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LopsidedNastyDrunkBranch, 합의사항1=실존/가상인물 예시 전체 삭제 및 서술 불허하기)] || [[파일:1701051706300870.jpg|width=100%]] || [[파일:아들바보.jpg|width=100%]] || || [[샘 해밍턴]][* 참고로 위에 나오는 아들 '[[윌리엄 해밍턴]]'은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출연하면서 현재는 [age(2016-07-12)]살이 되었다. 년생 차이로 태어난 남동생 '[[벤틀리 해밍턴]]'도 현재는 [age(2017-11-08)]살이 되었다.] || 가상의 사례인 [[만화]] [[바라카몬]]의 한다 에미 || [목차] [clearfix] == 소개 ==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아들]]을 각별히 아끼는 부모라는 뜻이다. == 여담 == * 드라마에서 [[유부녀]] 캐릭터 특히 [[한국 드라마]]의 경우 이런 엄마는 왠지 아들을 '''[[오들희|아드↗을↘~♡]]'''[* 실제로 이런 엄마가 많다.] 같은 악센트로 부르기 마련(…) 子테크로 진화하면 김 부장이니 이 실장이니 하면서 아예 아들의 직함을 이름처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런 캐릭터는 십중팔구 아들의 여자친구나 [[며느리]]를 탐탁치않게 보는 전형을 띄곤 한다.] * [[막장 드라마]]에선 아들이 성공하면 성공할수록 아들바보가 아니라 [[결혼]]을 위해 아들을 子테크 대상으로 삼는 막장 부모로 진화하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한국에선 이러한 남아 선호는 서서히 줄어들고 있지만, 이는 아들의 직업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개나 소나 [[금수저]]에 능력남인 막장 드라마의 실장님을 둔 부모들은 90% 이상은 아들바보가 심한 편. 드라마에서 아들바보 캐릭터를 자주 맡는 연기자로는 [[이혜영(1962)|이혜영]], [[전원주]], [[박원숙]] 등이 있다. 한편 [[정애리]]는 딸바보/양모 캐릭터로 특화된다. * 현실에서 딸바보가 아빠만 있는 게 아닌 것처럼 아들바보 아빠들도 많다.[* 사실 정상적인 부모라면 아들이든 딸이든 당연히 자식바보일 수 밖에 없다.] 예를 들면 조선 3대 국왕 [[태종(조선)|태종]]은 냉철한 왕으로서의 행보와 달리 사적으로는 아들들에게 너무나도 무른 아빠의 모습을 보여줬다. 실제로 [[영미권]]이나 [[유럽]] 아빠들은 딸보다 아들을 더 선호하며 함께 취미 생활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 [[딸바보]] [[분류:인물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