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SEAN 깃발.svg|height=200]] || ||'''대화와 협력을 통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증진'''|| 아세안지역안보포럼 アセアン地域フォーラム 東盟地區論壇 АХС-ны бүсийн форум आसियान क्षेत्रीय मंच آسیا سیمه ایز فورم ආසියානු කලාපීය සංසදයකි ASEAN Regional Forum(ARF) [목차] == 개요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다자 안보 협의체. == 상세 == 1991년 7월 아세안 확대외무장관회의에서 [[나카야마]] 일본 외무상이 이 회의를 아태지역의 정치 및 안보대화의 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ARF 설립 논의가 처음으로 진행되었다. 그 후 1992년에 아세안 정상회의 합의와 그 다음 년도에 1993년 아세안 확대외무장관회의 합의를 거쳐 1994년 7월 25일에 ARF가 출범하였다. == 역할 == 주로 국제 및 지역 안보정세 및 현안에 대한 논의 및 의견 교환이 이루어진다. 특히 [[한반도]], [[남중국해]], [[미얀마]] 정세 등 지역안보정세 및 테러 등 국제적 이슈를 다루며, 외교 및 안보적으로 민감한 이슈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포럼에서 국가간 역내 신뢰구축조치, 예방외교, ARF의 발전방안 등에 대해 토론한다. == 특징 == 경제적으로 묶여 있는 북미 대륙이나 정치경제적으로 하나인 유럽과 다르게 아시아, 특히 아태 지역은 이러한 다자 외교 및 안보 협의체의 존재가 전무했다. 그러다가 등장한 게 ASEAN이고, 여기서 더 나아가 건설된 게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이다. 상대적으로 타 대륙에 비해 분열되어있는 아시아의 특성상 최초의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다자안보협의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한중일]]의 경제의 규모와 구조가 증대되고 있고, 동남아시아의 경제적 발전이 계속 이루어지는 가운데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의 중요성이 더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남한]]과 [[북한]]이 유일하게 동시 참가하는 안보협의체라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며, [[북핵]] 이슈가 아세안에서도 어느 정도 관심을 얻어가는 중이다. == 구조 == * 외교장관회의 * 고위급관리위원회 * 회기간회의 == 구성 == === 아세안 가입 국가 === [include(틀:ASEAN)] === 대화상대 국가 === * 한국 * 미국 * 일본 * 중국 * 러시아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인도 * EU 의장국 === 기타 국가 === * 파푸아뉴기니 * 몽골 * 북한 * 파키스탄 * 동티모르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관련 문서 == * [[ASEAN]]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군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ASEAN,version=142)] [[분류:동남아시아]][[분류:회담]][[분류:외교]][[분류:199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