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아르데아닥틸루스}}}[br]Ardeadactylus}}}''' || ||<-2> [[파일:220px-Pterodactylus_longicollum.jpg |width=100%]] || ||<#F93> '''학명''' || ''' ''Ardeadactylus longicollum'' '''[br]Bennett , 2013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익룡목^^Pterosaur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프테로닥틸루스아목^^Pterodactyloide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하목'''}}}]] ||†아르카이옵테로닥틸루스하목^^Archaeopterodactyloidea^^|| || {{{#000 '''계통군'''}}} ||†크테노카스마토이데아^^Ctenochasmatoide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아르데아닥틸루스속^^''Ardeadactyl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아르데아닥틸루스 롱기콜룸(''A. longicollum'')^^{{{-1 [[모식종]]}}}^^|| || [[파일:ardeadactylus_longicollum_by_kana_hebi-dc8gm0f.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후기의 [[유럽]]에서 살았던 [[프테로닥틸루스]]류 [[익룡]]. 속명의 뜻은 '[[왜가리]] 손가락'이다. == 연구사 == [[독일]] [[바이에른]]의 '졸른호펜 석회암층(Solnhofen limestone)'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프테로닥틸루스와 상당히 유사한 외형 탓에 실제로 한동안 프테로닥틸루스속의 한 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덩치와 치아의 크기가 프테로닥틸루스에 비해 더 크다는 차이점이 지적되면서 별개의 속으로 분리되었고, 현재는 갈로닥틸루스과의 구성원으로 보는 추세다. 익장 추정치는 1.5m 남짓으로 속명에 걸맞게 [[백로]]나 왜가리 수준의 덩치를 지녔다. 다리와 목 역시 긴 편이었는데, 이러한 특징을 종합해보면 가까운 친척 익룡들과 마찬가지로 [[어류|물고기]]를 주식으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 원래 총 6개의 화석 표본이 보존되고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모식표본을 포함한 4개의 표본이 갈려나가는 바람에''' 현재 남아있는 표본은 신기준표본을 포함한 2개가 전부다.[* [[스피노사우루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등의 모식표본 역시 연합군의 공습을 거치면서 잿더미가 되어 사라진 케이스다.] [[분류:고생물]][[분류:크테노카스마토이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