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아세틸CoA(Acetyl-CoA)는 [[조효소 A]](CoA,coenzyme A)와 결합한 [[아세틸기]](acetyl-)이다. 에너지원에 관여하는 [[대사경로]](metabolic pathway) 및 [[신경전달물질]]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 그리고 [[효소]] (coenzyme)에 작용하여 효소가 활성을 띠거나 또는 활성을 멈추는 비활성에 관여하는 물질로도 간접적으로 관련있고 따라서 대사과정의 이화작용과 동화작용 모두에서 주요한 기능을 한다고 봐도 된다. == 에너지 원 == 아세틸CoA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의 [[피루브산 탈카복실화]]로 에너지원([[시트르산]])으로 사용되며 [[지방산 대사]]에서 [[베타 산화]]에서도 [[세포질]]에서 에너지원([[피루브산]])으로 전환될수있다. 따라서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모두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이나 [[TCA 사이클]]에 들어갈수있다. == 아세틸콜린 == 분해된 [[콜린]]은 아세틸 CoA(Acetyl-CoA)와 결합하여 [[아세틸콜린]]이 된다. == 발견 == 먼저 195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은 [[한스 아돌프 크렙스]](Hans Adolf Krebs)가 '시트르산회로의 발견'(discovery of the citric acid cycle)으로 그리고 [[프리츠 알버트 리프만]](Fritz Albert Lipmann)이 '조효소 A의 발견과 중간 대사에 대한 중요성'(discovery of co-enzyme A and its importance for intermediary metabolism)에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각각 [[노벨상]]을 받았고[*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53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53/summary/]]][* 노벨재단 ,Fritz Lipmann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53/lipmann/biographical/]]] 이어서 [[콘라드 에밀 블로흐]](Konrad Emil Bloch)와 [[표도르 펠릭스 콘라드 리넨]](Feodor Felix Konrad Lynen)가 '활성화된 아세트산에서 테르펜 및 지방산으로의 경로'(The Pathway from “Activated Acetic Acid” to the Terpenes and Fatty Acids)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The Nobel prize,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64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64/summary/]]][* The Nobel prize, Feodor Lynen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64/lynen/biographical/]]] >Experiments that I carried out with Reichert and Rueff on yeast cells agreed well with such a view. We found that during the "induction time" that introduces the oxidation of acetic acid by "impoverished" yeast (Fig. 2), the respiration intensity and the coenzyme A content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When the oxidation of acetic acid was in full progress, the coenzyme A content of the yeast had reached a high plateau. I combined the two observations in the assumption that sulphur was an essential constituent of coenzyme A and could affect the functions of the coenzyme only as a thiol group. We therefore assumed that yeast cells in this phase must also be rich in acetylated coenzyme A, and would be a suitable starting material for its isolation. We might not have attempted to isolate acetyl- CoA but for the fact that - - - - On the way home, it suddenly occurred to me that Lipmann had mentioned the content of disulfides in his publication on coenzyme A, ------- I was already possessed by the idea that it was a thio ester. I can still remember exactly how this notion came to me. (Feodor Lynen , Nobel Lecture, December 11, 1964 ) >우리는 "빈곤한" 효모에 의해 아세트산의 산화를 도입하는 "유도 시간" 동안 호흡 강도와 코엔자임 A 함량이 서로 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아세트산의 산화가 완전히 진행되었을 때, 효모의 조효소 A 함량은 높은 고원에 도달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단계의 효모 세포가 아세틸화된 조효소 A가 풍부해야 하며 분리를 위한 적절한 출발 물질이 될 것이라고 가정했습니다. 우리는 아세틸-CoA를 분리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내가 이미 그것이 티오 에스테르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아직도 이 개념이 어떻게 나에게 왔는지 정확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 중략 -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리프만(Lipmann)이 코엔자임 A에 대한 연구에서 이황화물의 함량을 언급했으며, - 중략 - >나는 황이 코엔자임 A의 필수 성분이고 티올 그룹으로서만 코엔자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에서 두 가지 관찰을 결합했습니다. 표도르 펠릭스 콘라드 리넨(Feodor Felix Konrad Lynen)는 노벨재단에 게재한 기고문(Nobel Lecture)에서 [[황(원소)|황]](S)이 코엔자임 A의 필수 성분이고 티올기(thiol-, R-S-H)로서만이 코엔자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앞서 노벨상을 수상한 프리츠 알버트 리프만(Fritz Albert Lipmann)의 연구 결과에서 일부 영감을 받았다는 사실을 회고하고 있다. [* Feodor Lynen , Nobel Lecture, December 11, 1964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64/lynen/lecture/]]] == 관련항목 == * [[메티오닌]] [[분류:생화학]][[분류:분자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