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0fYi0hTdmsc)] [목차] == 개요 ==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 1972년에 발표된 [[신중현]]의 곡. [[유신정권|영토]]가 아닌 [[한반도|강산]]을 노래한 노래. == 탄생 및 현재 ==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절, 한국 록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신중현]]에게 당시 박정희 정권은 권력자인 [[박정희]]를 찬양하는 노래를 만들라고 꾸준히 강요했다. 허나 신중현은 수차례의 협박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절했고, '''권력자를 찬양하는 노래는 만들 수 없지만 아름다운 우리 강산을 찬양하는 노래는 만들 수 있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이 노래를 만들어 발표했다. 참고로 이후로 정권에 찍힌 신중현은 "[[미인(신중현과 엽전들)|미인]]" 같은 다수의 히트곡들이 줄줄이 금지곡이 되는 수모를 겪으며 오랜 활동 금지를 당했다. 당연히 이 곡 또한 금지곡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건전가요]]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건전가요들과는 태생부터가 다르다. 물론 신중현은 70년대부터 한국 대중음악을 좌지우지하던 오버그라운드 뮤지션이었기 때문에 [[민중가요]]로 분류되기도 어렵다. 노래가사 자체가 잘 보면 강산에 대한 찬미에서 시작해 '사랑하는 너와 영원히 살아가고 싶다'는 지극히 인간적이고 통속적인 감정을 읊으며 마무리된다. 이 나라와 강산이 아름다운 이유는 바로 '''사랑하는 네가 있기 때문'''이며, 자칫 권력자에 대한 찬양을 피하려던 원 의도가 무색하게 전체주의적 메세지로 전락할 수도 있는 조국에 대한 예찬을 이 땅의 아름다운 [[자연]]과 '너'로 대표되는 이 땅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예찬으로 승화시켜냈다. 그야말로 거장 신중현이 박정희 정권 포함 특정 개인 및 단체가 아닌 '''대중 전체에게 바치는 의미로 만들어 낸 회심의 역작'''이라 할 수 있다. '장현과 더 맨' 앨범에 수록되어 1972년에 세상에 첫 선을 보였다. 더 맨(The Men)은 신중현이 1971년 결성한 밴드로 신중현은 당시에 더 맨의 노래를 담은 앨범을 따로 발표하지 않고 한 면엔 다른 가수의 노래를, 다른 면에 더 맨의 노래를 담은 스플릿 앨범으로 주로 냈다. 그래서 이 노래를 [[장현#s-3]]이 부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았다. 더 맨은 신중현 사단의 전속 밴드에 가까운 위치였기 때문에 이 곡은 애초에 장현과는 관계가 전혀 없는 곡. 메인 보컬은 더 멘에서 보컬을 맡았던 박광수. 신중현은 본인도 모르게 이런 식으로 앨범명이 만들어져 발매됐던 것에 꽤 불쾌해한 듯, 본인이 리마스터링 작업을 해서 '신중현과 더 맨'이라는 이름으로 재발표했다.[* "당시 나는 박정희 정권의 문화 탄압으로 활동을 금지당하다 보니, 모든 것을 잃고 세상을 떠난 상태였고, 그래서 그런 일들이 있었는지도 모르고 살았다. 세월이 흘러 해금된 후 근래에 와서야 '장현과 더 맨'이란 이름으로 발표된 음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연유로 앞으로 발매될 모든 내 음반에는 신중현이란 이름을 앞에 넣기로 하였다. '신중현과 더 맨'이라고." - <신중현 Anthology Part.1>의 책자에서 '신중현과 더 맨'에 대한 신중현의 글.] 그 뒤로 신중현 본인도 여러 차례에 걸쳐 셀프 커버하여 발표한 등 상당한 애착을 보였고, [[이선희]]를 비롯한 수많은 가수들의 음반 및 공연으로써 끊임없이 재해석되며, 현재도 그 생명력을 유지하는, 시대를 관통하는 명곡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농담반 진담반으로 ''''비공식 애국가' '''라는 소리도 나올 정도다. 이러한 배경이 있기에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에서 친[[박근혜]] 성향 단체가 집회에서 이 노래를 쓰는 데에 신중현의 아들인 [[신대철]]이 분노를 표한 적이 있다.[[https://www.facebook.com/daechul.shin.75/posts/656171934564347|#]] 그리고 신대철은 2016년 12월 31일, [[박근혜 즉각퇴진! 조기탄핵! 적폐청산! 송박영신 10차 범국민행동의 날|박근혜 퇴진 10차 집회]] 때 '아름다운 강산'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81&aid=0002786819|공연했다.]] 전인권 밴드, 신대철의 동생 신윤철 등이 연주하고 국악으로 협연하는 20분짜리 노래로 편곡했고, 보컬은 [[전인권]]이 맡았다.[* 아래 다른 뮤지션들의 커버에 있다.] 2000년대 초반, 북한에도 이 곡이 전파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특히 [[평양]]의 음악 전공생들에게 인기가 많아 당시 북한에 [[성악]]을 전공한 학생들은 이 곡을 불러야 성악을 한다고 인정받을 만큼 큰 인기를 누렸다고.[* 아마 시기상 이선희가 평양 가서 부른 곡을 접했을 확률이 높은데, 이선희야 남한에서도 가창력을 인정받는 가수니 노래 좀 한다는 북한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도전해보고 싶었을 것이다.] 북한이 이 곡의 배경 지식을 알 확률도 드물고 당시 남북 교류가 이어지던 시절이었으니 딱히 금지곡은 되지 않은 모양.[* 당시 인기를 끈 또다른 곡으로는 윤도현 밴드의 [[너를 보내고]] 등이 있었다.] == 가사 == ||<(> 하늘은 파랗게 구름은 하얗게 실바람도 불어와 부풀은 내 마음 나뭇잎 푸르게 강물도 푸르게 아름다운 이 곳에 내가 있고 네가 있네 손 잡고 가 보자 달려보자 저 광야로 우리들 모여서 말해보자 새 희망을 하늘은 파랗게 구름은 하얗게 실바람도 불어와 부풀은 내 마음 우리는 이 땅 위에 우리는 태어나고 아름다운 이 곳에 자랑스런 이 곳에 살리라 찬란하게 빛나는 붉은 태양이 비추고 하얀 물결 넘치는 저 바다와 함께 있네 그 얼마나 좋은가 우리 사는 이 곳에 사랑하는 그대와 노래하리 오늘도 너를 만나러 가야지 말해야지 먼 훗날에 너와 나 살고 지고 영원한 이 곳에 우리의 새 꿈을 만들어 보고파 봄 여름이 지나면 가을 겨울이 온다네 아름다운 강산 너의 마음은 나의 마음 나의 마음은 너의 마음 너와 나는 한마음 너와 나 우리 영원히 영원히 사랑 영원히 영원히 우리 모두 다 모두 다 끝없이 다정해 || == 커버 == 한국 록의 대부인 신중현의 상징같은 곡 중 하나다 보니, 많은 가수들이 다양한 버전으로 이 곡을 커버했다. === 신중현 사단의 커버 === * [[김정미(가수)|김정미]] (1973년, '김정미 바람') [youtube(dv0CNrcUatE)] 김정미의 [[명반]]으로 회자되는 [[바람]]에 수록되었다. 김정미는 [[김추자]], [[펄 시스터즈]] 등과 함께 신중현 사단의 대표적인 디바 가운데 하나였고, 바람 역시 신중현의 곡으로 채워진 신중현 사단의 대표적인 명반으로 꼽힌다. * 신중현과 엽전들 (1975년, '신중현과 엽전들 2집') [youtube(YXq1IaIx-9A)] * 신중현과 뮤직파워 (1980년,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youtube(sVWCLB5Q9YY)] 그 유명한 브릿지 파트("빰빰빰빠밤~"으로 알려진 그 부분)가 처음으로 들어간 버전이다. ==== 공연 ==== * 1981년 [[KBS 가요대축제|KBS 가요대상]]에서 [youtube(uyl1e3WW9UQ)] * KBS 쇼 토요특급에서(1990년 12월 1일 방송)[* 마지막 부분에 다른 출연자들이 한 소절씩 부른다. [[조용필]](05:56, 07:57), [[박광수(가수)|박광수]](06:11, 08:13), [[윤항기]](06:24), [[김정수(가수)|김정수]](06:40), 김혜정(06:51) , [[박인수(1947)|박인수]](07:03), [[윤수일]](07:18), 김태화(07:29), [[박일서]](07:44) 순이다.] [youtube(ASuovBje9Lk)] === 다른 뮤지션들의 커버 === * [[조용필]] [youtube(nQtUrUuBfjA)] * 시나위, 부활, 다섯손가락, 12냥서푼 (1986년 방송) [youtube(09vsQ0lWtBk)] 아들인 [[신대철]]이 있어서인지[* 31초경 임재범 옆 기타리스트가 신대철이다. --기타 치는 [[홍진호]]?--] [[신중현]]이 편곡했다고 34초에서 자막으로 뜬다. 오늘날 와서 보면 보컬 레전드격인 [[임재범]], [[이승철]]이 한 무대에 선 드문 무대기도 하다. * [[이선희]] (1988년, '이선희 4집 - 사랑이 지는 이 자리') [youtube(QIUDziHW1zA)] 많은 커버곡들 중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버전으로 꼽힌다. 오히려 신중현을 모르는 젊은 세대의 경우 이 곡을 원곡으로 아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이선희의 대표곡 중 하나이기도 하다. 상기된 1980년 '신중현과 뮤직파워' 버전에 처음 삽입된 '빰빰빰빠밤' 하는 브릿지 파트 위에 비슷하게 "빰빰빰빠밤~" 하는 보컬을 덮은 것이 특징인데, 오늘에 와서는 이 부분이 이 곡의 상징처럼 인식되고 있다. 다만 전반적으로 이선희 특유의 스타일이 강하게 반영된 버전이라, 신중현의 원곡을 좋아하는 팬들 중에선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이선희 버전도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씩 스타일이 달라지긴 한다. * [[이선희]] (2001년, '이선희 12집 - My Life & Best') * [[이문세]] (1989년, [[이문세/음반 목록#s-1.2|이문세 정규 2집 - The Best]]) * [[강산에]], [[김바다]], 류금덕, [[윤도현]] 외(1997년, A Tribute to 신중현) [youtube(wSIWWHd59qY)] * 곱창전골[* 한국 록음악, 특히 [[신중현]]과 [[산울림]]의 곡을 주로 커버하는 일본인 4인조 록밴드. --양평이 형--[[하세가와 요헤이]]가 활동했던 밴드이기도 하다. 특히 리더 사토 유키에는 배우 한운희의 남편이다.] (1999년, '곱창전골 1집 - 안녕하시므니까') [youtube(mSY8F6lhMBk)] * [[버즈(한국 밴드)|버즈]] (2005년, '[[버즈(한국 밴드)/콘서트#s-8|Are you BUZZ Rock'in?]]' 콘서트) * [[노브레인]] (2006년, '[[라디오 스타(영화)|라디오 스타]] OST') * [[이박사]] (2006년, '이박사 하이웨이 랩 댄싱') [youtube(cFbepiMTgPQ)] 기가 막히는 뽕짝 리믹스 버전. 심지어 간주 부분에는 지루하지 말라고 [[서영춘]]의 만담 레퍼토리까지 넣었다. * [[설운도]] [youtube(fxL7ts0pmS4)] 설운도가 트로트 가수로 전향하기 전 밴드 시절의 곡같은 느낌이 난다. * [[BMK]] (2011년, 'MBC [[나는 가수다]]') [youtube(UmysqsljFqI)] * [[김태우(god)|김태우]] (2012년, 'KBS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 [[박정현]] (2012년, [[2012 여수 엑스포]]) [youtube(xOlLWHs85bU)] * 백미현 (2013년, '힐링포크뮤직 통기타 하나 더하기 둘') * [[임창정]] (2014년, 'KBS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youtube(7vipov1wAA8)] * 2015년 KBS 신년특집 '대한민국 100년의 드라마' (지휘 [[김도균]], 재즈피아노 [[진보라#s-1]], 기타 염승식, 베이스 유재인(이상 [[게이트 플라워즈]]) 등) [youtube(MMEFqNLLiJg)] '[[박]]과 [[거문고]]+락+재즈+[[가야금]] [[산조]]+[[실내악|현악 5중주]]+--[[징]]이 빠진-- [[사물놀이]]'의 조합이다. 오오오! 단, LTE 실시간 중계로 진행하다 보니 러닝 타임을 짧게 만들 수밖에 없었다. * [[양파]] (2015년, 'MBC '[[나는 가수다 3]]') * [[김연자]] (2016년 3월 26일 'KBS [[콘서트 7080]]') * [[신대철]], [[전인권]] (2016년 12월 31일, [[송박영신]] 콘서트) [youtube(VlVzCfv99_0)] 신중현의 [[미인(신중현과 엽전들)|미인]]과 혼합해, 각종 악기를 동원하여 약 20분간의 공연을 하였다. * [[이찬원]], 온앤오프 [[효진]] (2020년 12월 10일, 'TV조선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 [youtube(ZauXOXx65rY)] * [[리누(가수)|리누]] (2021년, 'MBN [[보이스킹]]') [youtube(fhawzTEECFw)] * [[신유미]] (2022년, [[싱어게인 2 - 무명가수전]]) [navertv(25391340)] * [[홍지윤]]&[[홍주현]] (2022년, 'TV조선 [[화요일은 밤이 좋아]]') [youtube(mjv3fRe3FnQ)] [[분류:가요]][[분류:1972년 노래]][[분류:신중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