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르메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캐나다 관련 문서)] ||<-2>
<#ffffff,#191919>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ni0sr4D8ml1rf1jvro1_1280.jpg|width=100%]] [br]'''20세기 인물사진사를 대표하는 사진사 [[유서프 카쉬]]''' || || [[영어]] || Armenian Canadians || || [[아르메니아어]] || գանատահայեր, կանադահայեր || || [[프랑스어]] || Arméno-Canadiens || || [[인구]] || 63,810명^^(2016년 자가응답 통계 기준)^^ || [목차] == 개요 ==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은 [[캐나다]]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 이민자들의 후손들이다. 2016년 인구 조사 추정치에 의하면, 약 63,810 명이 해당된다. 별도의 독립적인 추정에 따르면 약 80,000명의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이 있으며, 가장 높은 추정치는 100,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르메니아계 미국인]]보다 훨씬 규모가 작지만, 이 두 아르메니아계 이민 공동체는 19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20세기 후반 및 그 이후에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유사한 단계를 거쳤다. == 역사 ==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전후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이 디아스포라는 두 갈래로 나뉘었다. 하나는 러시아 제국이었고 다른 하나는 프랑스였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은 이란의 [[카자르 왕조]]로부터 아르메니아 일대를 해방하고 아르메니아인들의 이민을 장려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오늘날 아르메니아 본토에 해당하는 지역에 재정착하기 시작했다.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당시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 난민들이 중동의 [[알레포]]를 거쳐 레바논과 시리아 해안 지대로 피신하였고,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마르세유]]로 이민하였고 이들 중 상당수는 다시 미국으로 이민한다.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은 미국 대신에 아르헨티나나 캐나다로 향했다. 다시 말해서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은 대개 중동(시리아, 레바논, 이집트)에서 온 [[아르메니아 대학살]] 생존자의 후손들이다. [* 한 예로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인 영화감독 [[아톰 에고이안]]은 이집트 출신 아르메니아계 가정 출신인데, 이런 배경을 의식했는지 아르메니아 대학살 관련 영화인 아라라트를 찍은 적이 있다.] 2차대전 이전까지 캐나다는 아르메니아인들을 아시아인으로 분류하였고, 이에 따라 이들의 이민을 제한하던 편이었다. 1940년 기준 캐나다에 체류하는 아르메니아인 인구는 4천여 명 정도에 불과했다. 이민 제한이 풀리면서 프랑스나 레바논 등 불어권 지역의 아르메니아인들이 [[퀘벡 주]] 같은 프랑스어권 지역으로 대거 이주하였다. == 현황 == 오늘날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 인구는 [[프랑스어]]가 사용되는 동부의 [[퀘벡 주]] 및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몰려있다. 2016년 통계 기준 63,810명의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들 중 29,675명이 온타리오 주에 그리고 27,380명이 퀘벡 주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캐나다 내 아르메니아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도시는 [[몬트리올]]이며, 두 번째로 많이 거주하는 도시는 [[토론토]]이다. == 관련 문서 == * [[캐나다인]] * [[아르메니아인]] *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캐나다 관계]] [[분류:캐나다의 민족]][[분류: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