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카드군/원작 한정]] [include(틀:아스트랄 덱 관련 문서)] ||<:><-6>
'''[[아스트랄(유희왕)|{{{#!html 아스트랄}}}]]''' || || '''{{{#!html한국어판 명칭}}}''' ||<-5> '''아스트랄''' || || '''{{{#!html일본어판 명칭}}}''' ||<-5> '''アストラル''' || || '''{{{#!html영어판 명칭}}}''' ||<-5> '''Astral'''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속성|빛]] ||<-2><^|1> [[유희왕/종족|'''전사족'''[br]악마족[br]암석족[br]마법사족]] ||<-2><^|1> 효과 || [목차] == 개요 == [[유희왕 ZEXAL]]의 등장인물 [[아스트랄(유희왕)]]을 모티브로 한 카드 시리즈. OCG에서 효과 텍스트 상에서 이름이 지정된 적은 없으나, 제알 코믹스에서 나온 리추얼 리파인먼트 및 아스트랄 매지션에 의해 "아스트랄" 몬스터가 카드군으로 지정받았던 적이 있다. 이 카드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빛 속성이며, 아스트랄처럼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거나, 그러한 몬스터가 일러스트 상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무지개 크리보]]->[[아스트랄 크리보]], [[희망황 오노마토피아]]+[[희망황 호프]]=[[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등 [[츠쿠모 유마]]의 카드를 오마주한 카드도 몇몇 등장했다. 레벨, 공격력&수비력, 종족같은 경우엔 원본 몬스터의 종족을 따라가기에 따로 통일되는 것은 속성 뿐이다. 특이하게도 이 카드군에 속하는 카드들 중 아스트랄이 직접 사용한 카드는 OCG화 되지 못한 3종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원작 카드는 OCG화 되지 못하고, 같은 테마를 베이스로 한 오리지널 카드들만 OCG에 나왔다는 말이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아스트랄 크리보]] ==== === 레벨 4 === ====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 == 마법 카드 == === [[RUM-아스트랄 포스|RUM-아스트랄 포스]] === == 함정 카드 == === [[아스트랄 베리어]] === == 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몬스터 카드 === {{{#!wiki style="display: table; margin: 0px auto" [[파일:5737779d-s.jpg]]}}} ==== 레벨 3 ==== ===== 아스트랄 나이트 ===== || 한글판 명칭 ||<-4>'''아스트랄 나이트'''(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4>'''アストラル・ナイト'''||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미공개 || 미공개 || 1600 || 미공개 || ||<-5>텍스트 미공개 || [[주바바 나이트]]에 대칭되는 카드. 공개된 스텟만 보면 스탯이 주바바 나이트와 동일하다. 일반 몬스터인지 효과 몬스터인지는 나오지 않았다. 주바바가 효과 몬스터였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효과였을 가능성이 높으나 효과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다. ==== 레벨 4 ==== ===== 아스트랄 골렘 ===== || 한글판 명칭 ||<-4>'''아스트랄 골렘'''(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4>'''アストラル・ゴーレム'''||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미공개]] || 미공개 || 1800 || 미공개 || ||<-5>텍스트 미공개 || [[고고고 골렘]]에 대칭되는 카드. 공개된 스텟만 보면 스탯이 주바바 나이트와 동일하다. 일반 몬스터인지 효과 몬스터인지는 나오지 않았다. 고고고가 효과 몬스터였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효과였을 가능성이 높으나 효과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다. ===== 아스트랄 매지션 ===== || 한글판 명칭 ||<-4>'''아스트랄 매지션'''(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4>'''アストラル・マジシャン'''||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미공개 || 미공개 || 1500 || 미공개 || ||<-5>필드 위에 존재하는 "아스트랄" 몬스터 1장을 선택해서 발동할 수 있다. 엔드 페이즈 시까지,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은 배가 된다. || [[가가가 매지션]]에 대칭되는 카드. 공개된 스텟만 보면 가가가 매지션과 동일하다. 턴 제약이 없어 자신과 아스트랄 나이트의 레벨을 배로 하기도 했다. === 관련 마법 카드 === ==== 리추얼 리파인먼트 ==== || 한글판 명칭 ||'''리추얼 리파인먼트'''|| || 일어판 명칭 ||'''リチュアル・リファインメント'''||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의 "아스트랄" 몬스터 수의 배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 아스트랄 몬스터를 지정했다. 원작에서는 아스트랄 매지션을 소환하고, 필드의 1장x2=2장만큼 특수소환해서 아스트랄 골렘과 나이트를 소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