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매시 레전드/레전드)] ||<-5><#3C4150> [[스매시 레전드|[[파일:smash-legends-mark2.png|width=60]]]]'''[[스매시 레전드|{{{#white 스매시 레전드}}}]]{{{#white 의 34번째}}} [[스매시 레전드/레전드|{{{#white 레전드}}}]]''' || || [[알리(스매시 레전드)|알리]] || → || '''아오이''' || → || [[티문(스매시 레전드)|티문]] || ||<-2>
{{{#ffffff,#dddddd '''{{{+2 아오이}}}'''[br]AO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_UI_Mode_Profile_Face_Aoi.png|height=180]]}}} || ||<-2> {{{#ffffff,#dddddd {{{-1 모두를 속여온 푸른 오니 }}}}}} || || '''소속''' ||<:>--현자회의--[* '현자'라는 역할을 버리고 [[위치 퀸(스매시 레전드)|위치 퀸]]을 따라 움브라에 들어갔다.] 움브라|| || '''역할군''' ||<:>공격수 || || [[파일:스매시체력.png|height=23]]'''HP''' ||<:>4000 || || [[파일:스매시사거리.png|height=23]]'''사거리''' ||<:>긺 || || [[파일:스매시이동속도.png|height=23]]'''이동 속도''' ||<:>느림 || || '''모티브''' ||<:>[[눈물 흘린 붉은도깨비]]의[br] 파랑 오니 || ||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은조(성우)|이은조]][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_UI_Portrait_Huge_Aoi.png]] >'''「오니의 힘, 조금은 알겠느냐?」''' >----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 오니 현자. 오랫동안 오니는 자신의 역할을 지키며 살아왔다. 하지만 그 규칙이 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안 뒤로, 아오이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신념을 관철하기 위해 현자라는 족쇄를 버리고 움브라에 협력해왔다. 원하는 바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 공식 미디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lofBHFP8cU)]}}} || || {{{-1 '''신규 레전드 아오이를 만나보세요!'''}}} || ||<-2> {{{#!folding [ 영어 버전 ▼ ] [youtube(fxHF2nsmTO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오이 웹툰.png|width=100%]]}}} || || {{{+1 [[https://kr.smashlegendslib.com/bed65062-48f6-4a2d-bb1e-43789a66f72e|아오이 스매시툰]]}}} || == 보유 기술 == === 일반 공격 · 무너지는 숲 === || [[파일:T_UI_ControllerPC_Icon_Aoi_A.png|width=60]] || 금쇄봉으로 상대를 올려 친 뒤, 강력하게 휘둘러 피해를 줍니다. 공중에서 사용할 경우, 아래로 휘두르며 피해를 줍니다.[br] '찢기는 땅'에서 생성된 돌을 타격할 수 있으며, 날아가는 돌은 피해를 줍니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almon {{{-2 '''공격 횟수'''}}}}}}[br]'''2회''' ||{{{#salmon {{{-2 '''피해량 (지상)'''}}}}}}[br]'''700''' ||{{{#salmon {{{-2 '''피해량 (공중)'''}}}}}}[br]'''300''' ||{{{#salmon {{{-2 '''돌 피해량'''}}}}}}[br]'''700''' || }}} === 특수 공격 · 찢기는 땅 === || [[파일:T_UI_ControllerPC_Icon_Aoi_B.png|width=60]] || 땅을 강하게 밟아 충격파를 발사하여 피해를 줍니다.[br] 공중에서 사용할 경우, 빠르게 떨어지며 땅을 내려찍어 강한 충격을 주고 피해를 줍니다.[br] 충격파로 인하여 소환된 바위에 피격된 상대는 1.5초 동안 이동과 점프 능력이 50% 감소합니다.[br] 바위는 '무너지는 숲'으로 타격할 수 있는 돌을 생성합니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almon {{{-2 '''재사용 대기시간'''}}}}}}[br]'''5초''' ||{{{#salmon {{{-2 '''피해량'''}}}}}}[br]'''200''' ||{{{#salmon {{{-2 '''지속시간'''}}}}}}[br]'''1.5초''' || }}} === 궁극기 · 흔들리는 산 === || [[파일:T_UI_ControllerPC_Icon_Aoi_S.png|width=60]] || 아오이가 도약한 뒤, 강력하게 내려찍으며 피해를 줍니다.[br] 상대를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면, 넓은 범위의 충격파가 발생하며 피해를 줍니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almon {{{-2 '''충전 속도'''}}}}}}[br]'''매우 느림''' ||{{{#salmon {{{-2 '''피해량'''}}}}}}[br]'''1000''' ||{{{#salmon {{{-2 '''추가 피해량'''}}}}}}[br]'''500''' || }}} == 재능 == === 바위와 같이 === || [[파일:T_UI_Aoi_Ability_01_Common.png|width=60]] || 최대 체력이 12%/13%/14%/15%/16% 증가합니다. || === 군자는 늘 준비되었으니 === || [[파일:T_UI_Aoi_Ability_02_Common.png|width=60]] ||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일 때, 기본 공격의 피해량이 30%/33%/36%/39%/42% 증가합니다. || === 힘은 넘쳐나며 === || [[파일:T_UI_Aoi_Ability_03_Common.png|width=60]] || 궁극기 사용에 필요한 게이지가 16%/17%/18%/19%/20% 감소합니다. || === 몰아치는 파도처럼 === || [[파일:T_UI_Aoi_Ability_04_Common.png|width=60]] || 스킬 쿨다운이 0.6초/0.7초/0.8초/0.9초/1초 감소합니다. || === 모두 두려워하라 === || [[파일:아오이 궁극재능.png|width=60]] || 궁극기의 피해량이 16%/18%/20%/22%/24% 증가합니다.[br] 궁극기 마지막 충격파에 피격된 상대 레전드는 8초 동안 받는 피해가 16%/18%/20%/22%/24% 증가합니다. || == 레벨 별 스탯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2 '''레벨'''}}} ||<|2> {{{-2 '''HP'''}}} |||||| {{{-2 '''일반 공격'''}}} |||| {{{-2 '''특수 공격'''}}} |||| {{{-2 '''궁극기'''}}} || || {{{-2 {{{#fff '''피해량 (지상)'''}}}}}} || {{{-2 {{{#fff '''피해량 (공중)'''}}}}}} || {{{-2 {{{#fff '''돌 피해량'''}}}}}} || {{{-2 {{{#fff '''피해량'''}}}}}} || {{{-2 {{{#fff '''지속시간'''}}}}}} || {{{-2 {{{#fff '''피해량'''}}}}}} || {{{-2 {{{#fff '''추가 피해량'''}}}}}} || || {{{#fff,#000 1}}} || {{{#fff,#000 4000}}} || {{{#fff,#000 700}}} || {{{#fff,#000 300}}} || {{{#fff,#000 700}}} || {{{#fff,#000 200}}} ||<|20> {{{#fff,#000 1.5초}}} || {{{#fff,#000 1000}}} || {{{#fff,#000 500}}} || || {{{#fff,#000 2}}}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3}}}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4}}}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5}}}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6}}}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7}}}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8}}}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9}}}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0}}}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2}}}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3}}}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4}}}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fff,#000 15}}}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fff,#000 1}}} || }}} == 평가 == === 장점 === (수정 바람) === 단점 === (수정 바람) == 레전드 관계 == * '''[[쿠레나이(스매시 레전드)|쿠레나이]]''' >“그래, 이런 날이 올 거라고 생각했지.” 돌봐줘야 하는 동생 같은 존재. 아오이가 운명을 거역하고 움브라에 들어가기로 한 계기. 늘 다시 보고 싶었지만, 지금은 감정을 숨기고 있다. 아직 원하던 바를 이루지 못했으니까. 쿠레나이가 원하는 것과는 반대지만, 자신의 방식이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 '''[[위치 퀸(스매시 레전드)|위치 퀸]]''' >“모두 각오한 일이지 않나. 망설임 없이 나아가라.” 능력과 야망 있는 협력자. 자신은 하지 못한 운명에 거역한다는 결심을 한 점, 그걸 행동에 옮기는 능력을 높게 사고 있다. 위치 퀸에게도 대등한 능력을 가진 이로, 서로 동등한 관계. 서로에게 유일하게 친구처럼 대할 수 있는 존재지만, 여차할 때는 가장 성가실 상대. * '''[[마스터 캣(스매시 레전드)|마스터 캣]]''' >“나는 내 신념을 따른다. 너는 어떻지?” 과거, 현자회의 내에서 라이벌 같았던 관계. 모종의 사건을 계기로 아오이는 마스터 캣이 어떤 일에도 개입하지 않고 관망하는 것을 늘 불쾌해했고, 마스터 캣은 그조차도 무시하며 둘의 관계는 더욱 나빠졌다. 아오이는 마스터 캣이 겁쟁이라고 생각한다. * '''[[라비(스매시 레전드)|라비]]''' >“어디, 배운 것을 잘 행하는지 볼까.” 현재의 라이벌 관계(라고 라비는 생각 중). 실제로는 육체적 힘으로도 능력적 힘으로도 경험 많은 현자인 아오이에게 라비가 아직 상대되진 않는다. 하지만 아오이는 승부가 날 때마다 라비에게 조언을 주곤 한다. 이는 라비의 어머니와 알고 지냈기 때문이기도 하다.[* 라비의 어머니가 현자회의 소속이기 때문.] 일종의 스승. == 여담 == * 아오이는 지금까지 자신의 이야기를 [[두루마리]]에 모두 기록하고 있다. * 가끔씩 아오이와 위치 퀸이 시놉 시티에서 여가를 즐긴다는 소문이 돌곤 한다. * 아오이는 오랫동안 잠적한 채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고 있었다. * 아오이는 늘 쿠레나이가 인간들과 함께 사는 것을 말리고 싶었다. * 아오이의 강력한 힘은 [[오니]]로서의 특징이다. 쿠레나이는 숨기고 살고 있지만. * 아오이는 남들의 일에 관심이 없다. 무뚝뚝해 보이는 건 그래서일 거다. * 원래 아오이는 현자회의 내에서도 손꼽히는 두뇌파였다. [[분류:스매시 레전드/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