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용사(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アラメシアの儀.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아라메시아의 의, 일어판 명칭=アラメシアの(), 영어판 명칭=Rite of Aramesir,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특수 소환된 몬스터 이외의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용사 토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용사 토큰"(천사족 / 땅 / 레벨 4 / 공 2000 / 수 200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 필드에 "운명의 여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덱에서 "운명의 여로"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앞면 표시로 놓을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준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준제한 카드)] [[용사(유희왕)|용사 시리즈]]의 키 카드. 공식 사이트의 언급에 따르면 '''모험의 시작인 키 카드(冒険のはじまりとなるキーカード)'''이며, 그에 걸맞게 공개된 카드 중에서는 [[용사 토큰]]을 생성할 수 있는 최초의 카드다. 자신 필드에 용사 토큰이 없으면 [[용사 토큰]]을 1장 특수 소환하고, 운명의 여로가 없으면 추가로 운명의 여로를 필드에 놓을 수 있는 효과를 가졌다.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만 발동 가능하다는 디메리트가 있으나, 그 외의 조건은 붙어있지 않기 때문에 성전의 수견사, 방랑의 그리폰라이더, 운명의 여로, 기룡 드라코백과 함께 일반 소환권을 사용하지 않는 덱에서 용병으로 사용된다. 이 카드 1장으로 2장 분량의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필드에 놓이는 두 장이 모두 덱 운용에 필수적인 존재이므로 덱의 키 카드라 할 만 하다. 덕분에 몬스터 카드도 아니고 일반 마법이, 테마의 카드 중 가장 앞 번호에 위치한다. 이 카드를 즉시 서치할 수 있는 수단은 성전의 수견사 1장이며, 운명의 여로로 수견사를 서치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서치 수단은 6장 정도. 수견사는 묘지의 이 카드를 재사용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특수 소환한 몬스터 이외의 효과 발동을 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는 발동을 무효화 당했다면 디메리트도 없지만, 효과를 무효화 당했다면 디메리트가 그대로 남는다. [[왕궁의 칙명]], [[무한포영]]으로 인해 효과가 무효화 될 경우 용사 파츠 정지 + 일소효과 증발이라는 연타를 당하게 되므로 주의. 이 디메리트를 상쇄시키거나 역으로 이용하여 부정적인 효과의 발동을 막는 전략도 있다. 대표적으로 스피릿 몬스터인 [[아마노이와토(유희왕)|아마노이와토]]의 효과인 패로 돌아가는 효과를 막아 필드에 남겨두어 강력한 락을 거는 전략이 있다. 일러스트는 성전의 수견사가 용사를 소환하는 모습. 아라메시아의 어원은 이세계물에 흔히 보이는 내용인 구세주(=메시아)를 부른다[* 現(あら)わす 라고 적을 수 있으며 한글로 발음을 옮기면 ''''아라'''와스'가 된다.]는 뜻으로 추정되었는데, 영어판이 공개된 뒤 '''[[리세마라]]를 거꾸로 쓴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많아졌다.[* 엄밀히 말하면 리세마라는 리셋+마라톤이므로 Reset Marathon을 줄이면 r'''e'''semara가 되는 게 맞다. r'''i'''semara인 이유는 일본어 자판 때문으로 보이는데, 스마트폰에서 가타카나를 입력하는게 아니라 로마자 - 일어변환 자판을 써보면 알겠지만 rise는 '''リ'''セ(리세), rese는 '''レ'''セ(레세)로 적힌다.][* 일본에서 4글자 축약된 단어는 일본어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 다시 영문 표기로 바꿀 때 굳이 어원을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소녀전선|도루후로]]는 dollfro라고 쓸 수 있지만, dorufuro라고 쓸 수도 있다. 게다가 영어권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게임을 재개하는 행위는 보통 reroll이라고 하고, reset marathon이라는 표현은 risemara의 어원을 설명할 때가 아니면 잘 쓰지 않는다.] 이후 나온 용사 카드군인 금주 '아라마티아'가 비슷하게 리타마라[* 리타이어+마라톤. 게임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 까지 포기(혹은 초기화)를 하는 행위]를 애너그램했다는 점에서 반쯤은 공식 확정. 특이한 테마 컨셉 덕분에 팬들이 만든 비공식 틀을 사용해서 용사 토큰을 개인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 인기 이세계물이나 판타지 작품의 주인공 캐릭터는 물론이고 여타 유희왕 카드들, 예를 들어 '''[[젬나이트 크리스타|경력직 용사]]'''를 토큰으로 사용하는 등 유저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일러스트가 활용되고 있다. 성전의 수견사 → 아라메시아의 의 → 운명의 여로로 이어지는 서치 연계가 워낙 성능이 강력했던 탓에 OCG에서는 2022년 1월 수견사와 함께 준제한 카드가 되었고, 4월에 다시 제한을 먹여 2연타로 제재를 받았다. 정작 한국에서는 수록 팩의 발매 일자가 금제 공개보다 이틀 늦은 덕에 처음부터 준제한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는 출시와 함께 준제한이 적용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그랜드 크리에이터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グランド・クリエイターズ]] || DBGC-JP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 DBGC-KR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그랜드 크리에이터즈|The Grand Creators]] || GRCR-EN025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성전의 수견사]] === === [[용사(유희왕)#운명의 여로|운명의 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