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아리트)]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 {{{#!wiki style="margin: 0px 0px 5px" [[파일:Arito-PROFILE.png|width=100%]]}}} {{{#!folding [ 바리안 모드 ] [[파일:BarianArito-PROFILE.png|width=100%]]}}} || >'''한국판 소개''' >---- >바리언 세계의 전사 「[[바리안 칠황|바리언 칠황]]」 중 하나. 자신의 주먹을 통한 정면승부를 선호하며,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유마]]와는 서로 입장을 초월한 라이벌로서 스스로의 정체를 밝혀 싸웠다. 사용 덱 「[[BK(유희왕)|BK]]」는, [[오버 헌드레드 넘버즈|오버헌드레드 넘버즈]]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의 효과를 시작으로 한 카운터 전법을 특기로써 사용한다. [[기라그(유희왕 듀얼링크스)|기라그]]와는 서로 죽이 잘맞는 친구. [목차] == 개요 == [youtube(D2e1QRDTGIY,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이경태(성우)|이경태]] * '''일본판 성우''' : [[히카미 타카히로]] ##20xx년 m월 d일 nn시 nn분부터 상시 게이트 캐릭터로 편입되었다.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 '''캐릭터 해금 미션''' : 이벤트 "카운터 배틀! 결의의 투사 아리트"로만 획득 가능 ||
'''미션1''' ||이벤트 점수 410,000 포인트 획득 || || '''미션2''' ||듀얼 월드(ZEXAL)에 출현한 레벨 30 [[아리트(유희왕 듀얼링크스)|아리트]]를 상대로 승리 || ##|| '''미션3''' ||(미션3 내용) || ##|| '''미션4''' ||(미션4 내용) || ##|| '''미션5''' ||(미션5 내용) || ## 캐릭터 해금 미션에 대해 적어주세요. 이벤트로 획득가능한 듀얼리스트의 경우, 캐릭터 해금 미션에는 "이벤트를 통해서만 획득 가능'' 이라고 기재하신 뒤, 하단의 상세 해금 미션은 해당 이벤트의 미션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상시 게이트로 전환된 경우엔 해금 조건과 해금 미션 함께 수정 부탁드립니다. == 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UA_9GLk4F0,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C5JrPnIRZA,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C5JrPnIRZA,width=480,height=270, start=578)]}}}|| || {{{+1 '''한국어'''}}} || {{{+1 '''일본어'''}}} || {{{+1 '''영어'''}}} || * '''몬스터''' :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 [[No.80 광장패왕 랩소디 인 버서크]], [[CNo.80 장장패왕 레퀴엠 인 버서크]], [[No.79 BK 항성의 카이저]],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 [[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BK 치트 커미셔너]], [[BK(유희왕)#BK 헤드기어|BK 헤드기어]], [[BK(유희왕)#BK 글라스조|BK 글라스조]], [[BK(유희왕)#BK 스파|BK 스파]], [[BK(유희왕)#BK 스위치히터|BK 스위치히터]], [[BK(유희왕)#BK 베일|BK 베일]], [[BK(유희왕)#BK 섀도우|BK 섀도우]], [[BK(유희왕)#BK 카운터블로|BK 카운터블로]], [[BK(유희왕)#BK 리베지 가드너|BK 리베지 가드너]], [[BK(유희왕)#BK 래빗 펀처|BK 래빗 펀처]], [[BK(유희왕)#BK 빅밴티지|BK 빅밴티지]] * '''마법''' : [[기망향-바리언-]], [[RUM-바리언즈 포스]], [[RUM-더 세븐스 원]], [[세븐스(유희왕)#세븐스 어센션|세븐스 어센션]], [[BK(유희왕)#버닝나클 스피릿|버닝나클 스피릿]], [[카운터 펀치#카운터 머신건 펀치|카운터 머신건 펀치]], [[리로드(유희왕)|리로드]] * '''함정''' : [[세븐스(유희왕)#세븐스 어라운드|세븐스 어라운드]], [[세븐스(유희왕)#세븐스 어라이벌|세븐스 어라이벌]], [[세븐스(유희왕)#이터널 세븐스|이터널 세븐스]], [[BK(유희왕)#졸트 카운터|졸트 카운터]], [[BK(유희왕)#라스트 카운터|라스트 카운터]], [[카운터 카운터]], [[카운터 펀치#크로스 카운터|크로스 카운터]], [[카운터 펀치]], [[럭키 펀치#s-3]], [[세트어퍼]], [[엑시즈 블록]], [[오버레이#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 [[진검승부(유희왕)|진검승부]], [[위풍당당]], [[간파의 비법]], [[킥 백#s-3]], [[쇠사슬 폭탄]]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우는 주먹이 신조차 부순다! 유성의 일격!''' || ||<-5> {{{+2 '''{{{#white 메인 덱}}}'''}}} ||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마인 테라|마인 테라]][br]x2 || N [[화염의 마신]][br]x3 || N [[격투전사 얼티메이터]][br]x3 || N [[화염의 조종자]][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섀도우 파이터|섀도우 파이터]][br]x3 || || SR [[리로드(유희왕)|리로드]][br]x1 || R [[가드 페널티]][br]x1 || R [[용기의 깃발]][br]x1 || N [[레드 포션]][br]x1 || N [[도발]][br]x1 || || N [[아머 브레이크]][br]x1 ||<-4>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1''' || [[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아리트[br][[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우는 주먹이 신조차 부순다! 유성의 일격!''' || '''16''' || UR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 ||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 ||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3''' || UR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 || '''18''' || SR [[BK(유희왕)#라스트 카운터|라스트 카운터]] || '''33''' || SR [[BK(유희왕)#라스트 카운터|라스트 카운터]] || || '''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30px]] : 아리트 ||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계급통일''' || '''35''' || UR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 ||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21'''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 ||<-2><|10> || || '''7'''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 ||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23''' || UR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 ||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 ||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 '''10''' || SR [[BK(유희왕)#라스트 카운터|라스트 카운터]][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25''' || UR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 || || '''11''' ||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30px]] : 아리트 ||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넘버즈 룰''' ||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14'''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 ||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아리트 (Ver.2) || '''30'''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스킬 == ||<-2>
{{{+2 '''{{{#white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우는 주먹이 신조차 부순다! 유성의 일격!'''[br]듀얼 개시 시에 자신의 덱에 「[[BK(유희왕)#BK 스위치히터|BK 스위치히터]]」와 「[[BK(유희왕)#BK 헤드기어|BK 헤드기어]]」를 각각 3장을 넘지 않도록 1장씩 추가한다. 추가로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를 1장 추가한다.[br]또한,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이하일때에 사용할 수 있다. 패를 1장 덱으로 되돌리고, 덱 외에서 「[[RUM-바리언즈 포스]]」1장을 패에 넣는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레벨 1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넘버즈 룰'''[br]① : '[[No.(유희왕)|No.]]'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No.(유희왕)|No.]]'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상대의 다음 턴이 끝날 때까지, 해당 몬스터는 '[[No.(유희왕)|No.]]'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계급통일'''[br]3~5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원래 카드명에 「[[BK(유희왕)|BK]]」를 포함하는 몬스터의 레벨은 선언한 레벨이 된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KO BK'''[br]자신 필드의 원래 카드명에 「[[BK(유희왕)|BK]]」를 포함하는 엑시즈 몬스터 1장을 고른다.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에 의해 상대 몬스터만이 파괴되었을때, 그 파괴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 상대 라이프 포인트를 감소시킨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KO 글라스조''' [br]자신의 초기 패가 3장이 된다. 듀얼 개시 시에 자신 묘지에 「[[BK(유희왕)#BK 글라스조|BK 글라스조]]」 1장을 놓는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나의 카운터 전법''' [br]상대가 카운터 함정을 발동했거나 자신이 상대의 공격으로 전투 데미지를 받은 턴의 다음 자신 턴에 사용할 수 있다.[br]자신의 묘지에서 「카운터」카운터 함정 카드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그 후, 패를 1장을 덱으로 되돌린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뜨겁군, 뜨거워!'''[br]자신 필드의 「[[BK(유희왕)|BK]]」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턴 동안,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 수×100 올린다. *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자신의 「[[BK(유희왕)|BK]]」몬스터가 존재할 것. *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상대의 몬스터가 존재할 것. * 자신 묘지에 카운터 함정 카드가 존재할 것.||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바리아르포제 -오버헌드레드 넘버즈-'''[br]자신 필드에 「[[CNo.]]」이외의 「No.101」~「No.107」 중 어느 것을 원래 카드명에 포함하는 엑시즈 몬스터가 1장만 존재할 경우, 2턴째 이후에 사용할 수 있다.[br]바리아르포제하여, 진정한 모습으로 변한다![br]진정한 모습으로 변신한 뒤, 추가로 이하의 효과를 각각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덱 외에서 자신 필드에 「[[RUM-바리언즈 포스]]」 1장을 뒷면 표시로 놓는다. 이 스킬로 필드에 놓은 「[[RUM-바리언즈 포스]]」가 필드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자신 필드의 몬스터 중 어느 것과 종족 / 속성이 같은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No.(유희왕)|No.]]」몬스터를 전부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이벤트 보상[* "아리트"로 플레이하여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유마&아스트랄]]"에게 듀얼 1회 승리]||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γ''' [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2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근성''' [br]① : 턴 시작 시에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4000 이상이었고, 해당 턴에 자신이 받게 될 데미지가 현재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 이상일 경우에 발동됩니다.[br]해당 턴에 단 한 번만,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가 발동되었을 경우, 다음 자신의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1번만 특수 소환할 수 있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발동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화염''' [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화염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레벨 조절''' [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이하이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2장을 선택한 뒤, 1에서 4 사이의 몬스터 레벨을 하나 선언합니다.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의 레벨은 자신이 선언한 레벨과 같아집니다.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오버레이 게인''' [br]① : 엑시즈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해당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해당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해당 몬스터가 가진 엑시즈 소재의 수*2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 [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고, 듀얼 중에 총 2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지원군''' [br]① :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무작위로 전사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넣습니다.||랜덤 드랍||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아카이브 스킬/스피드 듀얼)] == CPU == [[파일:Arito-DECK.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 [[BK(유희왕)#BK 헤드기어|BK 헤드기어]][br]x2 ||<:> [[BK(유희왕)#BK 스위치히터|BK 스위치히터]][br]x3 ||<:> [[BK(유희왕)#BK 스파|BK 스파]][br]x2 ||<:> [[BK(유희왕)#BK 글라스조|BK 글라스조]][br]x1 ||<:> [[BK(유희왕)#BK 섀도우|BK 섀도우]][br]x1 || ||<:> [[BK(유희왕)#BK 빅밴티지|BK 빅밴티지]][br]x1 ||<:> [[자이언트 오크]][br]x1 ||<:> [[BOX서]][br]x1 ||<:> [[세컨드 고블린]][br]x1 ||<:> [[BK(유희왕)#버닝나클 스피릿|버닝나클 스피릿]][br]x1 || ||<:> [[세트어퍼]][br]x1 ||<:> [[BK(유희왕)#졸트 카운터|졸트 카운터]][br]x1 ||<:> [[간파의 비법]][br]x1 ||<:> [[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br]x1 ||<:> [[카운터 카운터]][br]x1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br]x1 ||<:> [[No.79 BK 항성의 카이저]][br]x1 ||<:><-3> || ## [[https://www.duellinksmeta.com/farming-and-events/|이벤트 캐릭터 정보]]를 참고하시어, 덱 레시피 이미지를 추가한뒤 덱 리스트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 || UR [[세트어퍼]] || UR [[자이언트 오크]] || SR [[엑시즈 임포트]] || SR [[엑시즈 도시락]] || || R [[세컨드 고블린]] || R [[가드 페널티]] || N [[포스 필드]] || N [[아머 브레이크]] || N [[화염의 조종자]] || ## 레벨 40의 해당 캐릭터와 듀얼 후에 받게 되는 보상을 정리해주세요. == 미션 == ||<-2><:>
[[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40px]] {{{+1 '''{{{#white 카드 슬리브}}}'''}}}|| ||<:>'''카드 슬리브: 아리트'''||평생 미션[* "아리트" 레벨 5 달성]|| ||<:>'''카드 슬리브: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평생 미션[* "아리트" 100회 듀얼]|| ||<:>'''카드 슬리브: 카운터 배틀! 결의의 투사 아리트'''[br]{{{-1 {{{#gray 아리트&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이벤트 미션[* 이벤트 점수 41만점 획득]|| ||<:> '''카드 슬리브: BK'''[br]{{{-1 {{{#gray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헤드기어, 글라스조, 스위치히터, 카운터블로}}}}}}||이벤트 미션[* 트레이닝 2회 달성]|| ||<-2><:>[[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40px]] {{{+1 '''{{{#white 플레이매트}}}'''}}}|| ||<:>'''플레이매트: 아리트'''||평생 미션[* "아리트" 레벨 12 달성]|| ||<:>'''플레이매트: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평생 미션[*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 100회 소환]|| ||<:>'''플레이매트: 카운터 배틀! 결의의 투사 아리트'''[br]{{{-1 {{{#gray 아리트&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이벤트 미션[* 이벤트 점수 150만점 획득]|| ||<:>'''플레이매트: BK'''[br]{{{-1 {{{#gray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헤드기어, 글라스조, 스위치히터, 카운터블로}}}}}}||이벤트 미션[* 트레이닝 3회 달성]|| ## 해당 캐릭터 및 해당 캐릭터 획득 이벤트시 얻게 되는 카드 슬리브 또는 플레이매트를 정리해주세요. == 평가 == ## 해당 캐릭터가 출시 된 뒤의 평가 및 활용에 대해 적어주세요. 12기 지원 없는 [[BK(유희왕)]] 덱은 이야기할 가치도 없는 쓰레기 덱이며, 그러기에 12기 이전의 카드라면 전부 풀려도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스킬이 중요했는데 스킬마저도 구리다는 평. == 기타 == ## 해당 전설의 듀얼리스트에 대한 파밍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적어주세요.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BK 지원 정보가 나오기 전에 대사를 녹음했는지 BK 12기 지원 카드들은 대사가 없다. 40렙 파밍은 12기 지원 카드 없는 BK 덱은 뭘 어떻게 짜든 약골이기에 별 고민을 안 해도 쉽게 이길 수 있다. 특히 40렙 덱은 복서 이미지를 내세우겠다고 자이언트 오크, 세컨드 고블린, BOX서 같은 카드도 넣어 더욱 약하다. 다만 원작의 아리트 전략 성향을 그대로 가져와 카운터 함정을 쓰는데, 이게 파밍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다만 카운터 함정 카드라고 해도 신의 심판 시리즈 같이 엄청나게 강력한 게 아니라 [[간파의 비법]], [[졸트 카운터]], [[카운터 카운터]] 같이 퍼미션 범위가 제한적인 것들뿐이다. 카운터 카운터는 그냥 카운터 함정을 안 쓰면 그만이고, 졸트 카운터는 배틀 페이즈에 효과를 주의해서 쓰면 되고[* [[가디언의 힘]]으로 타점 올리는 파밍 덱은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는데 졸트 카운터는 '''카드의 발동'''을 막지, '''효과의 발동'''을 막는 것은 아니기에 가디언의 힘의 카운터 놓는 효과에는 발동을 할 수 없다.], [[간파의 비법]]은 효과 발동이 묘지에서 처리되는 몬스터 효과와 동명 카드가 묘지에 있는 마법/함정 카드를 주의해서 쓰면 된다. 그나마 까다로운 건 간파의 비법 정도고, 어느 것도 덱에 1장씩밖에 안 넣었기에 적절할 때 딱 세트되어 있을 가능성도 적다. BK 전개력이 좋지 않아 레벨 4 몬스터 2장만 모으면 소환 가능한 [[No.79 BK 항성의 카이저]]조차 빠르게 뽑기 힘들어한다. 사실상 처음에는 다른 일소한 BK 몬스터 + 스파의 자체 특소 효과 이 방법으로밖에 엑시즈 소환을 할 수 없으며, 스파마저 3장 꽉꽉이 아닌 2장뿐이다. 심지어 스파의 자체 특소 효과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걸려 있어 공격이 전부 봉인되기까지 한다. 결국 아리트가 주로 쓰는 방법은 1턴을 BK 몬스터를 벽으로 세워 버티고 스위치히터의 몬스터 효과, 버닝나클 스피릿이나 세트어퍼 같은 마함 효과로 BK 몬스터를 특소하는 것이다. 자이언트 오크가 있어 일소만으로 바로 2200 타점을 마련할 수 있으며, 엑시즈 몬스터 타점도 단번에 2600, 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까지 포함하면 2800까지 올릴 수 있으니 주의.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는 40렙 아리트 덱의 전개력으로 뽑기 힘들지만, 뽑으면 위협적이다. 만 이상 데미지 파밍의 경우에는 세스터스의 능동적인 전투 데미지 반사에 훅 갈 수 있다.[* 다만 세스터스의 효과는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 1장의 효과까지 무효화하기에 그 몬스터의 효과로 올린 타점은 0으로 되돌아간다. [[가디언의 힘]] 등 다른 카드의 효과로 올린 타점이 문제.] 다만 상술했듯 스파의 자체 특소 효과를 쓰면 배틀 페이즈가 봉인되기 때문에 기껏 힘들게 뽑아도 아리트가 공격도 못하고 바로 턴을 종료하는 상황도 나온다. 카운터 함정의 카운터 몬스터인 [[어보이드 드래곤]]이 파밍용 몬스터로 추천되기도 한다. 다행히 40렙이든 50렙이든 엑시즈 몬스터 중에 [[BK 구속만병 리드블로]]가 없어 구속만병 리드블로의 2회짜리 전투 / 효과 파괴 내성 + 내성 적용 시 폭발적으로 올라가는 타점 때문에 파밍 작전을 고민할 필요가 없다. 밸런스 문제로 배제한 모양. 50렙의 경우에는 추가된 [[No.80 광장패왕 랩소디 인 버서크]]에 의한 묘지 2번 제외 공격 및 엑시즈 몬스터 타점 1200 강화 외엔 특별히 크게 강해진 건 없다. 전개력은 그대로라 엑시즈 몬스터를 빠르게 2장 이상 띄울 여력이 못 되어서 광장패왕의 타점 강화 능력이 빛바래지는 느낌이 있다. 카오스 엑시즈가 추가됐지만, [[RUM-바리언즈 포스]]가 1장뿐이고 서치할 방법도 없으며, 상술했듯 아리트 덱의 전개력이 쓰레기라 엑시즈 몬스터를 뽑기 어려워 하기에[* 특히 카에스토스 쪽은 진화 전이 레벨 4 몬스터 3장을 요구하고 있어 더더욱 뽑기 어렵다.] 카오스 엑시즈몹을 뽑을 일이 거의 없다. 그래도 뽑긴 한다면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의 대상 파괴 효과 및 번뎀, [[CNo.80 장장패왕 레퀴엠 인 버서크]]의 대상 제외 효과 및 다른 엑시즈 몬스터의 타점 2000 강화는 강력하니 주의. 카운터 함정 카드도 바뀌었으나, 여전히 신의 심판 시리즈 수준으로 강력한 건 사용하지 않으며 모두 1장씩만 넣었다. [[라스트 카운터]]는 조건이 아리트 필드에 공격 표시인 BK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어야 하지만, 상대 몬스터를 무조건 전투로 박살내고 전투 데미지까지 주기에 자신과 아리트 배틀 페이즈에 주의가 필요하다. [[포스 필드(유희왕)|포스 필드]]는 다소 까다로운데,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마법 카드의 발동을 무효화한다. 이게 아리트 필드의 몬스터를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가 상대 본인의 몬스터 대상으로 발동하는 것도 막기에 [[가디언의 힘]]을 포함한 장착 카드나 [[컨센트레이트(유희왕)|컨센트레이트]]를 포함한 대상 지정 공뻥 마법 역시 막을 수 있어 몇몇 파밍 덱은 주의해야 한다. [[위풍당당]]은 배틀 페이즈 한정 퍼미션으로 졸트 카운터와 다르게 마함은 못 막지만, BK 몬스터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각주]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ZEX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