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스톰의 철도차량)] [include(틀:Amtrak의 여객용 차량)] ||<-3> [[암트랙|[[파일:암트랙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18567d '''{{{+1 아셀라}}}'''[br]Acela}}}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s1.blogger.com/acela.jpg|width=100%]]}}} || ||<-3> {{{#18567d 외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railpictures.net/7707.1112585760.jpg|width=100%]]}}} || ||<-3> {{{#18567d 운전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0e5b27d6dad6b5593c57178a9c1559fbaa417d3b29ede2f88c880aaf77314c4.jpg|width=100%]]}}} || ||<-3> {{{#18567d 퍼스트 클래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7434898656_0c6e893211_b.jpg|width=100%]]}}} || ||<-3> {{{#18567d 비즈니스 클래스}}} || ||<-3> {{{#fff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특급형 전동차]]/[[고속열차|고속철도차량]]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집중식]] || || '''편성량수''' ||<-2> 8량 1편성 || || '''운행노선''' ||<-2> [[Northeast Corridor|'''{{{+1 {{{#18567D,#57f7a9 Northeast Corridor }}}}}}''']] || || '''도입년도''' ||<-2> 1998년 ~ 2001년 || || '''제작사''' ||<-2> [[알스톰|[[파일:알스톰 로고.svg|width=90&bgcolor=#fff]]]][br][[봄바디어#s-3|[[파일:봉바르디에 로고.svg|width=120&bgcolor=#fff]]]] || || '''소유기관''' ||<-2><|2> [[암트랙|[[파일:암트랙 로고.svg|width=120]]]] || || '''운영기관''' || || '''동력차 번호''' ||<-2> 2000 ~ 2039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21,220㎜ (동력차) / 26,640㎜ || || '''전폭''' ||<-2> 3,180㎜(동력차) / 3,160㎜ || || '''전고''' ||<-2> 4,320㎜(동력차) / 4,230㎜ || || '''열차장''' ||<-2> 202,300㎜ || || '''궤간''' ||<-2> [[표준궤|1,435㎜]] || || '''급전방식''' ||<-2> [[가공전차선]] 방식[br]교류 25,000V 60Hz[* 뉴 헤이븐 - 보스턴 간 새로 전철화된 구간][br]교류 12,500V 60Hz[* Metro-North 공용 구간][br]교류 12,000V 25Hz[* 워싱턴 - 뉴욕 펜 역 구간] || || '''제어방식''' ||<-2> [[알스톰]] [[VVVF]]-[[GTO(반도체)|GTO]] || || '''동력장치''' ||<-2>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발전제동(동력차)[br]전기지령식 디스크 제동(객차) || || '''편성출력''' ||<-2> 4,600㎾ || ||<|2> '''최고속도''' || 영업 || 240㎞/h || || 설계 || 266㎞/h || || '''차량 재질''' ||<-2> 스테인리스 스틸 || || '''차량 정원''' ||<-2> 304석[br](퍼스트 클래스 44석 + 비즈니스 클래스 260석) || || '''편성 구조''' ||<-2> 1호차(동력차)-2,3호차(비즈니스)-4호차(식당차)-5호차(비즈니스)-6호차(비즈니스-Quiet Car)[* 모바일 통화 및 큰소리로 대화할 수 없는 '정숙'해야하는 차다].-7호차(퍼스트 클래스)-8호차(동력차) ||}}}}}}}}} || [목차] [clearfix] == 개요 == [[봄바디어]] - [[알스톰]] 컨소시엄[* 봄바디어 (75%) + 알스톰(25%)]에서 [[아셀라]] 전용으로 제작한 [[고속열차|고속철도 차량]]이다. == 상세 == [[TGV]]를 베이스로 하여 강한 충돌 강성을 요구하는 미국 철도 안전 기준에 맞게 수정한 차량을 사용한다. 미국의 안전기준에 맞추느라 아셀라 익스프레스는 원형이 된 TGV나 봄바디어의 [[https://en.wikipedia.org/wiki/LRC_(train)|LRC]]에 비해서 훨씬 무겁다. 그래서 아셀라 익스프레스 차량을 테스트하던 프랑스와 캐나다의 엔지니어들은 이 차량을 '뚱돼지(Le Cochon/The Pig)'로 불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대차도 [[연접대차]]를 사용하지 않는 등, TGV의 잔재는 동력 계통과 제동장치 일부를 제외하면 별로 없는 편이다. 아직 개량되지 않은 급곡선이 있는 북동 간선을 달리기 위해 TGV에는 없는 [[틸팅열차|틸팅]] 기능도 있다. 총 20편성이 도입되었으며 2000번대의 번호가 각 동력차마다[* 즉, 한 편성당 2개의 번호] 붙어 있다. 한국의 예전 [[관광호]]처럼 퍼스트 클래스와 비즈니스 클래스만 존재한다. [[아셀라 익스프레스]] 입찰 당시의 [[봄바디어]]는 유럽의 군소 철도차량 제조업체 들을 인수하고 있었지만, 아직 가장 큰 ADtrantz (ASEA, 브라운 보베리, AEG 등이 합병)를 인수하지 못했던 시기이다. 자사의 LRC로 틸팅부문의 지분은 있었지만, 동력계통의 핵심부품 납품을 해줄 파트너가 필요했을 것이며, 그게 [[알스톰|GEC-알스톰]]이다. 아셀라 익스프레스의 최종입찰까지 남은 3사 중 하나가 ABB로 합병되기 전의 ASEA였다. 나머지 하나는 지멘스. 이탈리아 [[피아트]]가 가지고 있던 [[펜돌리노]]의 틸팅기술을 빼먹기 위해 알스톰이 피아트 철도부문을 인수한 것이 1999년이지만, 아셀라 익스프레스의 입찰이 시작된 94년 무렵에는 알스톰은 아직 틸팅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현재 펜돌리노로 대표되는 알스톰의 틸팅기술은 아셀라에는 적용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셀라, version=206, paragraph=6.1)] [[분류:미국의 철도차량]][[분류:고속철도 차량]][[분류:1998년 출시]][[분류:2001년 단종]][[분류:틸팅열차]][[분류:전동차]][[분류:TG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