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대 이집트 관련 문서)] [[파일:아마르나 이집트.jpg|width=800]] 소 아톤 신전 [[파일:이집트 아마르나 3.jpg|width=800]] 궁전 유적 ||[[파일:아마르나 이집트 2.jpg|width=320]]||[[파일:아마르나 이집트 5.png|width=445]]|| |||| 아마르나 양식의 여인 조각상과 유적지 지도 |||| [[아랍어]]: {{{+1 العمارنة }}} [[영어]]: Amarna == 개요 == [[이집트]] 북부 미냐 주의 유적지. [[미냐]]와 [[아시유트]] 사이의 [[나일 강]] 동안에 위치한다. [[신왕국]] 18왕조의 개혁군주 [[아케나톤]]의 수도로 세워져 그가 사망할 때까지 14년간 이집트의 수도로 기능하였다. (기원전 1346 ~ 1332년) 당시 지명은 아케타텐으로, '[[아톤]] 신의 수평선'이란 의미이다. 아케나톤은 기존 다신교와 사제 계급의 전횡에서 벗어나고자 아톤을 유일신으로 하는 종교 개혁을 단행하고 새로운 수도를 건설해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다. 다만 그의 사후 어린 아들 [[투탕카멘]]이 계승하며 개혁은 없던 일이 되었고, 아마르나에서 다시 [[테베]]로 천도되었다. 이후로도 최소한 투탕카멘 대에는 도시가 유지된 것으로 보이나 기원전 1300년 이후 채석장이 되어 파괴되었다. 다만 그때부터 현재까지 폐허로 남은 덕에 고대 이집트 도시들 중 원래의 구조가 가장 완벽히 보존되어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일대에서 출토된 사실주의에 입각한 아마르나 예술품들과 고대 세계 최대의 외교 자료인 아마르나 문서는 활발히 발굴되어 이집트 외에도 프랑스, 독일, 미국 등지의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 갤러리 == ||[[파일:이집트 아마르나 2.jpg|width=343]]||[[파일:이집트 아마르나.jpg|width=312]]|| |||| 아케나톤 흉상 & 네페르티티 두상 |||| [[파일:아마르나 이집트 1.jpg|width=700]] 아케나톤 & 네페르티티 입상 --보정 전-- [[파일:아마르나 이집트 5.jpg|width=700]] 아케나톤 일가 [[파일:이집트 아마르나 4.jpg|width=700]] 북쪽 궁전 유구 ||[[파일:아마르나 이집트 4.jpg|width=346]]||[[파일:이집트 아마르나 5.jpg|width=327]]|| |||| 아톤 신께 봉헌하는 아케나톤과 귀족 무덤의 석주 |||| === 참고 === [include(틀:상이집트의 주요 도시)] [[분류:이집트의 유적]][[분류:이집트의 옛 수도]][[분류:고대 이집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