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운행했던 재래선 특급, rd1=아사마(특급))] [include(틀:JR 동일본의 우등열차)] ||<-2><:>{{{#ffffff {{{+1 '''あさま'''}}}[br]Asama / 아사마}}}|| ||<-2><:>{{{#ffffff '''정보'''}}}|| ||<:>'''운행 국가'''||[[일본]] || ||<:>'''종별'''||신칸센 특별급행열차 || ||<:>'''현황'''||운행중 || ||<:>'''운행 지역'''||[[간토]], [[주부(일본)|츄부]][br]([[도쿄도]], [[사이타마현]], [[군마현]], [[나가노현]]) || ||<:>'''전신'''||특급 [[아사마(특급)|아사마]], 하쿠산 || ||<:>'''운행개시일'''||[[1997년]] [[10월 1일]] || ||<:>'''운영자'''||[[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30]][br]{{{#3ea343,#5cc161 JR 동일본}}}]] || ||<-2><:>{{{#ffffff '''노선'''}}}|| ||<:>'''기점'''||[[도쿄역]] || ||<:>'''종점'''||[[나가노역]] || ||<:>'''운행거리'''||222.4km || ||<:>'''경유노선'''||[[도호쿠 신칸센]], [[죠에츠 신칸센]],[br][[호쿠리쿠 신칸센]] || ||<-2><:>{{{#ffffff '''기술'''}}}|| ||<:>'''차량'''||[[신칸센 E7계 전동차|E7계]]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br][[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br][[신칸센 W7계 전동차|W7계]] ([[하쿠산 종합 차량소]]) || ||<:>'''궤간'''||1435mm || ||<:>'''전력 공급'''||교류 25000V 50/60Hz 가공전차선 || ||<:>'''최고 속도'''||110㎞/h(도쿄~우에노)[br]130㎞/h(우에노~오미야)[br]275㎞/h(오미야~타카사키)[br]260㎞/h(타카사키~나가노) || ||<-4><:>{{{#ffffff {{{+1 '''호쿠리쿠 신칸센'''}}}}}}||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신칸센)|아사마]] || [[츠루기(열차)|츠루기]] || ||<:>[[파일:E7系F11編成.jpg|width=100%]] || ||<:>{{{#ffffff 아사마}}}|| || [youtube(MJ0jPt3BqU8)] || ||<:>{{{#ffffff 측면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 개요 == [[JR 동일본]]에서 운행하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열차 등급중 하나이다. 이 열차명은 나가노현과 군마현의 경계에 있는 아사마산(浅間山)에서 유래했다. 원래는 L특급에서 사용하던 명칭이지만 신칸센이 물려받고 L특급은 폐지되었다[* 참고로 이 시기의 아사마는 [[우스이 고개]]라는 매우 험준한 고개를 넘어다녔다. 자체동력이 있었음에도 기관차까지 달고 통과했을 정도.]. 차종은 E7계가 투입된다. == 운행 계통 == 나가노 신칸센 출신 등급답게 모든 열차가 [[도쿄역]] ~ [[나가노역]]간만을 운행한다. 카나자와 연장 이후로는 그야말로 최하 등급으로 떨어진 상태. 전역정차하는 아사마의 운행 시간은 최대 109분이다. [[우스이 고개]]를 넘어서 [[카루이자와역]]-[[나가노역]] 구간은 전 열차가 전역 정차하며 카루이자와~도쿄구간도 거의 각역정차를 실시하고 있다.[* 이 구간의 급행역할은 하쿠타카가 맡고 있다.]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으로 유명한 [[안나카하루나역]]을 유일하게 정차하는 것도 아사마다. 카루이자와-나가노 구간 급행 역할을 하는 열차는 도쿄행 602열차가 유일하다. 601,609,612,618,621,630호는 W7계 고정운행이다.[* 임시 열차 운행 시 E7계로 변경 될 수 있다.] 배정번호는 정규열차:600~633,임시:640번대이다. 600~633-도쿄~나가노 640번대-도쿄(우에노)~나가노(임시열차) 699-카루이자와~나가노(평일 운행) === 카나자와 연장 이전 === [[카나자와역]] 연장 전 나가노 신칸센 시절에는 모든 열차가 전부 아사마로만 운행하였다. 이 시기의 주요 정차역은 [[도쿄역]] - [[우에노역]]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 - [[타카사키역]] - [[나가노역]]이다. 카나자와 연장 전까지는 심지어 우에노역과 타카사키역에 정차하지 않는 아사마도 소수 있었다고. 단일 등급으로 운행되다보니 열차별 편차가 큰데, 도쿄 - 나가노간 최속달 열차는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에만 정차하는 아사마 518호로, 83분이 소요된다. 개통 이후 2002년 12월까지 도쿄 - 나가노간 논스톱 열차가 1왕복 운행되었었는데 이 열차의 운행 시간은 79분. (현재 오미야에만 정차하는 카가야키 509호의 도쿄 - 나가노간 소요시간은 80분[* 도쿄에서 카나자와까지는 142분 소요.][* 현재 가장 빠른 아사마인 아사마 600,605,624호가 도쿄에서 나가노까지 95분 소요.]) 도쿄-오미야-우에다-나가노에 정차하는 아사마 505열차의 운행계통이 있었으며, 도쿄-우에노-오미야-카루이자와-나가노에만 정차하는 아사마 515,519열차가 있었다. 아사마 운행 초기에는 [[아사히(열차)|죠에츠 신칸센 아사히]]와 이름이 비슷해서 '''도쿄-타카사키 구간에서 열차 오승 사례가 속출했다.''' 이는 아사히가 폐지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다. === 정차역 === '''굵은 글씨'''는 필수 정차역 >'''도쿄'''-'''우에노'''-'''오미야'''-쿠마가야[* 상행 5회(600호,604호,606호,624호,628호), 하행 3회(605호,627호,629호) 통과]-혼죠와세다[* 상행 9회(600호,604호,606호,608호,612호,614호,624호,628호,630호), 하행 8회(601호,605호,623호,625호,627호,629호,631호,633호) 통과]-'''타카사키'''-안나카하루나[* 상행 6회(600호,606호,616호,618호,620호,624호), 하행 5회(605호,609호,613호,617호,621호) 통과]-'''카루이자와'''-사쿠다이라[*A 상행 1회(602호) 통과]-우에다[*A]-'''나가노''' == 사용 차량 == || [[파일:E7系F11編成.jpg|width=500]] || || [[신칸센 E7·W7계 전동차]] || [[호쿠리쿠 신칸센]]은 여타 다른 [[신칸센]] 노선과 다르게 험악한 선형과 환경을 가지고 있어 전용 차량으로만 운행이 가능하다. 아사마로 운행되는 [[신칸센 E2계 전동차]] 0번대 N편성은 [[타카사키역]]에서 [[카루이자와역]]에 이르는 30km에 이르는 30퍼밀의 긴 급경사를 오를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카루이자와역 ~ [[사쿠다이라역]] 사이에 있는 [[절연구간|50Hz/60Hz 전환 구간]]에 대응된다. 노선 특성상 타 차량으로의 대체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칸센 E4계 전동차]]를 급구배 대책만 시켜서 카루이자와역까지 운행시킨다든가,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나가노 올림픽]]때에는 부족한 운송량을 충당하기 위해 [[신칸센 200계 전동차]]를 마개조시켜 [[나가노역]]까지 넣는 기행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변칙적 운영은 2004년 이후 사라졌다. 2014년 3월 개정으로 [[신칸센 E7계 전동차]]도 아사마로 운행되기 시작하였고, 2016년 1월부터는 E2계는 정기 편성에서 제외, 2017년 5월 골든위크를 마지막으로 임시 편성에서도 자리를 감췄다. [include(틀:신칸센)] [[분류:신칸센의 운행 등급]][[분류:호쿠리쿠 신칸센]][[분류:일본의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