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방가르드 음악]] || [youtube(JTEFKFiXSx4, height=200)] || [youtube(nffOJXcJCDg, height=200)] || || '''[[존 케이지]] - [[4분 33초|4′33″]]'''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 [[소년들의 노래|Gesang der Jünglinge(소년들의 노래)]]''' || || [youtube(ccyhnJo00Y4, height=200)] || [youtube(SNdcFPjGsm8, height=200)] || || '''네이키드 시티 - Torture Garden''' || '''[[비틀즈]] - [[Revolution 9]]''' || || [youtube(-6CsKb8-vHg, height=200)] ||[youtube(aF0g-2SeoMM, height=200)] || || '''디아만다 갈라스 - Panoptikon''' || '''[[캡틴 비프하트]] - [[Trout Mask Replica]]''' || [목차] == 개요 == {{{+1 '''Avant-garde music'''}}} [[전위예술]] 및 [[음악]]의 한 장르로, [[아방가르드]]의 영향을 받은 음악을 뜻한다. 익스페리멘탈 뮤직과는 조금 다르며 이 큰 장르의 두 틀들은 사실상 형제 취급 받는다. == 상세 == [[클래식(음악)|클래식]] 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사조로서 20세기 초반부터 발달하였다. 1945년 전후에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특히 1960년대 초중반기 [[독일]]의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프리 재즈]]나 [[노이즈(음악)|노이즈]]와도 연결된 음악 장르다. 대중성에서 가장 먼 음악 장르중 하나이며 악기 소리를 하나도 넣지 않고 일상 소음으로 채우거나, 극단적으로는 위의 [[4분 33초]]처럼 아예 아무런 소리도 넣지 않은 곡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플럭서스]]와 같은 음악 사조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있다. 아방가르드 음악가들중 일부는 [[록 음악]]으로 흡수되었으며, 또는 록 음악에 어느정도의 영향을 줘 [[펑크 록]]의 형성에도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존 케이지]]가 있다. 또한 전자음악의 창시자중 한명인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도 넓은 의미에서 아방가르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대중음악계에서는 대표적으로 [[프랭크 자파]]와 [[캡틴 비프하트]]가 아방가르드 음악계의 대부로 불리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는 색소포니스트 존 존을 중심으로 [[재즈]] 장르에서도 시도되는 움직임이 있기도 했고[* 존 존은 주로 아방가르드 재즈를 [[그라인드코어]](...)와 짬뽕한 듯한 음악을 들려준다. 사실 워낙 다작하는 양반이라 아방가르드 재즈의 큰 틀 말고는 그의 음악 스타일을 분류하는 게 딱히 의미가 없다. 마사다에서는 유대인들의 전통음악과 재즈를 결합시키기도 했고, 마사다에서 기반이 된 이 사운드는 일렉트릭 마사다의 라이브 퍼포먼스에서 더욱 전위적으로 변했다.] 그의 밴드였던 네이키드 시티, 마사다, 일렉트릭 마사다의 구성원들은 현재까지도 씬을 지탱하는 중이다. == 주요 음악가 == *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 [[스티브 라이히]] * [[백남준]] * [[오노 요코]] * [[존 케이지]]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 메레디스 몽크 * 디아만다 갈라스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존 존]] * [[네이키드 시티]] * [[마사다]], [[일렉트릭 마사다]] * [[페인킬러]] == 관련 장르 == * [[구체 음악]] * [[노이즈(음악)|노이즈 음악]] * [[뉴에이지]] * [[미니멀리즘]] * [[앰비언트]] * 아방가르드 재즈 * [[익스페리멘탈 록]] * 초기 형태의 [[전자음악]] * 턴테이블 음악 * [[프리 재즈]] == 관련 문서 == * [[아방가르드]] * [[우연성 음악]] * [[플럭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