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시컴퍼니 제작)] ||<-2>
[[파일:신시 아리랑.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뮤지컬 아리랑.jpg|width=100%]]}}} || || '''제작''' ||[[신시컴퍼니]] || || '''원작''' ||[[조정래]]의 대하 소설 《[[아리랑(조정래)|아리랑]]》|| || '''연출''' ||고선웅 || || '''작•작사''' ||고선웅 || || '''작곡''' ||김대성 || || '''공연장''' ||초연: [[LG아트센터]] 재연: [[예술의전당]] 오페라 극장|| || '''공연 기간''' ||초연: 2015.07.11 ~ 2015.09.06 재연: 2017.07.25 ~ 2017.09.03|| || '''관람 시간''' ||160분 (인터미션 20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0년 [[한국일보]]에서 처음 연재 되고, 1994년 첫 출간 된 [[조정래]]의 [[아리랑(조정래)|동명의 대하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창작 뮤지컬]]. 뮤지컬 [[시카고(뮤지컬)|시카고]], [[맘마 미아(뮤지컬)|맘마 미아]], [[아이다(뮤지컬)|아이다]], [[렌트]] 등을 선보인 [[신시컴퍼니]]가 제작했다. 2015년 7월 11일부터 9월 6일까지 [[LG아트센터]]에서 초연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약 2년뒤인 2017년 7월 25일부터 9월 3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 극장에서 재연이 올라왔다. == 시놉시스 == > '''일제 강점기,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 > > 김제군 죽산면에 사는 감골댁의 아들 방영근은 빚 20원에 하와이에 역부로 팔려간다. > > > 양반 송수익의 몸종이었던 양치성은 스승인 그에게 언제나 열등감을 느끼고, > > > 그러던 중 자신의 아버지가 의병에 의해 살해되자 친일파가 되어 우체국장 하야가와의 주선으로 일본 첩보원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다. > > > 한편 감골댁의 딸 수국이와 친구 옥비는 일본 앞잡이들의 괴롭힘에 몸을 버린 뒤, 험난한 인생을 살아간다. > > > 일본의 앞잡이가 된 양치성은 송수익의 행방을 추적하고, 감골댁도 그의 농간으로 비참하게 죽는다. 그 과정에서 양치성은 평소 연정을 품고있던 수국이를 협박해 강제로 동거를 시작한다. 그러던 중 만주에서 일본 토벌대의 조선인 살육이 자행되는데... == 캐스팅 == === 2015년 초연 === * 송수익: [[서범석]], [[안재욱]] * 양치성: [[김우형]], [[카이(1981)|카이]] * 방수국: [[윤공주]], [[임혜영]] * 감골댁: [[김성녀]] * 차옥비: 이소연 * 차득보: 이창희, 김병희 === 2017년 재연 === * 송수익: [[안재욱]], [[서범석]] * 양치성: [[김우형]], [[윤형렬]] * 방수국: [[윤공주]], [[박지연(배우)|박지연]] * 감골댁: [[김성녀]] * 차옥비: 이소연, [[장은아]], 이승희 * 차득보: 이창희, 김병희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선웅 작/각색/윤색)] [[분류:창작 뮤지컬]][[분류:2015년 극작품]][[분류:소설 원작 뮤지컬]][[분류:조정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