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구단의 모체, rd1=경찰 축구단, other2=해당 구단의 전신, rd2=안산 무궁화 FC)]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구단의 후신, rd1=충남 아산 FC)] [include(틀:K리그/과거 참가 구단)] ||<-2> [[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height=270]] || ||<-2> {{{+1 '''{{{#01354a 아산 무궁화 FC}}}'''}}} || ||<-2> {{{+1 '''{{{#ffffff ASAN MUGUNGHWA FC}}}'''}}} || || '''최종 정식 명칭''' ||아산 무궁화 프로 축구단 || || '''최종 영문 명칭''' ||Asan Mugunghwa Football Club (AMFC) || || '''법인명 변천''' ||경찰대학무궁화체육단 (2013)[br]사단법인 안산경찰청프로축구단 (2014~2015)[br]사단법인 안산무궁화프로축구단 (2016)[br]'''{{{#005cb9 사단법인 아산무궁화프로축구단}}}''' (2017~2019) || || '''창단''' ||[[1996년]] [[3월 29일]]^^([age(1996-03-29)]주년)^^ || || '''해체''' ||[[2019년]] [[12월 31일]]^^([age(2019-12-31)]주년)^^ || || '''구단 형태 변천''' ||군경 구단 (1996~2019)[br][[시민 구단]] (2019)[* 2019년 한정으로 군경, 민간인 혼성 구단이었다.] || || '''소속 리그 변천'''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99~2002)[br][[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 (2003~2012)[br]'''[[K리그2|{{{#005cb9 K리그 챌린지-K리그2}}}]]''' (2013~2019) || || '''연고지 변천''' ||무연고 (1996~2013)[br][[경기도]] [[안산시]] (2014~2016)[br]'''[[충청남도|{{{#005cb9 충청남도}}}]] [[아산시|{{{#005cb9 아산시}}}]]''' (2017~2019) || || '''홈구장 변천''' ||무연고 (1996~2013)[br][[안산와~스타디움]] (2014~2016 / 35,000석)[br]'''[[이순신종합운동장|{{{#005cb9 이순신종합운동장}}}]]''' (2017~2019 / 19,283석) || || '''구단명 변천''' ||[[경찰 축구단]] (1996~2013)[br][[안산 경찰청 축구단]] (2014~2015)[br][[안산 무궁화 FC]] (2016)[br]'''{{{#005cb9 아산 무궁화 FC}}}''' (2017~2019) || || '''라이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b1a31; font-size: 1.0em" [[상주 상무 FC|{{{#ffffff '''상주'''}}}]]}}} - [[군경 더비]] (2013~2019) || || '''최종 구단주''' ||[[오세현(정치인)|오세현]] (아산시장) || || '''최종 대표이사''' ||박성관 || || '''최종 감독''' ||[[박동혁]] || || '''최종 용품 스폰서''' ||[[미즈노(브랜드)|미즈노]] || || '''최종 상징색''' ||'''{{{#ffe02f 노란색}}}''', '''{{{#005cb9 파란색}}}''', '''{{{#01354a 암청색}}}''' || || '''최종 마스코트''' ||붱붱이, 수리 || ||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http://www.asanfc.com|[[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width=20]]]][* [[충남 아산 FC]] 웹 사이트로 전환했다.] | [[https://police.ac.kr/police/training/html/intro/soccer/coach.do?mdex=training11|[[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width=20]]]] ,,무궁화체육단,,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nsanFC,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AMFC201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18]]]] | [[https://www.instagram.com/amfc201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GgpewSJxBpQVQNH-0DM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충남 아산 FC가 승계했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4c9lxCvH-4heF_Zbwrwmww/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초기 계정[* 아산 무궁화 FC 창단 초기부터 2017년 7월 신병 전입 시기까지 사용했다.],, || ||<-2> '''{{{#ffffff 우승 기록 }}}''' || || '''[[K리그2|{{{#01354a K리그2}}}]]'''[br]{{{#01354a (2회)}}} ||2016, 2018 || || '''[[전국실업축구연맹전|{{{#01354a 전국실업축구연맹전}}}]]'''[br]{{{#01354a (1회)}}} ||2002후 || ||<-2> '''{{{#ffffff 개인 수상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리그 대상#s-4.2|{{{#01354a K리그2 도움왕}}}]]'''[br]{{{#01354a (1회)}}} ||[[염기훈]] (2013 ^^21경기 11도움^^) || || '''[[K리그 대상#s-6.2|{{{#01354a K리그2 감독상}}}]]'''[br]{{{#01354a (1회)}}} ||[[박동혁]] (2018 ^^우승, 21승 9무 6패^^) || || '''[[K리그 대상#s-7.2|{{{#01354a K리그2 베스트 일레븐}}}]]'''[br]{{{#01354a (11회)}}} ||1회[br][[오범석]] (2013)[br][[염기훈]] (2013)[br][[김영후]] (2013)[br][[이재권]] (2014)[br][[이용래]] (2014)[br][[신형민]] (2015)[br][[이현승(축구선수)|이현승]] (2016)[br][[이한샘]] (2018)[br][[이명주]] (2018)[br][[황인범]] (2018)[br][[안현범]] (2018) || }}}}}}}}} || ||<-2> '''{{{#ffffff 유소년 체계}}}'''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1354a 18세 이하[br](U-18)}}}''' ||아산 무궁화 FC U-18 || || '''{{{#01354a 15세 이하[br](U-15)}}}''' ||아산 무궁화 FC U-1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1 {{{#005cb9 아산의 축구는 계속된다}}} }}}''' || [[2017년]] [[충청남도]] [[아산시]]를 연고로 창단해 [[K리그2]]에 참가했던 프로 축구단이다. == 시즌별 일람 == ||<-1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아산 무궁화 FC|[[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height=60]]]]||{{{-1 [[아산 무궁화 FC|{{{#01354a '''아산 무궁화 FC'''}}}]]}}}[br]{{{+1 {{{#01354a '''시즌별 일람'''}}}}}} || }}} || ||<|2> '''{{{#ffffff 시즌}}}''' ||<-11> '''[[K리그|{{{#ffffff 리그}}}]]''' ||<|2> '''[[FA컵(대한민국)|{{{#ffffff FA컵}}}]]''' || || '''{{{#ffffff 디비전}}}''' || '''{{{#ffffff 리그}}}''' || '''{{{#ffffff 순위}}}''' || '''{{{#ffffff 경기}}}'''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2013 ||<|7> 2부 || [[K리그 챌린지/2013년|K리그 챌린지]] || '''2''' || 35 || 20 || 4 || 11 || 60 || 47 || +13 || 64 || 2라운드 || || 2014 || [[K리그 챌린지/2014년|K리그 챌린지]] || '''3''' || 37 || 16 || 11 || 10 || 58 || 51 || +7 || 59 || 2라운드 || || 2015 || [[K리그 챌린지/2015년|K리그 챌린지]] || '''10''' || 40 || 9 || 15 || 16 || 31 || 48 || -17 || 42 || 32강 || || 2016 || [[K리그 챌린지/2016년|K리그 챌린지]] || '''1''' || 40 || 21 || 7 || 12 || 57 || 55 || +2 || 70 || 16강 || || 2017 || [[K리그 챌린지/2017년|K리그 챌린지]] || '''3''' || 38 || 16 || 9 || 13 || 45 || 40 || +5 || 54 || 16강 || || 2018 || [[K리그2/2018년|K리그2]] || '''1''' || 36 || 21 || 9 || 6 || 54 || 27 || +27 || 72 || 8강 || || 2019 || [[K리그2/2019년|K리그2]] || '''7''' || 36 || 12 || 8 || 16 || 42 || 56 || -14 || 44 || 3라운드 || == [[경찰 축구단/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찰 축구단/역사)] == 군경 구단 == 선수의 신분이 의무 복무자인 관계로 [[상주 상무 FC]]와 같이 경찰 조직과 프로 구단으로서의 이중성을 갖는다. 선수단이 의경으로서 체육단장 휘하 인원인 반면, 코칭 스태프와 지원 조직은 시 산하 법인의 직원 신분이다.[* [[김태완(축구)|김태완]] 상주 상무 감독은 2011년 이후 군무원 신분이나 상무 감독과 코치를 군무원 자격으로 하는 규정은 없다.]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운영 지원을 하는 것을 빌미로 입대 자격은 현역 K리그 소속으로 제한되어 있다. [[최성용]]의 경우와 같이 대학 졸업 후 우선 군 복무를 마치는 옵션이 봉쇄되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경찰 축구단에 입단하고 싶어서 입단한 선수는 사실상 없겠으나 나이가 차서 더 미루지 못하거나 [[병역 특례]]를 받지 못해 병역을 해결해야 하는 선수의 경우 상주 상무와 더불어 가고 싶어 하는 0순위 구단이다. [[상주 상무]]로 가기 싫거나[* 사실 당장 병역을 해결해야 하는 선수 입장에서는 군 구단이든 경찰 구단이든 상관없이 어디든 가서 해결하고 싶은 게 현실이라 가기 싫을 수가 없다. 거기에 군 복무를 하면서 프로 리그에서 계속 뛸 수 있는 것 자체가 엄청난 특권이다. 그만큼 경쟁률이 치열하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입대 선수가 많이 몰리거나 유명 선수가 있는 경우에는 박터진다. 여기서 탈락하게 되면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해 [[K3리그]] 팀으로 임대를 가서 프로보다 낮은 레벨에서 군복무 기간동안 뛰던가 무명 선수들의 경우 일반 군인으로 입대해 선수 생명이 끊기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상주 상무에서 탈락한 선수들의[* 물론 역으로 경찰 떨어지고 상무 입대한 선수들도 있다.] 차선지가 이 팀이다. 선수들은 [[경찰대학]] 무궁화체육단 소속이며 선수들의 신분은 [[의무 경찰]]이다. 과거에는 R리그 소속이라 1군 대회에 참가하는 상무에 비해 선수단 수급에서 불리한 쪽이었다. 대회 참가 자체도 들쑥날쑥한 편이었다. 프로 리그에 참여하는 지금도 상주 상무에 비해 주전에서 한발 밀린 선수들이나 챌린지 출신이 많은 편이나, 복무 기간 문제로 선수 선발이 수시로 이루어지면서 예전에 비하면 대표 경력을 갖춘 선수가 많이 늘었다. 또한 2015년까진 입대 제한 연령이 만 30세로 만 27세인 상무보다 훨씬 길어서 [[김두현]], [[정조국]]처럼 경력이 꽤 화려한 선수가 군복무 미루다 경찰 복무를 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박주호도 상무 입대 시기를 놓친탓에 2014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치 못하면 바로 K리그로 돌아와 반년간 뛴 다음 경찰에 입대할 예정이었다. 2016년부턴 입대 제한 연령을 상무와 같은 만 27세로 맞춰 이점이 사라졌고 1989~1992년생 선수들이 [[2012 런던 올림픽]]과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연이어 메달을 따내서 2017년 현재 현역 중에는 대표팀 소집이 되는 선수가 없다. 2017시즌 종료 후 대표팀 경험이 있는 [[주세종]], [[이명주]]가 합류하기에 2018년에는 국가대표를 배출할 가능성이 생겼고 [[주세종]]이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 명단에 선택 받아 도움까지 기록했다. == 색상 일람 == || 상징색 || [[RGB]] [br] ,,([[헥스 코드]]),, || [[CMYK]] || [[팬톤|Pantone]] || || [[노란색|Yellow]] || '''{{{#000000 R255 G232 B6 }}}''' [br] ,,{{{#000000 (#ffe806) }}},, || '''{{{#000000 M10 Y87 }}}''' || '''{{{#000000 Pantone 803C }}}''' || || [[파란색|Blue]] || '''{{{#ffffff G92 B185 }}}''' [br] ,,{{{#ffffff (#005cb9) }}},, || '''{{{#ffffff C100 M61 Y12 }}}''' || '''{{{#ffffff Pantone 300C }}}''' || || [[남색|Navy]] || '''{{{#ffffff R10 G42 B59 }}}''' [br] ,,{{{#ffffff (#0a2a3b) }}},, || '''{{{#ffffff C98 M83 Y64 K44 }}}''' || '''{{{#ffffff Pantone 303C }}}''' || == 역대 감독 == [include(틀:안산 무궁화 FC 감독)] ---- ||<-4> '''{{{#fcd715 경찰 축구단~안산 무궁화 FC}}}''' || || '''{{{#fcd715 역대}}}''' || '''{{{#fcd715 이름}}}''' || '''{{{#fcd715 재임 기간}}}''' || '''{{{#fcd715 비고}}}''' || || '''{{{#ffffff 초대}}}''' || [[유동춘]] || 1996~2000 || || || '''{{{#ffffff 2대}}}''' || [[김기복]] || 2001~2005 || || || '''{{{#ffffff 3대}}}''' || [[박대제]] || 2006~2010 || || || '''{{{#ffffff 4대}}}''' || [[조동현(축구)|조동현]] || 2011~2014 || || || '''{{{#ffffff 5대}}}''' || [[이흥실]] || 2015~2016 || [[K리그 챌린지/2016년|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우승 || ---- [include(틀:아산 무궁화 FC 감독)] ---- ||<-4> '''{{{#0a2a3b 아산 무궁화 FC}}}''' || || '''{{{#0a2a3b 역대}}}''' || '''{{{#0a2a3b 이름}}}''' || '''{{{#0a2a3b 재임 기간}}}''' || '''{{{#0a2a3b 비고}}}''' || || '''{{{#ffffff 초대}}}''' || [[송선호]] || 2017 || || || '''{{{#ffffff 2대}}}''' || [[박동혁]] || 2018~2019 || [[K리그2/2018년|KEB하나은행 K리그2 2018]] 우승 || == 코칭 스태프 명단 == ||<-7> '''{{{#0a2a3b 아산 무궁화 FC 2019 시즌 코칭 스태프}}}'''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이름}}} || {{{#ffffff 국적}}} || {{{#ffffff 생년월일}}} || || 감독 || [[박동혁]] || Park, Dong Hyu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9년 4월 18일 || || 수석 코치 || 이정규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2년 7월 10일 || || 코치 || [[이완(축구인)|이완]] || Lee, Wa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4년 5월 3일 || || GK 코치 || 권순형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5월 5일 || || 트레이너 || 엄성현 || Uhm, Sung Hyu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7월 24일 || || 트레이너 || 정성령 || Jeong, Seong Lou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1년 8월 2일 || == 선수 명단 == === 역대 주요 선수 === 상기한 선수 선발의 핸디캡으로 인해 상무에 비해 국가대표 경력자가 적은 편이다. * [[정대훈]]: 올림픽 대표 출신 [[https://police.ac.kr/police/police/html/intro/organ/training.do?mdex=police45|#]] * [[이경근]]: 올림픽 대표 출신 [[https://police.ac.kr/police/police/html/intro/organ/training.do?mdex=police45|#]] * [[김두현]]: MF, 현 [[전북 현대 모터스]] 수석코치 * [[염기훈]]: MF, 현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정조국]]: FW, 현 [[제주 유나이티드]] 공격코치 * [[오범석]]: DF, 현 축구 해설위원 * [[양동현]]: FW, 현 [[수원 FC]] * [[이용래]]: MF, 현 [[대구 FC]] 플레잉코치 * [[신형민]]: MF, 현 [[울산 현대]] * [[신광훈]]: DF, 현 [[포항 스틸러스]] * [[박배종(축구선수)|박형순]]: GK, 현 [[수원 FC]]. * [[한의권]]: FW, 현 [[파지아노 오카야마]] * [[고무열]]: FW, 현 [[강원 FC]] * [[이명주]]: MF, 현 [[인천 유나이티드]] * [[주세종]]: MF, 현 [[대전 하나 시티즌]], 경찰 복무 중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국가대표 선발. * [[안현범]]: MF, 현 [[제주 유나이티드]] * [[황인범]]: MF, 현 [[올림피아코스]], 경찰 복무 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 국가대표 선발. 금메달로 인해 9월 20일자로 조기전역. * [[이한샘]]: DF, 현 [[광주 FC]]. 아산 무궁화의 부주장이었으며 복무 중 [[장학영]]의 승부조작 제의를 받았으나 연맹과 경찰에 신고해 포상을 받고, 이를 아산 유소년 발전기금으로 기부함. * [[김도혁]]: MF, 현 [[인천 유나이티드]] === 최종 [[의무 경찰]] 전역 선수 === 의무 경찰 제도 자체의 폐지에 의한 의무 경찰 선수 선발 종료로 인해 2019년 8월 [[아산 무궁화 FC]], 넓게 보면 경찰 축구단 전체를 통틀어 마지막 전역 선수를 배출했다. 이 선수들은 2019년 8월 4일 [[이순신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부산 아이파크]]와의 [[K리그2]] 홈 경기를 통해 전역식을 가졌고, 동아시아 대회 국가대표팀 소집으로 인해 다른 선수들보다 한 기수 늦게 소집됐던 [[이명주]], [[주세종]]은 동년 8월 19일 [[광양축구전용구장]]에서 열린 [[전남 드래곤즈]]와의 리그 원정 경기로 고별전을 치뤘다. [[파일:아산무궁화 의경 최후의 14인.png|width=1000]] ||<-8> '''[[아산 무궁화|{{{#0a2a3b 아산 무궁화 FC 통산 최종 의무 경찰 전역 선수}}}]]''' || || '''{{{#ffffff 등번호}}}''' || '''{{{#ffffff 국적}}}''' || '''{{{#ffffff 포지션}}}''' || '''{{{#ffffff 한글 성명}}}''' || '''{{{#ffffff 로마자 성명}}}''' || '''{{{#ffffff 생년월일}}}''' || '''{{{#fff 신체 조건}}}''' || '''{{{#fff 비고}}}'''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GK || [[양형모]] || Yang Hyung-Mo || 1991년 7월 16일 || 185cm, 84kg || 1094기 || || 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조범석]] || Cho Bum-Seok || 1990년 1월 9일 || 182cm, 78kg || 1094기 || || 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김도혁]] || Kim Do-Hyuk || 1992년 2월 8일 || 175cm, 68kg || 1094기 || || 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김선민]] || Kim Sun-Min || 1991년 12월 12일 || 168cm, 65kg || 1094기 || || 1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FW || [[고무열]] || Go Moo-Yeol || 1990년 9월 5일 || 187cm, 78kg || 1094기 || || 1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안현범]] || An Hyun-Beom || 1994년 12월 21일 || 178cm, 73kg || 1094기 || || 1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GK || [[최봉진]] || Choi Bong-Jin || 1992년 4월 6일 || 193cm, 90kg || 1094기 || || 1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DF || [[김주원(축구선수)|김준수]][* 전역 직후 '''김주원'''으로 개명했다.] || Kim Joon-Soo || 1991년 7월 29일 || 185cm, 78kg || 1094기 || || 1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주세종]] || Ju Se-Jong || 1990년 10월 30일 || 174cm, 68kg || 1095기 || || 2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임창균(축구선수)|임창균]] || Lim Chang-Kyun || 1990년 4월 19일 || 173cm, 70kg || 1094기 || || 2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DF || [[김동진(1992)|김동진]] || Kim Dong-Jin || 1992년 12월 28일 || 177cm, 74kg || 1094기 || || 2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DF || [[김지운(1990)|김지운]] || Kim Ji-Un || 1990년 7월 2일 || 178cm, 65kg || 1094기 || || 2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MF || [[이명주]] || Lee Myung-Joo || 1990년 4월 24일 || 176cm, 72kg || 1095기[br]'''주장''' || || 3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DF || [[이한샘]] || Lee Han-Saem || 1989년 10월 18일 || 185cm, 80kg || 1094기[br]'''부주장''' || 무궁화체육단은 사라졌지만 웹 사이트는 남아 있어서, [[https://police.ac.kr/police/training/html/intro/soccer/athlete.do?mdex=training12|이곳에서도]] 마지막 의무 경찰 선수단의 명단을 찾아볼 수 있다. === 해체 당시 선수단 === 2019년 8월 마지막 의무 경찰 선수단의 전역 이후에도 아산 무궁화 구단은 하나원큐 K리그2 2019의 잔여 시즌을 치러야 했다. 시즌 중후반과 해체 당시에는 군경 구단임에도 불구하고 군인 신분의 선수 없이 민간인 선수만으로 구성된 스쿼드를 꾸려 경기에 임했다. 최후의 선수단은 2019년 여름 이적시장 종료 시점부터 구단이 해체되는 시기까지의 선수단이다. 해당 선수들 중 [[정다훤]], [[장순혁]], [[주원석]], [[남희철]], [[김민석(1997)|김민석]], [[이기현(축구)|이기현]], [[박재우(1995)|박재우]], [[송환영]], [[박민서(1998)|박민서]], [[박세직(축구선수)|박세직]], [[이재건]]은 아산 무궁화를 실질적으로 계승한 시민 구단인 [[충남 아산 FC]]에 재계약으로 합류했다. [[강원 FC]] 임대 선수 신분으로 아산 무궁화에서 뛰던 김경우는 충남 아산 FC로 완전 이적을 통해 합류했다. 2022년 현재 [[박민서(1998)|박민서]], [[박세직(축구선수)|박세직]]은 여전히 충남 아산에 소속돼 있다. 박세직은 아산 무궁화의 해체 시기와 충남 아산 FC의 창단 시기에 모두 주장을 역임 중이다. === 2019 시즌 선수단 명단 === [include(틀:아산 무궁화 FC/간략)] ---- [include(틀:아산 무궁화 FC)] == [[경찰 축구단/유니폼|유니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찰 축구단/유니폼)] == 비판 == 군경 구단이란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상주 상무]]와 함께 여러모로 안티가 많은 구단. 특히 2부 리그 시민 구단 서포터들과 팬덤 사이로 1부 리그 승격의 장애물로 취급을 받는지라 많은 비판을 받는다. 이들중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측에서는 군경 구단을 아예 해체시키자고 하고, 온건한 측에서는 R리그나 내셔널리그로 보내자는 말을 한다. 한 마디로 말해 둘 다 현실을 도외시 하다시피한 주장이다. '''전자는 자기 구단 선수 죄다 현역으로 군대 보내겠다는 발상이고 후자는 국가대표에 버금가는 선수들을 수준 낮고 경기도 적은 실업리그나 2군 리그로 보내겠다는 발상인데 대체 어느 팀 팬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특히 프로 선수 위주에 때로는 국대를 거치기도 한 쟁쟁한 선수들까지 병역 의무를 해결하기 위해 들어오는 군경 구단이 실업 무대에서 뛸 경우 우승을 거의 독차지하게 될 것은 안 봐도 뻔할 일인데, 내셔널리그로 보내버리자는 건 아무리 그 수가 적다 해도 내셔널리그의 팬층을 명백히 무시하는 태도이다. 군경 구단은 생각 이상으로 순작용이 많다. 가장 큰 장점은 선수 생명을 연장시켜 준다는 것이다. 아마추어라면 모를까 프로에게 2년이라는 기간을 군복무하고 오라는 것은 사실상 은퇴통보와 다를바가 없다. 실제로 안산 무궁화의 감독을 맡고 있는 [[이흥실]] 감독은 인터뷰에서 선수들의 '4주 군사훈련 + 3주 실무교육'을 마치고 온 것만으로도 상상을 초월하는 기량저하로 당혹스러운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고 밝혔으니.. 상황이 이러한데 2년이야 오죽할까. 때문에 상무와 경찰 경쟁률은 국가대표에 버금간다. 군경 구단에서 2년이라는 시간은 재능 있는 선수들이 선수생활을 이어가는데 커다란 공헌을 한다. 상무든 경찰이든 군복무로 인해 선수생명을 유지하고 프로로 돌아와 기량이 만개하는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당장 2016년 K리그 클래식 득점왕에 오른 [[정조국]]을 보자. 과연 안산 무궁화에 입단하지 않았다면 득점왕은 커녕 축구선수를 계속 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역으로 1부, 2부의 좋은 선수들을 입대로 받아서 전력을 유지하는 상무, 경찰청을 [[K리그2]] 팀들이 극복을 못한다고 퇴출시키라면 이들보다 더 쎄다고 볼수있는 [[K리그1]] 팀들은 어떻게 이길려고 하나? 상주 상무는 거의 매년 레알 상무니 뭐니 하는 소리를 듣지만 진짜 잘나간 시즌은 2016 시즌 단 한시즌 밖에 없고 아산 무궁화도 2015시즌이란 역대급 흑역사를 찍은적이 있다. 한편 아이러니하게도 아무런 지역연고 기반도 없어 K리그를 죽인다고 비난당하는 안산 무궁화(및 상주 상무)의 경우 지역연고축구 문화를 죽이기는 커녕 오히려 지역연고축구가 자생하게 만드는 자양분 역할을 하고 있다. 이유인 즉, 프로축구단을 시 차원에서 창단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비용과 노하우가 소요되는데, 축구단을 창단하기전에 군경 구단을 직접 운영해 봄으로써 실수와 예산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축구단을 이끌어야 하는 프런트에게 이보다 좋은 예행연습은 없는 셈이다. 실제로 이러한 예로 경찰 축구단을 유치한 이후 시민 구단으로 전환한 안산시가 좋은 사례이며 군인 팀인 [[김천 상무 FC|상주 상무]] 역시 장기적으로는 상무를 떠나보내고 상주시 자체적으로 시민 구단을 창설할 준비를 차근차근 하고 있다.[* 하지만 상주시는 예산상의 이유를 들어 시민 구단을 창단하지 않았다.] 안산은 2017년 있을 시민 구단을 창단을 하는데 좋은 경험이 되었다고 밝혔으며,[* [[안산시]]는 2000년대 이후 프로스포츠 구단 유치에 적극적인 지자체이다. 안산돔구장으로 [[넥센 히어로즈]]를 유치하려고 하거나, [[문선명|구단주]]의 죽음으로 내일이 불투명했던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를 인수하려고 했다. 결국 이런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게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의 창단. --그러나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한 시대를 풍미한 여자농구팀]]을 놓친 흑역사도 있다.--][* 시민축구단 창단을 앞두고 있는 안산시로서는 노력과 운이 같이 따라줬다. 상기의 프로구단 유치 사례와 함께, [[안산고등학교]] 축구부라는 우수한 팜도 있으며, 거기에 [[현대중공업|모기업]]의 경영악화로 해체된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선수들을 안산시가 잘 낚아채 새롭게 [[안산 그리너스 FC|팀을 창단했다]].] 군경 라이벌 상무도 이미 [[광주 FC]]라는 [[시민 구단]]으로 이어진 선례가 있다. 현재 상무를 운영하고 있는 [[상주시]]도 상무가 떠날 때를 대비해서 프로팀을 창단할 수 있도록 유소년 선수를 육성하고 있는중이니 프로 축구 저변 확대에 적지 않은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경찰 축구단의 마지막 연고지가 된 [[아산시]]도 수많은 진통 끝에 [[충남 아산 FC]]를 만들게 돼 군경 구단으로 인해 창단된 시민 구단은 더 늘었다. 그리고 군경 구단이 시민 구단의 1부 리그 승격을 막는다는 주장도 신빙성이 떨어지는 것이 2015 시즌 경찰 축구단은 말 그대로 죽을 쑤는 승점자판기 신세였다. 게다가 상주 상무 역시 시즌 막판 거하게 삽질을 했지만 다른 시민 구단[* 특히 [[대구 FC]]의 리그 막판 5경기 대삽질이 컸다.] 역시 똑같이 삽질을 해주면서(...) 사실상 [[어부지리]]로 [[상주 상무]]가 1부 리그로 승격했다. 그리고 2016시즌에는 아예 연고 이전으로 안산 무궁화 축구단은 1위를 해도 1부 리그 승격을 할 수 없는 기회가 주어졌는데 승격한 대구와 강원은 몰라도 다른 [[시민 구단]]이 과연 군경 구단 핑계를 댈 자격이 있을지 의문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의무 경찰 폐지 결정은 이미 오래전에 정해졌고 막을 수 없는 시대흐름이었다. 결국 아산 무궁화의 해체 시기가 점점 다가오고 있고 상무는 선수단 규모 대폭 축소 위기에 빠졌다. 상대적으로 챌린지 선수들을 잘받아 주던 경찰 축구단이 해체되고 상무 인원까지 줄어버리면 그렇지 않아도 높은 상무 경쟁률은 더욱 치솟게 될 테고 이 경우 복귀한 해외파나 상위권 기업구단 주전들이 경쟁에서 앞서갈 것 이다. 순위 경쟁에서 밀린다는 이유로 군경 구단을 암적인 존재 취급하는 상당수 서포터즈 및 팬덤에서는 그때가 되면 또 무슨 말을 할 것인지. == 여담 == * 2019년 3월 11일 인터넷 방송인 [[임홍규]]를 명예홍보대사로 위촉시켰다. 홍보대사 문의메일을 보냈을 때, 본인은 축구를 잘하거나 자주 보는 편도 아니라서 해도 될지 깊은 고민에 빠졌었다고 한다. 그러나 깊은 고민 끝에 하겠다고 결정지었고, 홍보대사로 역임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하였다. 그는 이번 기회를 통해 아산 토박이로써 [[아산시]]와 아산 무궁화 프로축구단 홍보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3&aid=0000079742&redirect=false&sportsAdConfig=NO_AD&sportsAdConfigJson=%7B%22uri%22%3A%22%22%2C%22requiredParameter%22%3A%7B%7D%2C%22serviceUnitId%22%3A%22%22%2C%22calpParameter%22%3A%22%22%2C%22sptSection%22%3A%22EMPTY_SECTION%22%7D|기사]] [[https://youtu.be/ODf8IujFB-A|영상]] == 관련 문서 == * [[경찰청 의무경찰]] * [[경찰 야구단]] * [[충남 아산 FC]] == 둘러보기 == ||<-6> '''{{{#01354a 대한민국 경찰청 산하 스포츠단}}}''' {{{#000000 (해체)}}} || ||<-2> '''{{{#ffffff 경찰대학 무궁화체육단}}}''' ||<-3> '''{{{#ffffff 경찰교육원 무궁화체육단}}}''' || '''{{{#ffffff 서울지방경찰청}}}''' || || '''{{{#01354a 아산 무궁화 FC}}}'''[br]{{{#01354a (축구)}}} || 육상 || 유도 || 사격 || 태권도 || [[경찰 야구단|야구]] || [include(틀:K리그2/역대 우승 구단)] [include(틀:K리그2/과거 참가 구단)] [[분류:아산 무궁화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