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0260A0 '''{{{+1 아델 H 이야기}}}''' (1975)[br]L'Histoire d'Adèle 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5 아델 H 이야기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전기]], [[드라마]], [[로맨스]] || || '''감독''' ||[[프랑수아 트뤼포]] || || '''각본''' ||프랑수아 트뤼포, 수잔 쉬프망, 장 그뤼오 || || '''원작''' ||아델 위고의 회고록[br]<아델 위고의 일기> || || '''제작''' ||마르셀 베르베르 || || '''주연''' ||[[이자벨 아자니]], 브루스 로빈슨 || || '''촬영''' ||네스토르 알멘드로스 || || '''편집''' ||마틴 바라크, 얀 데데, 장 가르고네, 미셸 네니, 뮤리엘 젤레니 || || '''미술''' ||장 피에르 고흣 스벨코 || || '''음악''' ||모리스 조베르 || || '''의상''' ||재클린 귀요 || ||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르 필름즈 두 카로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75년 10월 8일 || || '''화면비''' ||1.66 : 1 || || '''상영 시간''' ||1시간 36분 || || '''제작비''' ||'''500만 프랑''' || || '''북미 박스오피스''' ||'''110만 달러''' || || '''프랑스 총 관객 수''' ||'''762,644명'''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및 각본, [[이자벨 아자니]] 주연의 영화.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둘째 딸 아델 위고가 썼던 그녀의 일기를 바탕으로 하며, 짝사랑하던 군인 장교를 쫓아가다 서서히 광기에 잠식해가던 그녀의 삶을 다루고 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AFt98b6Xv4)]}}}|| || {{{#0260A0 '''▲ 예고편'''}}} || == 시놉시스 == > 빅토르 위고의 둘째 딸 아델은 런던에서 만났던 장교를 사랑하게 된다. > 그리고 그 사랑을 위해서 그녀는 집을 떠나 미국의 할리 팩스로 발령난 핀슨 중위를 따라 미국으로 무작정 오고만다. > 하지만 정작 핀슨의 마음은 떠나고 얼음장처럼 식은 상태이다. == 등장인물 == * [[이자벨 아자니]] - 아델 위고 역 * 브루스 로빈슨[*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킬링필드(영화)|킬링필드]] 각본을 써서 아카데미 각색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알버트 핀슨 중위 * 실비아 매리어트 - 샌더스 부인 역 * 조셉 블랙클리 - 미스터 위슬러 역 * [[이브리 기틀리스]] - 최면술사 역 == 줄거리 ==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둘째 딸이자 재능 있는 작가인 ‘아델 위고’는 런던에서 만난 장교 ‘앨버트 핀슨’ 중위와 사랑에 빠진다. 아델은 그와 결혼하기 위해 가족들을 뒤로 한 채,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의 핼리팩스로 발령이 난 핀슨 중위를 찾아 나선다. 아델은 자신이 핼리팩스에 도착했다고 핀손에게 편지를 쓰지만 그에게서는 연락이 없다. 이미 핀슨의 마음은 아델에게서 떠난 상태. 답장을 기다리다 지친 아델은 크게 실망하지만 핀슨의 부모님에게 애원하다시피 해 결혼 승낙을 받아낸다. 계속 핀손을 따라 다니며 구애하지만 그는 아델을 뿌리치고 판사의 딸과 결혼하려 한다. 이를 알게 된 아델은 핀슨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판사를 찾아가 임신했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나 핀슨은 그녀를 끝내 외면한다. 그리고 핀손은 소속 부대를 따라 카리브해의 바베이도스로 이동하자 아델은 그곳까지 집요하게 따라가며 광기어린 구애와, 감시, 그리고 저주를 반복하며 스토킹을 하게 된다. 아델은 점차 이성을 잃고 미쳐가고, 결국 눈앞을 스쳐가는 연인 핀슨 조차도 알아보지 못하고 낯선 거리를 배회한다.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로튼토마토=the_story_of_adele_h, 로튼토마토_tomato=93, 로튼토마토_popcorn=80, IMDb=tt0073114, IMDb_user=7.2, 레터박스=the-story-of-adele-h, 레터박스_user=3.7, 알로시네=29709,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3.6,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Filmarks=, Filmarks_user=, ## 엠타임=, 엠타임_user=, ## 도우반=, 도우반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P5m8zd, 왓챠_user=3.5, 키노라이츠=44608, 키노라이츠_light=85.71, 키노라이츠_star=3.8,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MRQE=lhistoire-dadele-h-m100008412,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 TMDB=, TMDB_user=,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트뤼포 감독의 미적 감각이나 섬세한 연출력을 볼 수도 있는 작품이지만 그 무엇보다도 [[이자벨 아자니]]의 연기력이 주목 받은 작품. 당시 몇몇 영화에서 조연을 맡으며 조금씩 신인급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던 아자니가 본격적으로 프랑스를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이자 스타가 된 시작점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포제션(영화)|포제션]]이나 [[카미유 클로델(1988)|카미유 클로델]], [[여왕 마고]]에서 보여준 아자니 특유의 '매우 아름답지만 어딘가 정상적이지 못하거나 아예 광기에 빠지는 주인공' 역할의 시발점으로 불리기도 한다. == 수상 및 후보 == * 제1회 [[세자르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이자벨 아자니]]), 미술상 후보 * [[제48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이자벨 아자니]])[* 당시 기준으로는 역대 최연소(20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면서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28년간 깨지지 않다가 2004년 [[제7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키샤 캐슬휴스가 13세의 나이로 후보에 오르면서 깨졌다.] 후보 == 기타 == * 본작에서 다뤄지지 않은 이후 시점의 아델 위고의 삶도 비참했는데, 실연의 충격으로 끝내 자살을 기도한 뒤 겨우 목숨은 구했으나 실어증에 걸렸다. 이후 평생 웃지도 않고 말도 하지 않으며 1915년 88살에 독신으로 눈을 감기전까지 65년을 보냈으며, 그마저도 1872년에는 정신이상증세를 보여 43년간은 정신병원에서 살아야했다. 아버지 [[빅토르 위고]]도 딸의 마음을 풀어보고자 책을 건네주거나 온갖 용하다는 의사에게 진찰도 했으나, 35년동안 단 한마디도 딸에게 어떤 말을 들을 수 없음을 슬퍼하며 먼저 세상을 떠났다. 심지어 아델은 아버지 장례식 때조차 말없이 그냥 눈물만 흘렸다고 한다. 그나마 감정은 살아 있어서인지 말 대신 글로 대화를 나누었다고. * 1967년에 초기 기획 때는 [[잔느 모로]] 주연의 대규모 영화로 기획되었다가 이내 당시 트뤼포 감독과 사귀는 사이였던 [[카트린 드뇌브]]가 주연으로 고려되었고, 이후 프로젝트가 7년간 표류하다가 TV 방송에서 당시 신인으로 주목받던 [[이자벨 아자니]]를 트뤼포가 보고 주연으로 발탁하면서 현재의 캐스팅이 되었다. 여담으로 [[실비아 크리스털]]도 주연 오디션을 본 적 있으나 떨어졌다고 한다. * [[이동진]] 평론가는 [[이자벨 아자니]]의 연기 중 가장 좋아하는 연기로 본작에서의 연기를 꼽은 바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IAm_PKikfk|#]] * 미국 개봉 당시 [[로저 코먼]]이 배급을 맡았는데, 100만 달러 조금 넘는 흥행을 보이면서 쏠쏠하게 수익을 벌었다고 한다. * 촬영은 [[건지 섬]]과 [[세네갈]]에서 이루어졌다. * 극중에서 [[빅토르 위고]]의 모습은 한번도 나오지 않는데, 촬영 당시 판권을 가지고 있던 빅토르 위고의 직계자손 장 위고가 '빅토르 위고가 스크린에 나타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영화화 판권을 팔아서 였다고 한다. [[분류:프랑스의 전기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로맨스 영화]][[분류:1975년 영화]][[분류:프랑수아 트뤼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