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유니온]] [[유희왕]]의 하급 유니온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 사이버(유희왕), top2=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ArmoredCybern-JP-Anime-GX.png]] || 한글판 명칭 ||<-4>'''아머드 사이번'''|| || 일어판 명칭 ||<-4>'''アーマード・サイバーン'''|| || 영어판 명칭 ||<-4>'''Armored Cybern'''|| ||<-5> [[유니온(유희왕)|유니온]]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바람]] || [[기계족]] || 0 || 2000 || ||<-5>1턴에 1번만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장착 카드 취급으로 하여 자신의 "사이버"라는 이름이 붙은 기계족 몬스터에 장착, 또는 장착을 해제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 이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1000 포인트 내리고, 상대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메인 페이즈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다. (1장의 몬스터가 장착할 수 있는 유니온은 1장까지.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 파괴될 경우는,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유희왕 GX]]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46화에서 [[마루후지 료]]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수비 표시로 소환된 후[* 이 때 쥬다이는 패의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과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스파크 건]]의 콤보로 아머드 사이번을 공격 표시로 바꿔 쓰러뜨린 뒤 [[엘리멘틀 히어로|히어로 베리어]]로 다음 턴을 무사히 넘기는 것이 가능했지만, 당시 전의를 상실해있던 쥬다이는 이런 기회를 전부 놓쳐버린 채 턴을 넘겨버렸다. 게다가 이건 쥬다이가 덮어둔 카드만 보고 료가 판단한 것으로, 실제로는 그냥 패의 '''융합'''을 써서 썬더 자이언트를 소환해 효과로 파괴한 다음 더 큰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했다.], 다음 턴에 [[파워 본드]]로 공격력 8000으로 강화되어 [[융합 소환]]된 [[사이버 엔드 드래곤]]에게 장착된 뒤[* 카이저는 이 형태를 '''아머드 사이버 엔드'''라 칭했다.] 공격력을 4000까지 내리면서 쥬다이의 필드에 있는 카드 4장을 파괴했다. 카드 하나하나를 파괴하면서 쥬다이의 플레잉 미스를 지적하는 신이 꽤 인상깊다. 효과명은 '저지먼트 캐논(ジャッジメント・キャノン)'. 여담으로 '아머'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치고 이름에 어울리게 실제로 수비력이 높은 타입의 몬스터는 의외로 드문 가운데, 이 카드는 확실히 수비력이 높다. 디자인의 경우 배색과 머리 부분의 형태는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을 연상시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파일:アーマード・サイバーン.jpg|width=100%]] || [[파일:ArmoredCybern-LEDD-EN-C-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아머드 사이버언, 일어판명칭=アーマード・サイバーン, 영어판명칭=Armored Cybern, 몬스터=, 효과=, 유니온=, 레벨=4,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2000, 효과1=ⓛ: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 자신 필드의 "사이버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또는 "사이버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4=②: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1000 내리고\, 대상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다., )] ||<:>'''에라타 (한글판)[br][[http://www.yugioh.co.kr/board/board_info.php?b_category=important&b_no=136|(2021.08.12)]]'''||<-4><(>'''誤 : [카드명]''' {{{#red 아머드 사이번}}}[br]'''正 : [카드명]''' {{{#red 아머드 사이버언}}}|| 부스터 팩 [[환영의 어둠]]에서 첫 등장한 [[유니온(유희왕)|유니온]] 몬스터. [[사이버 드래곤]]이나 이를 소재로 한 융합 몬스터 전용 [[유니온(유희왕)|유니온 몬스터]]로, 유니온 몬스터 공통 효과 외에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효과를 가졌다. 원작과는 달리 파괴 대상이 앞면 표시 몬스터로 한정되었다.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등과 조합하여 파괴 코스트는 유니온 효과로 막으며 리미터 해제의 공격력 상승효과로 이 카드의 코스트마저 지워 두 카드의 코스트 없이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비력도 2000으로 하급 디펜더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 벽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대형 몬스터만 잘 견제할 수 있다면 일단 하급의 공격을 한번 막고 다음 턴에 하급 사이버 드래곤 대용품을 불러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는 전개도 가능하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장착 대상인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계열]]과는 달리 바람 속성이라 빛 속성 서포트 공유가 안 된다는 것. 바람 속성이라는 점을 이용해서 [[데브리 드래곤]]으로 묘지에서 퍼올리면 [[전광천조]]를 소환하는 데 이용할 수 있긴 한데 그렇게까지 하려면 약간 덱 구성에 무리가 갈 수도 있다. 애초에 데브리 드래곤 자체가 사이버 드래곤 덱에 원래 잘 들어가는 카드가 아니기 때문. 단 [[융합(마법카드)|융합]] + [[늪지의 마신왕]]을 채용한다면 데브리 드래곤의 채용 가능성이 열리는데, 이 경우라면 병용할 수도 있다. [[파워 본드]]를 이용한 한방 대신 서치와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을 이용한 안정성을 꾀한다면 이런 덱 구성을 선택해 보도록 하자. 예전에는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이나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에 이걸 달고 효과를 쓰면 [[기계 복제술]]에 대응하는 능력치가 된다는 점을 이용해서 융합 소환을 가속화시키는 방법도 있었다. 하지만 [[가디언(유희왕)|유성의 활-실]] 같은 대용 카드도 있고, 무엇보다도 아예 처음부터 기계 복제술에 대응되는 [[사이버 드래곤 코어]]도 나왔기 때문에 이런 용도로는 이제 쓸 일이 없어졌다. [[머시너즈의 지령]]에서 복각될때, {기계족/유니온}이라고 써있어야 할 것이 {기계족/'''효과'''} 몬스터라고 쓰여 나오는 치명적인 '''[[오타]]'''가 발생했다. 결국 홈페이지에 사과문까지 올라오고 [[에라타]] 처리. [[사이버네틱 히든 테크놀로지]]와 비슷하게 장착 대상을 "사이버 드래곤" 및 사드를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로 지정해 놔서 같은 사이버 드래곤 계열인 [[사이버 레이저 드래곤]]이나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에는 못 쓴다. 하지만 필드 / 묘지에서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사이버 드래곤 링크 몬스터인 [[사이버 드래곤 지거]]에는 사용할 수 있다. 그냥 "사이버"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 장착할 수 있게 했으면 좋았겠지만, [[사이버(유희왕)|사이버]]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 당시 OCG에서는 "사이버"라는 이름을 지정할 수 없어 일어난 참사. 사실 이 카드 자체도 사이버라는 이름을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하기 힘들다는 걸 알려주는 산증인 중 하나인데, 일본판 이름과 영어판 이름을 기준으로는 모두 "사이버"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アーマード・'''サイバー'''ン, Armored '''Cyber'''n) 한글판 카드는 아니다. 결국 사이버류의 후계자에서 기계족 "사이버" 몬스터를 지정하는 카드가 나오면서 이 카드의 이름도 '사이버'로 쓰이도록 에라타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 PTDN-JP00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マシンナーズ・コマンド-]] || SD18-JP01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機光竜襲雷- ]] || SD26-JP011 || [[노멀]] || 일본 ||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7 Vol.4]] || 17TP-JP405 || [[노멀]] || 일본 || ||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 PTDN-EN00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Machina Mayhem]] || SDMM-EN018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11 || [[노멀]] || 미국 || || || [[환영의 어둠]] || PTDN-KR00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 -[[머시너즈의 지령]]- || SD18-KR018 || [[노멀]] || 한국 || 에러 카드 존재 || || [[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11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사이버 드래곤]] === === [[어태치먼트 사이버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