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증강)] [목차] == 개요 ==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게임 모드 아레나의 프리즘 등급 증강들을 모아놓은 문서. == 목록 == 프리즘 증강은 상당히 위력적인 능력을 제공하는 증강이 많다. 특히 아레나라는 모드와 잘 맞지 않는 저승률 챔피언들은 이러한 태생적인 단점을 극복하게 해주는 프리즘 증강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상당히 큰 편이다. 하지만 파워가 막강한 탓에 어울리는 프리즘 증강을 얻지 못했다면 게임이 상당히 불리해진다. === 거석상의 용기(Courage of the Colossus) === ||<#52656b><-6> [[파일:Courage_of_the_Colossu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거석상의 용기}}} ||<#132638><-12> {{{#white 적 챔피언을 이동 불가 상태로 만든 후 최대 체력에 비례한 보호막을 얻습니다.}}}[br] ---- {{{-3 {{{#white 보호막 양: 100-400 + {{{#1F995C (0.06 최대 체력)}}}}}}}}}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eona_portrait.png|width=15%]]]] [[렐|[[파일:rell_portrait.png|width=15%]]]] [[세주아니|[[파일:sejuani_portrait.png|width=15%]]]] [[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nautilus_portrait.png|width=15%]]]] [[알리스타|[[파일:alistar_portrait.png|width=15%]]]] || 이동 불가 효과가 있는 탱커 계열 챔피언들과 어울리는 증강. 이 증강 자체에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없기에 이동 불가 효과 기술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줄이면 더욱 자주 발동할 수 있다. 다만, 둔화 효과 정도만 있고 이동 불가 효과가 없는 탱커 계열 챔피언(문도 박사 등)들에게는 다른 증강 등으로 이동 불가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얻지 못하면 거의 쓸모가 없는 증강이다. === 거인(Goliath) === ||<#52656b><-6> [[파일:Goliath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거인}}} ||<#132638><-12> {{{#white 크기가 커져 체력이 35% 증가하고 적응형 능력치가 15% 증가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문도 박사|[[파일:DrMundo_portrait.png|width=15%]]]] [[사이온|[[파일:sion_portrait.png|width=15%]]]] [[일라오이|[[파일:illaoi_portrait.png|width=15%]]]] [[오른|[[파일:ornn_portrait.png|width=15%]]]] [[초가스|[[파일:chogath_portrait.png|width=15%]]]] || 체력과 적응형 능력치를 둘 다 올려줘 딜과 탱을 모두 올려주기에 딱히 시너지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부담없이 선택 가능한 증강이다. 하지만 거인 학살자나 몰락한 왕의 검 등 체력 탱커를 카운터칠 수 있는 것들도 많으니 유의할 것. === 거인 학살자(Giant Slayer) === ||<#52656b><-6> [[파일:Giant_Slaye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거인 학살자}}} ||<#132638><-12> {{{#white 몸집이 작아지고 이동 속도가 30% 증가하며 나보다 큰 챔피언에게 체급 차에 비례해 추가 피해를 15%~35% 입힙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진(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hin_portrait.png|width=15%]]]] [[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illia_portrait.png|width=15%]]]] [[제리(리그 오브 레전드)|[[파일:zeri_portrait.png|width=15%]]]]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inx_portrait.png|width=15%]]]] [[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quinn_portrait.png|width=15%]]]] || 보통 이동 속도가 증가하면서 추가 피해를 준다는 점으로 인해 이동 속도가 매우 중요한 일부 딜러들이 애용하는 편이다. 다만 이 증강은 도미닉 경의 인사와 다르게 상대방의 체력을 고려하지 않는다. 단순히 크기 차이로만 추가 피해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크기가 작아진다는 증강 특성상 일정량의 추가 피해는 무조건 보장되는 편이다. 위의 '''거인''' 증강이나 크기가 커지는 '''매드 사이언티스트''' 효과를 받으면 거의 최대치인 35% 피해를 줄수 있다. 또한, 강철심장 등의 효과로 크기가 커진 챔피언이나 포식 중첩을 많이 초가스에게도 상당한 추가 피해를 줄수 있다. 역으로 초가스 및 강철심장을 주로 올리는 챔피언들은 크기 차이가 다른 챔피언들에 비해 거의 없어지기에 추가 피해 효과를 누릴수 없어서 별로 효과를 볼수 없다. 상성이 좋지 않음에도 증강 선택지에 등장하니 유의해야 한다. === 검무(Blade Waltz) === ||<#52656b><-6> [[파일:Blade_Waltz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검무}}} ||<#132638><-12> {{{#white 검무 소환사 주문을 얻습니다.[br]검무를 사용하면 적에게 돌진해 8회 공격하는 동안 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습니다.}}}[br] ---- {{{-3 {{{#white 1회 피해량: 30~15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 + {{{#eb8d34 (0.1 추가 공격력)}}} + {{{#786cff (0.06 주문력)}}} + 적중 시 피해량의 50%[br]최대 피해량: 240~120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 + {{{#eb8d34 (0.8 추가 공격력)}}} + {{{#786cff (0.48 주문력)}}} + 적중 시 피해량의 5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iora_portrait.png|width=15%]]]]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alon_portrait.png|width=15%]]]]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파일:zed_portrait.png|width=15%]]]] [[가렌|[[파일:garen_portrait.png|width=15%]]]] [[나피리|[[파일:naafiri_portrait.png|width=15%]]]] || 자체 피해량도 상당한 편인데 자기 주변에 피해를 지속적으로 주는 종류의 스킬이 있는 경우 그 스킬을 검무 지속 시간내에 계속 입힐 수 있다. 특히 가렌의 E-심판과 궁합이 잘 맞는 편. 최고의 활용법은 연장전 끝자락에 사용해서 일방적으로 무적 상태가 되어 불 대미지를 씹는 것이다. 원문명이 [[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5.15 업데이트 전|리메이크 전 피오라]]의 궁극기 명칭과 동일한데 한글 번역에서는 검무라고 다르게 번역했다. === 검을 뽑아라(Draw Your Sword) === ||<#52656b><-6> [[파일:Draw_Your_Sword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검을 뽑아라}}} ||<#132638><-12> {{{#white 근접 챔피언이 됩니다. 공격력 35%, 체력 35%, 공격 속도 25%, 생명력 흡수 25%, 이동 속도 25%를 얻습니다. (공격 사거리에 따라 획득 능력치 증가)}}}[br] ---- {{{-3 {{{#white 원거리 챔피언의 원래 공격 사거리에 따라 획득 능력치가 0~30% 증가합니다.[br]500일때 0%, 이후 각 사거리 15마다 3%씩 증가하며 650일때 최대치인 30%를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그레이브즈|[[파일:graves_portrait.png|width=15%]]]] [[사미라|[[파일:samira_portrait.png|width=15%]]]] [[우르곳|[[파일:urgot_portrait.png|width=15%]]]] [[드레이븐|[[파일:draven_portrait.png|width=15%]]]] [[트리스타나|[[파일:tristana_portrait.png|width=15%]]]] || === 결투의 대가(Master of Duality) === ||<#52656b><-6> [[파일:Master_of_Duality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결투의 대가}}} ||<#132638><-12> {{{#white 기본 공격 시 중첩되는 주문력을 얻고 스킬 사용 시 공격력을 얻습니다.}}}[br] ---- {{{-3 {{{#white 획득 주문력: {{{#786cff (6 ~ 18[[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br]획득 공격력: {{{#eb8d34 (3 ~ 9[[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카이사|[[파일:kaisa_portrait.png|width=15%]]]] [[케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yle_portrait.png|width=15%]]]] [[바루스|[[파일:varus_portrait.png|width=15%]]]] [[쉬바나|[[파일:shyvana_portrait.png|width=15%]]]]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tarina_portrait.png|width=15%]]]] || === 궁극기 대변혁(Ultimate Revolution) === ||<#52656b><-6> [[파일:Ultimate_Revolution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궁극기 대변혁}}} ||<#132638><-12> {{{#white 라운드마다 한 번 궁극기를 사용한 다음 초기화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말파이트|[[파일:malphite_portrait.png|width=15%]]]]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alon_portrait.png|width=15%]]]] [[아무무|[[파일:amumu_portrait.png|width=15%]]]]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파일:zed_portrait.png|width=15%]]]] [[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qiyana_portrait.png|width=15%]]]] || 궁극기의 밸류가 높은 챔피언이 고르면 좋은 증강이다. === 궤도형 레이저(Orbital Laser) === ||<#52656b><-6> [[파일:Orbital_Lase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궤도형 레이저}}} ||<#132638><-12> {{{#white 소환사 도주를 궤도형 레이저로 대체합니다. 얼마 후, 궤도형 레이저 폭격으로 최대 체력의 20%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에 더해 마법 피해를 3초에 걸쳐 입힙니다.}}}[br] ---- {{{-3 {{{#white 마법 피해량: 0.5초마다 40-120[br]사거리: 55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uumi_portrait.png|width=15%]]]] [[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organa_portrait.png|width=15%]]]] [[사이온|[[파일:sion_portrait.png|width=15%]]]] [[초가스|[[파일:chogath_portrait.png|width=15%]]]] [[뽀삐(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oppy_portrait.png|width=15%]]]] || 상대에 레이드 보스 증강을 선택한 챔피언이 있으면 좋다. 시간을 많이 끌어 자기장이 좁아진 상태에서 쓰는 것도 좋다. === 기본으로 돌아가기(Back to Basics) === ||<#52656b><-6> [[파일:Back_to_Basic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기본으로 돌아가기}}} ||<#132638><-12> {{{#white 피해량, 체력 회복량, 보호막이 증가하고 스킬 가속을 얻지만, 궁극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br] ---- {{{-3 {{{#white 피해량, 체력 회복량, 보호막 증가량: 35%[br]획득 스킬 가속: 6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antheon_portrait.png|width=15%]]]] [[트위스티드 페이트|[[파일:twistedFate_portrait.png|width=15%]]]] [[코그모|[[파일:kogmaw_portrait.png|width=15%]]]] [[진(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hin_portrait.png|width=15%]]]] [[브라이어(리그 오브 레전드)|[[파일:briar_portrait.png|width=15%]]]] || 선택하면 입히는 데미지 + 받는 힐 + 실드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궁극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에 궁극기 의존도가 매우 큰 챔피언이 선택하면 오히려 독이 된다. 따라서 궁극기가 아레나에서 크게 쓸모없는 챔피언이 드는 편이다.[* 예시로 로밍에 최적화되거나 위치가 고정되는 궁극기.] === 난공불락(Can't Touch This) === ||<#52656b><-6> [[파일:Can%27t_Touch_Thi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난공불락}}} ||<#132638><-12> {{{#white 궁극기를 사용하면 잠시 동안 무적 상태가 됩니다.}}}[br] ---- {{{-3 {{{#white 재사용대기시간: 8초}}}}}}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사미라|[[파일:samira_portrait.png|width=15%]]]] [[카사딘|[[파일:kassadin_portrait.png|width=15%]]]]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tarina_portrait.png|width=15%]]]]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ayce_portrait.png|width=15%]]]] [[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rma_portrait.png|width=15%]]]] || 궁극기가 없는 우디르의 경우에는 각성된 스킬 사용 시 발동된다. === 눈알 광선(Laser Eyes) === ||<#52656b><-6> [[파일:Laser_Eye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눈알 광선}}} ||<#132638><-12> {{{#white 내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선을 발사해 매초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br] ---- {{{-3 {{{#white 마법 피해량: 0.25초마다 5-60(+ 0.14 추가 공격력)(+0.09 주문력)[br]사거리: 700 / 너비: 8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아우렐리온 솔|[[파일:aurelionSol_portrait.png|width=15%]]]] [[유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uumi_portrait.png|width=15%]]]] [[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nautilus_portrait.png|width=15%]]]] [[사이온|[[파일:sion_portrait.png|width=15%]]]] [[탐 켄치|[[파일:tahmKench_portrait.png|width=15%]]]] || === 대지의 각성(Earthwake) === ||<#52656b><-6> [[파일:Can%27t_Touch_Thi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대지의 각성}}} ||<#132638><-12> {{{#white 돌진, 도약, 점멸, 순간이동 스킬이 0.75초 후에 폭발하는 흔적을 남깁니다.}}}[br] ---- {{{-3 {{{#white 폭발 피해량: 125-125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eb8d34 (+ 0.93375 추가 공격력)}}}{{{#786cff (+0.51875 주문력)}}}의 {{{#darkorange 물리 피해}}}}}}}}}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yke_portrait.png|width=15%]]]] [[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qiyana_portrait.png|width=15%]]]]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iven_portrait.png|width=15%]]]] [[라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akan_portrait.png|width=15%]]]] [[케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yn_portrait.png|width=15%]]]] || === 도적의 장갑(Thief's Gloves) === ||<#52656b><-6> [[파일:Thief%27s_Glove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도적의 장갑}}} ||<#132638><-12> {{{#white 현재 아이템을 제거하는 대신 전투가 시작될 때마다 무작위 아이템을 얻습니다.[br]아이템으로 얻는 능력치 및 피해량이 30% 증가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잭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ax_portrait.png|width=15%]]]] || 매 라운드마다 아이템 하나를 얻으며 이 아이템이 라운드마다 계속 바뀐다. 라운드마다 모두가 3000골드를 받지 않기 때문에 남들보다 중반에 아이템 2,3개를 더 앞설 수 있다. 더군다나 이 아이템 스탯마저도 증가한다. 다만 프리즘 증강 중에선 매우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데, 남들보다 스탯이 중반에 압도적으로 증가한다고는 해도 결국 무작위이기에 템간의 시너지가 엉망진창이 되어버리고 후반이 되면 남들도 풀템을 맞추게 되는데, 아레나 모드의 특성상 초중반에 다 이겨먹어도 후반에 잃는 팀 체력이 더 많다는 걸 생각하면 정말 설계가 잘못된 증강. 볼리베어나 우디르 등 기형적으로 여러 아이템 요소가 어울리는 챔피언 외에는 운용 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 돌진(Dashing) === ||<#52656b><-6> [[파일:Dashing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돌진}}} ||<#132638><-12> {{{#white 이동 스킬의 스킬 가속이 250만큼 증가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스킬 가속을 200에서 250으로 상향시킨 패치 이후부터 증강이 나오지 않는 버그가 생겼다. === 레이드 보스(Raid Boss) === ||<#52656b><-6> [[파일:Raid_Bos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레이드 보스}}} ||<#132638><-12> {{{#white 아레나 중앙에 구속되어 움직일 수 없는 채로 매 라운드를 시작합니다. 구속된 동안에는 받는 피해가 85%(잃은 체력에 비례) 감소하고 체력, 공격력, 주문력이 점차 증가합니다.(최대 50%) 9초가 지나거나 체력이 50%로 떨어지면 구속에서 풀려나며 적들을 밀쳐내고 최대 체력의 35%에 해당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사이온|[[파일:sion_portrait.png|width=15%]]]] [[크산테|[[파일:ksante_portrait.png|width=15%]]]] [[세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ett_portrait.png|width=15%]]]] [[헤카림|[[파일:hecarim_portrait.png|width=15%]]]] [[문도 박사|[[파일:DrMundo_portrait.png|width=15%]]]] || 라운드 시작 시 챔피언이 구속된 상태로 맵의 중앙에 배치된다. 구속되는 동안에는 제압 판정을 받고 이외의 방해 효과를 받지 않으며 움직이거나 스킬을 사용할수 없지만 체력 + 공격력 + 주문력이 점차 증가하고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 즉, 상대가 구속된 챔피언을 공격할 수 있다.] 체력이 50% 이하가 되거나 9초가 지나면 구속이 풀리며 주변에 있던 적을 밀쳐냄과 동시에 보호막을 얻는다. 스탯을 원래 스탯에서의 일정 비율만큼 얻는 것이기에 딜러가 선택할 시 엄청난 데미지를 보여줄 것 같으나 실상은 이러한 딜러들은 체력이 낮아서 구속이 금방 풀려서 별로 의미가 없다. 오히려 가운데에 위치한다는 점 때문에 구속에서 풀려난 뒤 도망치지 못하고 그대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어느정도 데미지가 보장되면서도 탱킹력도 있는 브루저들이 선택하는 편. === 마법 가속(Accelerating Sorcery) === ||<#52656b><-6> [[파일:Accelerating_Sorcery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마법 가속}}} ||<#132638><-12> {{{#white 스킬 사용 시 라운드 종료까지 무한히 중첩되는 스킬 가속을 얻습니다.}}}[br] ---- {{{-3 {{{#white 획득 스킬 가속: 9}}}}}}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zilean_portrait.png|width=15%]]]] [[헤카림|[[파일:hecarim_portrait.png|width=15%]]]]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iven_portrait.png|width=15%]]]] [[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rma_portrait.png|width=15%]]]] [[소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ona_portrait.png|width=15%]]]] || 스킬 가속은 모두에게 상당히 유용한 옵션이지만 스킬을 사용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어서 스킬 전체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심각하게 길거나 주변에 적이 없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는 챔피언들은 사용하기 상당히 애매한 편이다. === 마트료시카(Nesting Doll) === ||<#52656b><-6> [[파일:Nesting_Doll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마트료시카}}} ||<#132638><-12> {{{#white 처음 죽으면 작은 몸으로 부활해 최대 체력이 65%, 피해량이 65%로 감소합니다. 또 죽으면 더 작은 몸으로 부활해 최대 체력이 35%, 피해량이 35%로 감소합니다. 부활 시 주변 적을 밀쳐냅니다.}}}[br] ---- {{{-3 {{{#white 처음 부활할 때에는 크기가 80%로 감소하며 두번째로 부활할 때에는 크기가 60%로 감소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yke_portrait.png|width=15%]]]] [[트린다미어|[[파일:tryndamere_portrait.png|width=15%]]]] [[뽀삐(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oppy_portrait.png|width=15%]]]] [[알리스타|[[파일:alistar_portrait.png|width=15%]]]] [[샤코(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haco_portrait.png|width=15%]]]] || === 미친 과학자([[매드 사이언티스트|Mad Scientist]]) === ||<#52656b><-6> [[파일:Mad_Scientist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미친 과학자}}} ||<#132638><-12> {{{#white 라운드 시작 시 크기가 커져 공격력 및 체력이 증가하거나[br]크기가 작아져 스킬 가속 및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br] ---- {{{-3 {{{#white 추가 공격력: 30% / 추가 체력: 20%[br]추가 스킬 가속: 70 / 추가 이동 속도: 3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진(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hin_portrait.png|width=15%]]]] [[세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ett_portrait.png|width=15%]]]] [[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yke_portrait.png|width=15%]]]] [[뽀삐(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oppy_portrait.png|width=15%]]]] [[신지드|[[파일:singed_portrait.png|width=15%]]]] || 주는 효과가 랜덤이기에 보통은 두가지 효과가 모두 잘 어울리는 챔피언들이 사용한다. === 보석 건틀릿(Jeweled Gauntlet) === ||<#52656b><-6> [[파일:Jeweled_Gauntlet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보석 건틀릿}}} ||<#132638><-12> {{{#white 스킬에 치명타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br]치명타 확률이 20 {{{#mediumslateblue (+ 0.05 주문력)}}}% 증가합니다.}}}[br] ---- {{{-3 {{{#white 이 증강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스킬이 140%의 피해를 입힙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니달리|[[파일:nidalee_portrait.png|width=15%]]]] [[갱플랭크|[[파일:gangplank_portrait.png|width=15%]]]]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ayce_portrait.png|width=15%]]]] [[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velynn_portrait.png|width=15%]]]]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파일:zoe_portrait.png|width=15%]]]] || === 세월의 지혜(Wisdom of Ages) === ||<#52656b><-6> [[파일:Wisdom_of_Age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세월의 지혜}}} ||<#132638><-12> {{{#white 지금 1레벨이 증가하고 두 라운드마다 추가로 1레벨이 증가합니다. 레벨 제한이 사라집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케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yle_portrait.png|width=15%]]]] [[나서스|[[파일:nasus_portrait.png|width=15%]]]] [[요릭(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orick_portrait.png|width=15%]]]] [[우디르|[[파일:udyr_portrait.png|width=15%]]]] [[초가스|[[파일:chogath_portrait.png|width=15%]]]] || === 소환사의 룰렛(Summoner's Roulette) === ||<#52656b><-6> [[파일:Summoner%27s_Roulette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소환사의 룰렛}}} ||<#132638><-12> {{{#white 보유한 소환사 주문이 무작위로 바뀝니다.[br]전투 중 소환사 주문을 사용하면 무작위로 바뀌고 재사용 대기시간 6초가 적용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uumi_portrait.png|width=15%]]]] || 소환사의 협곡, 아레나 전용 주문를 총합해서 무작위로 나온다. 여담으로 준비 단계에서 점멸이 있으면 사용 후 재사용 대기시간이 곧바로 초기화돼서 남발할 수 있다. === 신비한 주먹(Mystic Punch) === ||<#52656b><-6> [[파일:Mystic_Punch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신비한 주먹}}} ||<#132638><-12> {{{#white 기본 공격 시 재사용 대기시간이 1.25초 감소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마스터 이|[[파일:masterYi_portrait.png|width=15%]]]] [[이렐리아|[[파일:irelia_portrait.png|width=15%]]]] [[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iora_portrait.png|width=15%]]]]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ucian_portrait.png|width=15%]]]] [[요네|[[파일:yone_portrait.png|width=15%]]]] || 평타 강화 스킬, 적중 시 효과 스킬이 있는 챔피언들이 가면 매우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증강이다. 시즌 1에는 1초 감소였다가 시즌 2에서 1.25초로 버프되었다. 대신 시즌 2부터 연속적으로 하드CC를 맞으면 잠시 저지불가를 얻도록 변경되었기에 시즌 1처럼 무한 CC기로 일방적으로 패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 양자 연산(Quantum Computing) === ||<#52656b><-6> [[파일:Quantum_Computing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양자 연산}}} ||<#132638><-12> {{{#white 10초마다 자동으로 주변의 원형 범위를 베고 가장자리에 있는 적에게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br] ---- {{{-3 {{{#white 피해량: 120~300(+1 추가 공격력)(+0.6 주문력)의 물리 피해}}}}}}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일:pyke_portrait.png|width=15%]]]] [[유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uumi_portrait.png|width=15%]]]] [[사이온|[[파일:sion_portrait.png|width=15%]]]] [[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arius_portrait.png|width=15%]]]] [[가렌|[[파일:garen_portrait.png|width=15%]]]] || === 연쇄 번개(Chain Lightning) === ||<#52656b><-6> [[파일:아레나_프리즘_연쇄번개.png|width=30%&align=center]] {{{#white 연쇄 번개}}} ||<#132638><-12> {{{#white 적에게 피해를 입힐 때 주변에 해당 적의 동료가 있다면 50%의 {{{#cdfafa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br] ---- {{{#white {{{-3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15]] 70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요릭(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orick_portrait.png|width=15%]]]] [[일라오이|[[파일:illaoi_portrait.png|width=15%]]]] [[갱플랭크|[[파일:gangplank_portrait.png|width=15%]]]] [[우디르|[[파일:udyr_portrait.png|width=15%]]]] [[나피리|[[파일:naafiri_portrait.png|width=15%]]]] || 상대에게 피해를 입힐때 상대 주변에 다른 상대가 있을 경우 해당 상대에게 입힌 피해의 절반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입힌다. === 요정 마법(Fey Magic) === ||<#52656b><-6> [[파일:Fey_Magic_augment.webp|width=30%&align=center]] {{{#white 요정 마법}}} ||<#132638><-12> {{{#white 궁극기로 피해를 입히면 대상을 1.5초간 변이시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8초)}}}[br] ---- {{{#white {{{-3 변이된 대상은 지속 시간동안 기본 이동 속도가 60 감소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tarina_portrait.png|width=15%]]]] [[사미라|[[파일:samira_portrait.png|width=15%]]]]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alon_portrait.png|width=15%]]]] [[애니비아|[[파일:anivia_portrait.png|width=15%]]]] [[요릭(리그 오브 레전드)|[[파일:yorick_portrait.png|width=15%]]]] || [[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트위치]] 등의 일부 효과를 전혀 볼 수 없는 챔피언에게도 해당 증강이 나온다. === 우주의 중심(Center of the Universe) === ||<#52656b><-6> [[파일:Center_of_the_Universe_augment.webp|width=30%&align=center]] {{{#white 우주의 중심}}} ||<#132638><-12> {{{#white 별들이 공격 사거리 둘레를 돌며 경로상 적에게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br] ---- {{{#white {{{-3 피해량: 5-160(+0.25 공격력)(+0.15 주문력)[br]별의 수: 6}}}}}}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아우렐리온 솔/13.3 업데이트 전|리워크 이전 아우렐리온 솔]]의 패시브를 가져온 증강. 주의할 점이 있는데 [[아우렐리온 솔/13.3 업데이트 전|리워크 이전 아우렐리온 솔]]처럼 수풀에 숨거나 은신 상태가 되어도 별은 그대로 보여서 위치를 특정하게 만든다. === 운전기사(Chauffeur) === ||<#52656b><-6> [[파일:Chauffeu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운전기사}}} ||<#132638><-12> {{{#white 아군에게 밀착하여 스스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br]아군에게 나의 추가 이동 속도를 부여하고 스킬 가속이 100, 공격 속도가 50% 증가합니다.}}}[br] ---- {{{-3 {{{#white 돌진이나 순간이동 스킬을 사용하면 1.5초 동안 연결을 해제한 후 아군에게 다시 밀착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유미의 밀착 효과와는 달리 대상 지정 불가가 아니기에 모든 피해를를 다 입는다. === 유레카(Eureka) === ||<#52656b><-6> [[파일:Eureka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유레카}}} ||<#132638><-12> {{{#white 주문력의 20%에 해당하는 스킬 가속을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저주의 화염(Feel the Burn) === ||<#52656b><-6> [[파일:Feel_the_Burn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저주의 화염}}} ||<#132638><-12> {{{#white 저주의 화염 소환사 주문을 얻습니다.[br]저주의 화염을 사용하면 주변 모든 적 챔피언에게 점화와 탈진을 사용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전능의 영혼(Omni Soul) === ||<#52656b><-6> [[파일:Omni_Soul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전능의 영혼}}} ||<#132638><-12> {{{#white 무작위 드래곤 영혼 3개를 획득합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전장의 교향곡(Symphony of War) === ||<#52656b><-6> [[파일:Symphony_of_Wa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전장의 교향곡}}} ||<#132638><-12> {{{#white 치명적 속도와 정복자 핵심 룬을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정신 결속(Spirit Link) === ||<#52656b><-6> [[파일:Spirit_Link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정신 결속}}} ||<#132638><-12> {{{#white 아군이 입는 피해를 15%만큼 대신 입고 아군이 받는 회복 효과도 50%만큼 받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정조준 일격 신동(Trueshot Prodigy) === ||<#52656b><-6> [[파일:Trueshot_Prodigy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정조준 일격 신동}}} ||<#132638><-12> {{{#white 멀리 떨어진 챔피언에게 피해를 입히면 자동으로 정조준 일격을 발사합니다.}}}[br] ---- {{{-3 {{{#white 피해량: 250~75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 + {{{#eb8d34 (1.4 추가 공격력)}}} + {{{#786cff (1.0 주문력)}}}}}}}}}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주문 각성(Spellwake) === ||<#52656b><-6> [[파일:Spellwake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주문 각성}}} ||<#132638><-12> {{{#white 스킬로 적을 맞히면 폭발을 일으켜 내 위치부터 대상 위치까지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br] ---- {{{-3 {{{#white 피해량: 70~70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5]] + {{{#eb8d34 (1.0 추가 공격력)}}} + {{{#786cff (0.7 주문력)}}}}}}}}}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일부 즉발 피해가 없는 스킬에는 발동하지 않는 현상이 있다. === 죽음의 순환(Circle of Death) === ||<#52656b><-6> [[파일:Circle_of_Death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주문 각성}}} ||<#132638><-12> {{{#white 체력을 회복하거나 재생하면 가장 가까운 적 챔피언에게 일정 비율만큼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br] ---- {{{-3 {{{#white 피해비율: 7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지옥의 전도체(Infernal Conduit) === ||<#52656b><-6> [[파일:Infernal_Conduit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지옥의 전도체}}} ||<#132638><-12> {{{#white 스킬 사용 시[* 툴팁은 이렇지만, 스킬 사용 시가 아니라 스킬 피해를 입힐 때마다 적용된다.] 5초에 걸쳐 중첩되는 화상 효과를 적용해 지속적으로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br]화상 효과가 기본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감소시킵니다.}}}[br] ---- {{{-3 {{{#white 피해량: 매초 1.2~12[[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16]] + {{{#786cff (0.06 주문력)}}} + {{{#eb8d34 (0.28 추가 공격력)}}}[br]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피해를 입힐 때마다 0.08초[br]재사용 대기시간: 1초}}}}}}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찜솥(Slow Cooker) === ||<#52656b><-6> [[파일:Slow_Cooke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찜솥}}} ||<#132638><-12> {{{#white 매초 최대 체력에 비례해 주변 적에게 중첩되는 화상 효과를 적용합니다. 화상 효과는 무한히 중첩됩니다.}}}[br] ---- {{{-3 {{{#white 피해량: 5초 동안 매초 최대 체력의 0.5%의 마법 피해[br]사거리: 500}}}}}}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최상급 조준경 부착(Scopiest Weapons) === ||<#52656b><-6> [[파일:Scopiest_Weapons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최상급 조준경 부착}}} ||<#132638><-12> {{{#white 공격 사거리가 250 증가합니다. (원거리 챔피언은 150만 증가)}}}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 퀘스트: 우글렛의 마녀 모자(Quest: Wooglet's Witchcap) === ||<#52656b><-6> [[파일:Quest_Wooglet%27s_Witchcap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퀘스트: 우글렛의 마녀 모자}}} ||<#132638><-12> {{{#white 즉시: 쓸데없이 큰 지팡이를 얻습니다.[br]조건: 쓸데없이 큰 지팡이, 라바돈의 죽음모자, 존야의 모래시계를 보유해야 합니다.[br]보상: 우글렛의 마녀 모자를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12월 8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세 아이템의 효과를 하나로 합친 우글렛의 마녀 모자라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퀘스트. 조건이 단순해서 퀘스트 보상을 얻기는 쉽지만 프리즘 증강 치고는 잠재력은 떨어지는 편이다. 아이템 슬롯을 압축해서 후반에는 더욱 많은 아이템을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후반이 되기 전에는 이 장점은 전혀 의미가 없다. 조건만 달성하면 아이템 하나를 공짜로 지급하는 '골드' 증강인 '''퀘스트:우르프의 챔피언'''와 비교해도 황금 뒤집개가 아이템 여러개 분량의 스탯을 제공하기에 상당히 이점이 없는 편. 여담으로 우글렛의 마녀 모자는 예전에 삭제된 모드인 뒤틀린 숲에서의 전용 아이템이었다. 존야의 모래시계 효과와 라바돈의 죽음모자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건 동일하지만 일반 아이템인 만큼 스탯은 평범했다. === 탭 댄서(Tap Dancer) === ||<#52656b><-6> [[파일:Tap_Dancer_augment.webp|align=center]] {{{#white 탭 댄서}}} ||<#132638><-12> {{{#white 기본 공격 시 무한히 중첩되는 10의 이동 속도를 얻습니다.[br]이동 속도의 10%에 해당하는 공격 속도를 얻습니다.}}} || ||<#234567><-4> {{{#white 추가 시기}}} ||<#132638><-5> {{{#white {{{-2 2023년 7월 21일}}}}}} ||<#234567><-7> {{{#white 사용 챔피언}}} ||<#132638><:><-5>[[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미정|[[파일:_portrait.png|width=15%]]]] || [[분류: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분류: 게임 내 정보]]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증강, version=307,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