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ffffff> [[파일:02EPNXS6PRM71512769977245.png|width=400]] || ||<-3><#381360> '''{{{#ffffff LA Gladiators}}}''' [br] '''{{{#ffffff Bischu}}}''' || ||<-3><#381360> {{{#ffffff Aaron Kim}}} || ||<-2> '''이름''' || 김형석 (金炯錫) [* 여권 상 이름으로, 이 쪽이 '''본명이다.''' 외국 생활을 오래하여 (대략 17년) 외국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을 뿐...] || ||<-2> '''생년월일''' || [[1994년]] [[8월 28일]] ([age(1994-08-28)]세) [br] [[서울특별시]] || ||<-2> '''거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 ||<-2> '''본관''' || [[김해 김씨]] 사군파 [* 사군파 사군파 25세손, 수로 75세손 '炯'(형) 항렬이다.] || ||<-2> '''학력''' ||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UC 샌디에이고]] 중퇴 || ||<-2>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0]] '''[[대한민국]]''' [* 캐나다 영주권자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시절 국적 관련해서 본인이 정확히 밝힌 부분이 없어 캐나다 시민권자라는 등의 잘못된 정보가 적혀 있었다.] || ||<-2> '''아이디''' || '''Bischu''' [br] 벌신발 || ||<|2> '''포지션''' || LOL || 미드, 서포터 || || OW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TANK || ||<|2> '''주 영웅''' || LOL || [[니달리]],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카타리나]],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 || OW || [[자리야]], [[D.Va]] || ||<|2> '''소속 팀'''[* 3개월 이상 가입되어 있지 않은, 즉 용병 형태로 들어간 팀은 기재하지 않았다.] || LOL || [[vVv Gaming]](2012.01 ~ 2012. 08) [br] [[compLexity Gaming]](2013.02 ~ 2013.08) [br] [[Gold Gaming LA]](2013.9.25 ~ 2013.11.30) [br] [[Cloud 9 Hyper-X]](2014.01.16 ~ 2014.04.28) [br] [[AffNity]] (2015.01 ~ 2015.04) [br] [[Legendary]] (2015.04 ~ 2016.01) [br] [[Team Dragon Knights]] (2016.01 ~ 2016.05) || || OW || Kungarna (2017.05.23 ~ 2017.09.25)[br][[LA Gladiators]] (2017.11.03 ~ ) || ||<-2> '''외부 링크''' || [[https://www.twitch.tv/bischulol|트위치]] [[https://www.youtube.com/user/bischulol|유튜브]] [[https://twitter.com/BischuGG|트위터]] || [include(틀:LA 글래디에이터즈 멤버)] [목차] == 소개 == 前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팀 [[Team Alienware]] 아레나, 북미 프로게임단인 [[Cloud 9 Hyper-X]]의 미드라이너 前 북미 [[오버워치]] 프로게임팀 Kungarna의 플렉스. 현 [[오버워치 리그]] LA연고팀인 [[LA Gladiators]] 소속 플렉스. 롤 프로게이머 시절에는 북미 [[니달리]] 랭크 1700판 장인으로 유명하며 [* 핵창이 있지만 애매한 성능 때문에 상위티어에선 거의 기용되지 않던 당시의 니달리를 극한까지 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즌2 북미 서버 솔랭/2인전 순위 13위까지 달성했던 게이머이다. [[오버워치]]로 전향한 이후 탱커 포지션을 맡고 있다. 최고 레이팅은 북미 서버 24위. (4765점)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시절 == '''자타공인 세계 최정상급 [[니달리]]''' '''[[대한민국|고국]]에서 뛰고 싶었으나 그러지 못한 비운의 선수''' 북미에 있을 때도 비교적 어린 나이에 프로게임단에 소속되어 있지만, [[식스맨]]이라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던 터라 다른 프로게이머들에 비해 알려진 정보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트위치TV에서 꾸준히 스트리밍을 한 덕에 북미 서버에서 그를 모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일단 북미에서 잘 알려진 천상계 미드라이너 중 하나여서, 챔프 폭이 무지하게 넓다. 모스트 7까지의 챔프가 모두 미드에 설 수 있는 챔프이며, 특히 천상계 미드라인에서 웬만한 실력이 없으면 운용이 무지하게 힘든 [[니달리]],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카타리나]] 등의 하이리스크 하이리턴형의 픽을 자주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재 변화중인 메타에 적응하기 위해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등의 로밍형,더티파밍형 챔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니달리만큼은 대회에서도 큰 활약을 할 수 있을 만큼의 실력을 지닌 선수다. 너프 전이긴 하지만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미드 제이스]]도 자주 사용하였다. 현재는 여눈 스택 쌓는 방법 변경과 가속 관문 너프로 인해 미드에선 잘 사용하지 않고, 솔랭에서만 가끔 탑솔로 올라가는 편이다. 미드 파랑 [[이즈리얼]]이 대회에도 나오는 등 유명해지자 파랑이즈도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퓨어한 미드챔프를 선호하는 김형석의 특성 상 특정 챔피언을 카운터 치는 일 외에는 자주 나오지 않을 것 같다. [[정민성]]과 마찬가지로, 미드AD챔프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게임이 후반으로 가면 딜이 안나와서 싫어한다고. 천상계 유저들이 자주 사용했었던~~그리고 버린~~ [[트위스티드 페이트|트페]]의 실력은 그리 좋지도 않고 랭크에서도 잘 쓰지 않는다.. 사족이지만 프로게이머들 중에서 [[최윤섭]]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영어 실력이 좋다. 최윤섭과의 차이점이라면 최윤섭은 한국에서 오래 지내면서 유학을 다녀온 케이스라 한국어&영어 둘 다 잘하지만, 김형석은 어릴 때 이민을 간 경우라서 한국어보단 영어를 더 잘한다.--한국어를 못 하는건 아니다-- [* 실제로 페이커 인터뷰 통역해주는 영상을 보면, 한국말은 약간 더듬는 모습이 보인다.] 비슈는 약 2년 가까이 캐나다에서만 개인방송을 해왔는데, 2013년 5월 갑자기 돌연 스트리밍 중단을 선언하여 많은 시청자들의 의문을 자아냈다. 그러다 2013년 6월 20일, 징병신체검사 겸 여러 이유를 들어 한국에 왔다고 소식을 전했다. 그 이유 중 하나에는 한국에서 프로게이머를 하고 싶다는 비슈의 목표도 포함되어 있었다. 북미에서 유명했던 탓인지 한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인벤에서 진행하는 AMA (댓글 인터뷰)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시 비슈는 한국서버 계정을 잘 관리하지 않은 탓에 골드티어에 속해 있었고, 이를 알고 있던 한 유저가 '한국에서 프로게이머가 되려면 한국 계정 다이아 1부터 찍어라' 라는 일침을 하였고, 이 댓글에 자극받은 비슈는 얼마 되지 않아 다이아 단계에 진입하게 되었다. 이후 한 달 정도 한국에서 스트리밍 하며 일생을 보내다가, 2013년 8월 25일, 한국의 프로게임단인 [[Team Alienware]] 1팀의 미드라이너로 기용되었다. [* 사실 비슈의 한국서버 스트리밍 중에 같은 팀의 정글러인 Nova와 같이 2인랭을 돌리는 모습에서 이미 Alienware 팀으로 들어간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프로팀에 들어간 이후에도 성적도 성적이지만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는 것을 우선으로 삼아서 개인방송을 적극적으로 권유하는 팀의 특성상[* 에일리언웨어 팀의 이러한 특성은 한국 프로팀들 중에서는 가장 이례적인 사고방식인데 대개의 팀은 개인방송을 엄격하게 통제한다. 그 이유는 방송사고라도 터지면 큰일날까봐...--로코도코의 방송중 DDR 사건이라든지-- 에어리언웨어 팀이 저런 정책을 유지하는 이유는 더 큰 팀에 팀원들이 스카웃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 팀도 거상이 되려고 하는 건가--] 프로가 된 이후에도 여전히 트위치 TV에서 개인방송을 하고 있다. 아직 어린 나이와 국내 다른 프로게이머들과도 뒤쳐지지 않는 실력을 가졌기 때문에 앞으로의 성장은 두고 봐야 할 일이다.. [[롤드컵]]에서 [[이상혁(프로게이머)|페이커]]를 만난 것 같다. 영어로 인터뷰가 불가능한 페이커를 위해 통역을 자처 한 듯.[[http://youtu.be/pneR4k6BxIU|관련 영상]]--믿기지 않지만 중간에 있는 사람이 김형석이다. 지못미-- 한국에 온 뒤로는 아프리카TV에서의 방송에 열중하는 중이다. [[서유리]]와도 친분이 있는 듯 하다. [[https://twitter.com/search?q=bischulol|비슈 트위터 참조]] 하지만 2013년 9월 26일에 ggla라는 팀에 입단이 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http://www.nicegame.tv/board/bbs/view/1/7/1/%EB%B9%84%EC%8A%88/539526/0/|*]] 당초 비자때문에 미국에 간다고 했으나,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감독이 아프리카 방송에서 연락이 안된다고 했을떄 불안했는데 터지자 롤팬들은 충격을 받은상황 김동수감독도 몰랐던거 같다[[http://www.nicegame.tv/board/bbs/view/1/7/-/-/539594/0/|*]] 다음날 김동수 감독이 에일리언웨어 사이트에 비슈와 통화했다며 글을 올렸다. 학교에서 한국에서 프로게이머 활동을 하는 것을 불가해서 어쩔 수 없었다고 연락했다고 한다.[[http://alienware.pmgasia.co.kr/bbs_view.html?txtIdx=617&btype=common&mydomain=www.alienwaretv.com|*]] --역시 롤은 재평가야-- 링크의 글을 요약하자면 비슈는 에일리언웨어 팀에 입단하면서부터 학업 때문에 한국에서의 활동을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했고, 학교와의 상의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학교와의 상의가 실패하여 내린 결정이라고 한다. 이후 비슈는 2년동안 항상 켜왔던 웹캠을 끈 채 트위치TV에서 스트리밍을 진행 중이다. 2013년 12월에 팀을 또 옮겼다! 근데 기존 팀 멤버 그대로 새 팀으로 들어갔다. 그 이유는 GGLA 프론트 측에서 '''비슈를 포함한 기존 멤버 전원을 방출'''시켰기 때문이다.~~[[김정균(1985)|김정균]]?~~ 새로들어간 The Walking Zed팀으로 2014 북미 LCS에 도전했으나 Team Coast에게 3:2로 석패하며 LCS진출에는 실패. ~~그래도 [[최윤섭|로코]]보다는 낫지뭐~~ [* 로코도코가 들어간 Quintic gaming은 최종 진출전에 가보지도 못하고 떨어졌다...] 2014년 1월 16일에 팀을 또옮겼다. ~~로코도코?~~ The Walking Zed팀을 Cloud9의 챌린저시리즈[* 2부리그라고 생각하면 된다] 팀으로 영입하면서 Cloud9으로 이적되었다. 닉네임도 C9 Bischu이다. 2015년 NA LCS Summer에서 [[TDK]]의 엔트리에 들어서 경기에 나섰다. 특유의 날카로움으로 명장면을 만들어내지만 기본적으로 라인전에서 S급 미드라이너를 만나면 너무 골골거려서 닌자의 비자가 발급될 때까지만 뛸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엠퍼러와 스무디가 팀을 나가면서 비슈가 '''서포터로'''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 비슈가 전 삼성 소속의 퓨리와 봇을 서서 듀오를 돌린다는 정보가 입수되었는데, 마침 TAO(전 TDK)는 봇듀오가 빈데다 외국인 쿼터도 퓨리 한 명을 쓸 수 있을 정도로만 비어있기 때문. 이어 오뀨와도 돌린다는 것을 보면 확실히 한국에 원딜구하러 온 모양이다, 비슈가 서포터로 뛴다는 것은 현실이 되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도 기대 이하이고 미드 출신의 뛰어난 메카닉도 딱히 찾아볼 수 없어서 단일국적을 포기한 뒤에는 현지인 ~~탈락팀출신~~Trance에게 밀려날 정도(...) TDK 에서 서포트로 역할을 바꾸어 프로생활을 하려고 했으나 잘 풀리지 않았고 [[Renegades]] 와의 선수 스와핑등의 문제로 인해 Sub 포지션으로 옮겨졌다가 TDK가 라이엇에서 징계를 먹는 바람에 팀이 공중분해되고, 비슈 본인도 롤에 흥미가 떨어지게 되면서 롤 프로계와는 작별을 고했다. ==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시절 == >'''[[김형석(프로게이머)|I]]'m a good [[자리야|pink muscle]] [[D.Va|lady]]''' >[[https://twitter.com/BischuGG|본인의 트위터 프로필 소개문.]] ''' '재능 있는 노력파' 의 표본''' '''[[LA 글래디에이터즈|검투사 군단]]을 이끄는 선봉장''' '''최정상급 케어 중심 서브탱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팀에서 나온 이후, 1년 정도 다양한 게임을 즐기면서 프리한 스트리머로 지내다가, 돌연 대학교를 중퇴하고 [[2016년]] [[5월]]부터 오버워치 스트리밍을 하고 있다. 확실히 게임 전반적으로 재능이 있는지 FPS 게임을 한 전적이 딱히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위 랭커로 금방 올라갔다. 4시즌 때는 북미 2위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계속 스트리머 생활을 하다가 롤 프로게이머 시절 가장 먼저 입단한 정규팀이자 친정팀인 compLexity Gaming의 오버워치 팀에 비어있는 탱크 포지션에 예비멤버가 되어 몇 번 경기를 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정식 멤버로 들어가지는 않았으며, 그 후 오버워치 방송만 하며 지내다가 좋은 소식이 있다며 곧 발표 할 것이라고 했으나, 무엇이 안 맞았는지 입단 자체가 무산되어버렸다고 밝혔다.[* TSM의 신생 오버워치 팀이 유력했는데, 모종의 이유로 팀 결성이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5월 23일, Kungarna 팀의 플렉스 포지션으로 입단했다. 6월 개최된 OW Contenders Season Zero에서 순위권에 들어 시즌1 시드권을 얻었다. 하지만 시즌1에선 2승 5패, 최종 순위 8팀 중 최하위인 7위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결국 9월 24일, 시즌 마지막 경기인 Immortals 팀과의 경기에서 패한 직후 팀이 해체되었다. [[오버워치 리그]] LA 2팀과 계약했다는 기사가 났다. 11월 3일에서야 팀명 및 로스터 공식 공개로 [[LA 글래디에이터즈]] 팀에 입단했음이 밝혀졌다. 같은 Kungarna 소속이었던 iReMiix 선수도 함께 활동하게 된다. 리그 데뷔전에서 [[런던 스핏파이어]]를 상대로 3:2 신승을 거두면서 산뜻한 출발을 시작했다. 2스테이지에 합류한 [[백찬형|Fissure]] 선수와 함께 단단한 탱커진을 구성하면서 '검투사 돌풍'을 이끌고 있다. == 트리비아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이 한창 진행중이던 당시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고 한다. 당시 한국 나이로 9살. '[[재외국민등록법|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캐나다 영주권자]]'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시절 한국에서의 활동이 무산되고 캐나다로 돌아간 이후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7년]] [[오버워치 리그]]에 입성하면서 [[대한민국]] 국적을 달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서 아직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인증했다. 같은 팀 LA Gladiators에 소속된 Asher(최준성) 선수에 의해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직접적으로도 인증되었다. [[https://twitter.com/asher_ow/status/926993773275443200|*]] 이에 따라 과거 '한국 국적을 포기할 생각이 없다'라고 한 부분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남은 건 [[병역]] 문제 뿐이다~~ 병역 문제는 영주권자 특성 상 사실상 면제 상태일 것으로 추정. 자세한 사항은 [[영주권]] 문서 참조. 외국에서 오래 살아서 한국 이름인 '김형석'보다 영어 이름인 '아론 킴'으로 자주 소개하는 편. 오버워치 리그 로스터에도 'Aaron Kim'으로 올라가 있다. [* 프리시즌 기간에는 'Hyung-Seok Kim'으로 올라가 있긴 했다. 중간에 바꾼 듯] [[UC 샌디에이고]]에 입학했으나 프로게이머 생활에 집중하고 싶어서 자퇴했다고 한다. 과거 학업 문제 때문에 팀 활동을 못하게 되었던 경험이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 대한 향수가 상당한 듯 하다. 방송 중 나오는 BGM의 80% 이상이 케이팝으로 채워져 있다. 한국 힙합도 즐겨 듣는 것으로 보인다. [[저스트 뮤직]] 월드투어 LA 공연에 직접 가고 사진들을 찍어 트위터에 올려 호평일색을 할 정도.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재외동포]][[분류:1994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