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무로마치 막부 쇼군]][[분류:1386년 출생]][[분류:1428년 사망]][[분류:종1위]] [include(틀:무로마치 막부/역대 쇼군)] [include(틀:역대 일본 내대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0 0%,#000 30%, #000 70%, #000)" '''{{{#fff [[무로마치 막부|{{{#fff 무로마치 막부 제4대 정이대장군}}}]][br]{{{+1 아시카가 요시모치}}}[br]足利義持}}}'''}}}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시카가 요시모치2.jpg|width=100%]]}}}|| ||<-2> 요시모치의 초상화 || || '''생몰년도''' ||[[1386년]] ~ [[1428년]] || ||<|2> '''재임기간''' ||제4대 쇼군 || ||[[1394년]] ~ 1428년 || || 가족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미츠]] || [목차] [clearfix] == 개요 == [[무로마치 막부]]의 4대 [[쇼군]]. 3대 쇼군이었던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아들이다. == 상세 == 1394년에 9살의 나이로 부친인 [[아시카가 요시미츠]]에게서 쇼군 직을 물려받았으나, [[승려]]로 [[출가]]한 부친은 여전히 [[태정대신]]이란 직함으로 실권을 가지고 있었기에, 요시모치는 요시미츠가 사망한 1408년 이후에야 진정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때문인지 생전에도 아버지와 사이가 좋진 않았는데,[* 실제로 아버지 요시미츠가 명나라 황제에게 칭신하는 등, 온갖 아부끝에 어렵게 성사시킨 감합무역을, ‘자존심도 없냐!’며 폐지하는 등, 정책에 있어서도 아버지와 반대되는 노선을 취했다. 하지만 사실상 후계자인 요시노리가 감합무역을 재개하는 걸 보면, 당대에도 그다지 현명한 정책으로 보이진 않았던 모양.] 이는 급사한 요시미츠의 죽음을 두고 동생을 총애하던 아버지를 미워해 살해한 것 아니냐는 [[음모론]]의 근거로 쓰이기도 했다. 쇼군 재임 기간엔 막부 유력 세력들의 힘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다, 1423년 아들 요시카즈에게 쇼군 위를 물려주고 출가했지만, 1425년 요시카즈가 요절한 탓에[* 요시카즈 외엔 딱히 후손이 없어 대가 끊기게 된다.] 부득이 쇼군직을 다시 대행하게 된다. 그런데 1428년 1월, 엉덩이 종기를 잘못 건드렸다가 요시모치 역시 [[패혈증]] 증세에 시달리게 되면서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자, 수하들은 후임을 물색하게 되는데, 이때 재미있는 일화가 일명 [[제비뽑기]] 쇼군이다. 요시모치는 후임을 자기가 지명하게 되면 막부 세력들간 내부 분열이 발생할까 두려워 후임 지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는데, 이런 완강한 태도에 부딪힌 수뇌들은 요시모치의 동의 아래 여러 명의 쇼군 후보를 정해 신의 뜻을 묻기로 했다. 신의 뜻을 묻는 방법이란 것은 일찍이 출가한 요시모치의 동생 4명을 후보자로 선정한 후, 이와시미즈 하치만 궁의 신전에서 [[제비뽑기]]를 통해 신의 의중을 가늠하는 것. 제비뽑기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요시모치의 사망 전에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사망 직후에 공개되었다. 그리고 2차례의 제비뽑기 --로또-- 결과 2번 모두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승명인 기엔이 뽑히면서 그가 요시모치 사후 차기 쇼군으로 지명된다. [[조선]] [[태종(조선)|태종]]에게 [[코끼리]]를 선물하기도 했다. 실록에는 원의지(源義持)라는 표기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