수하가 된 가루다를 소개해주었으며, 세샤도 곧 비슈누의 수하가 된다. 또한 브라흐마가 세샤에게 세상을 떠받쳐서 안정시킬 것을 지시해 땅 밑으로 들어가 세상을 지탱하는 일도 맡게 된다. 브라흐마는 세샤가 그 무한한 똬리로 세상을 지탱하는 것을 보고 감탄했고, 이때 이후로 세샤는 아난타(무한)이란 이름으로 유명해진다. 비슈누가 세상에 화신으로 태어나면 형제로 같이 태어나서 그를 보좌한다. [[라마찬드라]]의 동생 락슈마나, [[크리슈나]]의 형 [[발라라마]]가 아난타의 화신이다. === 대중매체에서 === * [[SCP 재단]]에서 [[SCP-3000]]이 '''아난타세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 * [[사룡 아난타]] 참조. == [[네이버 웹툰]] [[쿠베라(웹툰)|쿠베라]]의 등장인물 == * [[아난타(쿠베라)]] 참조. == [[네이버 웹툰]] [[전자오락수호대]]의 등장인물 == * [[아난타(전자오락수호대)]] 참조. == [[여신전생 시리즈]]에 등장하는 악마 == * [[아난타(여신전생 시리즈)]]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가(인도 신화), version=95)]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