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시오구미 쿠로사와 파벌)] ||<-2> {{{#fff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시시오구미 아유카와.png|width=400]]}}} || || {{{#fff '''이름'''}}} || 아유카와 테츠지(鮎川鉄次) || || {{{#fff '''나이'''}}} || 향년 30대 중후반 추정[* 35세인 [[이누이 호타로]]를 존칭 없이 성씨로만 부르는 것으로 보아 이누이와 동기거나 형님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타츠모토 마사유키]]에게는 성씨가 아닌 형님이라고 불렀으니 타츠모토보다는 연하이다.] || || {{{#fff '''이명'''}}} || '''나타의 아유카와''' || || {{{#fff '''생일'''}}} || 불명 || || {{{#fff '''신장'''}}} || 불명 || || {{{#fff '''소속'''}}} || [[시시오구미 쿠로사와 파벌]] || || {{{#fff '''주무기'''}}} || '''[[나대|나타]]'''[br]'''[[나대|{{{#DC143C 카라쿠레나이의 나타}}}]]'''[* 평소에는 잘 안 쓰며, 진심으로 싸울때만 사용한다.] || || {{{#fff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야시로 코이치(ヤシロこーいち)[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얀 || >'''인간 해체쇼다!!'''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s-2400x1350_v-frms_webp_66d92f0c-8695-45c5-8f33-4fa8d195ef77_middle.webp|width=100%]]}}} || ||{{{+5 {{{#fff '''[ruby(鮎川鉄次, ruby=아유카와 테츠지)]'''}}}}}} {{{#fff 나타를 주무기로 하는 쿠로사와파의 중견 조직원.[br]평범한 나타와 불꽃이 튀는 특수한 나타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이도류.[br]전투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근대 검술에도 정통하다.[br]입원중인 [[이부 하야토|{{{#fff 이부}}}]]와 [[아비루 칸타|{{{#fff 아비루}}}]]를 습격해 이부와 격돌한다.[br]이부의 강렬한 펀치에 코가 함몰된다.[br]뒤늦게 도착한 [[타츠모토 마사유키|{{{#fff 타츠모토}}}]]와의 격돌로 점차 산결 상태가 되고, 마지막에는 가슴 속을 찔리며 사망했다.}}} || [[휴먼버그대학교]]에 등장하는 야쿠자 집단 [[시시오구미]](구 카와우치구미) 소속 야쿠자. 시시오구미 내에서도 손꼽히는 무투파라고 하며 나타(鉈)[* 일본과 한국 제주지방의 농기구인 '나대'로 보면 되는데, 키리노의 경우는 손작두로 옮기는 것이 알기 쉬울 것 같아 손작두로 옮겼는데, 아유카와의 경우는 작중에서 묘사되는 형태를 보면 사실상 긴 마체테와 흡사하다. 그래서 그냥 고유명사 '나타'로 그대로 옮긴다. '카람빗','도스'와 같이 다른 말로 옮길 수 없는 것과 같다.]를 능숙하게 사용한다. 진심으로 싸울 땐 빨간색 나타[* 원문에서는 카라쿠레나이(唐紅. 당나라에서 전래된 색상이라는 뜻)의 나타라고 표현한다. 진분홍과 빨간색의 중간 색상이다.]를 들고 2도류로 싸우는데 빨간색 나타는 금속과 충돌하면 스파크를 일으켜 상대에게 불을 붙이는 특수한 나타이다. 아유카와는 이 나타로 쿄고쿠구미의 타카사고도 고전시킨 바 있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2022년 9월 14일에 카마타구미를 말살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 이후 이부에게 싸움을 걸었는데, 아유카와는 스피드로, 이부는 힘으로 밀어붙였지만 도중 아유카와가 오늘은 인사삼아 가볍게 해줬을 뿐, 양 파벌의 분위기상 전면 전쟁은 피할 수 없으니 전면 전쟁때 제대로 붙어보자는 말과 함께 떠났다. 그리고 아유카와의 말대로 마유즈미 파벌의 NO.3 오오무라가 쿠로사와파가 보낸 히트맨에게 살해당하면서 전면전쟁의 분위기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2023년 2월 11일 [[쿠가 코테츠]]의 영상에 등장해서 [[타카사고 아키오]]와 격돌한다. 아유카와는 '여기서 손을 떼면 살려주겠으나, 남의 집안 사정에 함부로 모가지를 들이민다면 전부 죽여버리겠다'고 하자, 타카사고는 '라이징의 잔당과 손을 잡은 너희들을 신용할 수 없다'고 응수한다. 아유카와는 양손에 나타를 들고 타카사고와 대결하여 무난하게 그를 패퇴시킬 정도의 전투력을 보여준다. 이누카이가 난입하여 타카사고를 구해내지 않았더라면 타카사고는 목숨을 잃었을 것이다. 2023년 2월 18일 쿠가 코테츠의 영상에 등장하여 [[미츠야마 유우스케]]와 함께 이누카이를 습격하나, 이누카이의 괴력에 미츠야마와 사제 셋을 잃고, 아유카와는 대각선베기로 이누카이에게 큰 대미지를 입혔음에도 프론트킥을 제대로 얻어맞아 중상을 입는다. 2023년 4월 24일 의사에게 뇌물을 주고 결탁해 [[이부 하야토]]와 [[아비루 칸타]]가 입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병실을 지키던 경호원 2명을 4년차 사제 [[츠카다]]와 함께 척살하고 침입에 성공한다. 하지만 이부는 침대 아래에 철봉을 두고 있었기에 등에 입은 검상이 도로 벌어지는 걸 알면서도 아유카와와 대적한다. 아유카와는 바로 [[이부 하야토|이부]]랑 호각으로 싸우지만 이부가 상처 때문에 한순간 느려지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바로 치명상을 입히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이부가 다시 돌진하여 아유카와의 안면에 자신의 피를 뱉어 시야를 뺏고 그대로 펀치를 날려버린다. 그 와중에 [[츠카다]]는 [[아비루 칸타|아비루]]를 노렸고 아비루를 지키기 위해 이부가 [[츠카다]]를 척살하였으나 그 순간 아유카와가 이부를 또 베어버려 점점 전황은 이부에게 불리해져만 간다. 그럼에도 의지로 버티던 이부 앞에 [[타츠모토 마사유키]]가 등장해 아유카와는 타츠모토와 격돌하게 된다. 타츠모토가 이부와의 협공으로 아유카와한테 총상을 입히고 특유의 파워로 밀어붙이자, 아유카와는 치명상이 쌓이면서 움직이 둔해지기 시작하고 설상가상으로 체력까지 바닥나면서 타츠모토에게 빈틈을 허용하고 그 틈을 놓치지 않은 타츠모토는 특유의 쇄도로 그에게 접근하는데 성공하고.. === 최후 === [[파일:Screenshot_20230611_013234_YouTube.jpg]] >타츠모토: 끝이다아아아아아!! 이 망할 외도가아아아아아!! >아유카와: 끄아아아아아아악!! 아유카와는 그대로 공격을 허용하고 결국 타츠모토의 도스에 가슴을 깊게 찔리며 쓰러졌다. [[파일:Screenshot_20230625_175835_YouTube.jpg]] >타츠모토: 인의를 잊은 바보녀석. 지옥에서 다시 배워와라. >아유카와: 역시 대단하시군요~ 타츠모토 형님. 이런 행복한 패배라면 후회하지 않아... 좋은... 인생이었어... 그렇게 아유카와는 최후를 맞이한다. 하지만 뒤이어 쿠로사와파와 손을 잡은 [[라이징(휴먼버그대학교)|라이징]] 잔당의 두목 [[시노노메 류세이]]가 참전해 아비루, 이부, 타츠모토 전부 위기가 오고 만다. == 전투력 == [[파일:아유카와 전투력.jpg]]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30928_005455_YouTube.jpg|width=100%]] [[파일:Screenshot_20230928_005743_YouTube.jpg|width=100%]]}}} || ||<-2> {{{#fff '''[[타카사고 아키오|{{{#fff 타카사고}}}]]를 압도하는 아유카와''' }}} || 아유카와는 나타를 주무기로 다루는 캐릭터답게 민첩캐에 가깝고, 쿠로사와파에서도 [[이누이 호타로]], [[쿠루스 미츠나리]]와 함께 3대 전력이었다. 만약 [[타츠모토 마사유키]]에게 죽지 않고 내부항쟁이 끝날때까지 생존했다면 통합 시시오구미에서도 주요 무투파로 활동했을 것이다. 접점이 없는 야쿠자 조직인 [[아모우구미]] 쪽에서도 아유카와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그리 많지는 않으며 적어도 [[나가세 코이치]], [[나구모 쿄헤이]], [[카즈키 시온]], [[코토게 카부토]] 정도는 아유카와가 우위를 점한다. [[쿠도 키요시]]나 [[노다 하지메]]와는 근소하게 열위이지만 어느 정도 합을 겨룰 정도는 되며 [[스나가 히사야]]나 [[아오야마 루키]]와 비교하면 확실하게 열위인데다가 이들보다도 강한 전력인 [[와나카 소이치로]]나 [[코바야시 유키사다]]는 당연히 압도적으로 열위다. [[쿄고쿠구미]]에서도 [[타카사고 아키오]]와 대결을 겨루면서 그를 압도한 바가 있으니 [[코쿠쇼 히데아키]], [[사이온지 켄고]], [[루크 쿠로바네]], [[니카이도 쇼헤이]], [[이누카이 요시로]] 정도의 조직원들은 확실하게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콘도 신페이타]], [[사가라 소세이]], [[우미세 쇼고]]와는 대등하게 겨룰 정도는 될 것이다. 아유카와보다 확실하게 강하다고 할 수 있는 인물이라면 [[무구루마 켄신]], [[이치죠 코메이]], [[모리와카 토시로]], [[센고쿠 카오루]] 정도 밖에 없다. 한구레 쪽에서도 아유카와가 꽤 선전할만한데 우선 [[라이징(휴먼버그대학교)|라이징]]은 [[죠가사키 켄시]], 각성 후의 [[아키모토 시로]], [[코미나토 케이이치]] 외에는 모두 아유카와가 해볼만한 상대들이다. [[시노노메 류세이]]는 죠가사키 사후 라이징을 재건하는 동시에 일취월장한 전투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아유카와가 좀 더 강하며 [[시타라 노리아키]]나 [[타카죠 렌타로]]와도 대등하게 겨룰 만하다. [[카미하라 타쿠]]나 [[마미야 쿄헤이]]는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한다. [[카이엔(휴먼버그대학교)|카이엔]]에서도 [[아가츠마 쿄야]]나 [[아소 세나]]에게는 크게 밀리지만 [[히다 코테츠로]]와는 비슷하거나 근소열위로 보일 듯하다. 대신 [[카미도 신이치]], [[유우마 다이스케]], [[카쿠나카 마사키]], [[사카키바라 아마네]]는 모두 아유카와가 우위다. === 힘 === 나타를 기반으로 한 파괴력은 준수하나, 맷집은 좋지 않다. 타츠모토와 비교해서 많이 밀리는 수준이다. === 민첩성 === '''부각된 능력치'''로, 이도류를 능숙하게 다루며 타카사고를 압도했다. === 지능 === 중견급 간부인 만큼 최소한의 두뇌는 갖추고 있을 것이며, 도구 사용이나 지휘에 능한 편. === 전적 === ||
'''상대''' || '''결과''' || '''비고''' || ||{{{-1 카마타구미 }}} || {{{-1 승 }}} || {{{ 카마타구미 궤멸 }}} || ||{{{-1 [[이부 하야토]] }}} || {{{-1 무 }}} || {{{ }}} || ||{{{-1 [[타카사고 아키오]] }}} || {{{-1 승 }}} || {{{타카사고 중상,본인 부상,이누카이의 도주로 싸움 중단.}}} || ||{{{-1 [[이누카이 요시로]] }}} || {{{-1 무 }}} || {{{ 미츠야마와 협공,미츠야마 사망,본인과 이누카이 중상 }}} || ||{{{-1 [[타츠모토 마사유키]],[[이부 하야토]] }}} || {{{-1 패 }}} || {{{ 츠카타와 협공,본인 사망,츠카타 생사불명 }}} || ||<-4> '''5전 2승 1패 2무 승률 약 60%'''[* 승률은 패는 0%, 무는 50%, 승은 100%로 측정하여 구한 평균값.] || 전투 라이벌은 [[이부 하야토]]다.[* 전적은 1무 1패이다.] == 주변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시오구미)] == 여담 == ||[[파일:아유카와 수염.jpg|width=200]]|| * 첫 등장한 영상에서 이부에게 충고를 하는 장면에서 갑자기 턱수염이 생겼던 적이 있다. * 외모가 [[이누카이 요시로]]와 꽤 닮은 편인데, 두 사람 모두 포니테일 머리에 까무잡잡한 피부가 특징이다.[* 물론 이누카이 쪽이 피부색은 더 어둡고, 이누카이는 흑발이지만 아유카와는 청록색에 가까운 녹발이다.] 실제로 이누카이와 대결을 펼친 적도 있다. 다만 전투 스타일은 차이가 좀 있는데 이누카이는 힘캐고 아유카와는 민첩캐다. * [[사기누마 테츠지]]와는 이름이 같다. 다만 둘이 쓰는 한자는 다르다. * 만약 내부항쟁에서 죽지 않고 생존했다면 내부항쟁이 끝난 후 [[마유즈미 토시유키]]에게 용서받고 [[이누이 호타로]], [[이부 하야토]], [[이노우에 츠무기]], [[쿠루스 미츠나리]]와 함께 통합 시시오구미의 주요 전력을 담당했을 것이다. * 시시오구미 내에서도 [[야기라 카즈미츠]] 같은 베테랑을 제외하면 꽤 고참일듯 하다. 35세인 [[이누이 호타로]]를 존칭 없이 성씨로만 부른 것으로 보아 그와는 나이가 동년배거나 아유카와 쪽이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보이고 [[타츠모토 마사유키]]를 형님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대략 [[아모우구미]]의 [[토가시 소지]]와 비슷한 연배로 보인다. [[분류:휴먼버그대학교/등장인물/시시오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