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www.aidatoy.co.kr/footer_logo.gif]] || || 정식명칭 || 아이다 || || 영문명칭 || AIDA || || 설립년도 || [[1987년]] || || 업종명 || 완구 || || 상장유무 ||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 개인사업자 || || 사업자등록번호 || 130-20-62872 || || 소재지 ||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하성로 252 || || 홈페이지 || [[http://www.aidatoy.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1987년에 설립된 완구회사이다. 주력은 [[장난감 기차]]인데, 특히 올드 제품중 유명한 것은 일본의 구형 [[신칸센]]을 재현했던 모델이다. 자세한 사정은 모르겠으나 아이다가 지금도 일본 토이코의 OEM 업무를 맡는걸 본다면 1980~1990년대에 팔렸던 구형 신칸센 모델도 일본 OEM 제품을 국내에 내놓은것일수도 있다. 그리고 2016년쯤부터 JR시리즈라는 이름으로 신칸센 모델을 다시 내놓기 시작했다. 그리고 [[113계 전동차]] 역시 '쇼난'이라는 이름으로 내놓아 인기를 꽤 끌었으나 [[http://m.aidatoy.co.kr/board/?db=basic_1&no=812&mari_mode=view%40view&cate=&page=1&search=&search_str=&temp=|단종되었다.]] 2000년대부터는 자체적인 개발을 해서 한국의 기차를 재현하기 시작했다. KTX, KTX 산천, ITX 새마을, 새마을호, 경부고속열차, 새마을호 한국판 등등 여러가지를 개발하고 있으며 아직 무궁화호, KTX 이음, ITX-마음, 누리로, ITX-청춘, 각종 관광열차와 고전 열차들은 출시되지 않았다. 물론 꽤 다양한 기차와 전철을 만들고 있지만 날이 갈수록 고증을 너무 뒤로 하는 경향이 있다. 아래 실제성 반영 오류 문단 참조. 다만 일반열차는 빈약하지만 지하철 시리즈를 새로 런칭해 서울 지하철 1~9호선을 판매하고 있다.[* 경춘선과 수인분당선, 서해선 등의 광역 철도와 관련된 문의나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수인분당선을 내놓는다면 어떤 열차로 내놓을건지]]에 대한 [[http://m.aidatoy.co.kr/board/?db=basic_1&no=807&mari_mode=view%40view&cate=&page=1&search=&search_str=&temp=|문의]]도 보인다. 해당 문의들의 답변들을 요약하면 '''"웬만하면 계획중이나 현재는 회사 사정상 어렵다"''' 이다.] 사실 이 지하철 시리즈가 나오기 전에 1,2,5호선이 고속열차 시리즈에 있었다. 이외에도 컬러레일과 미니기차 시리즈[[http://cafe.daum.net/kicha/2U7P/691|#]], 슈퍼(빅사이즈)열차 시리즈도 있었으나 인기가 별로 없었는지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참고로 국내와 중국에 공장이 있는데 두 공장에서 생산하는 레일의 간격이 달라서 완벽하게 호환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레일이 필요하면 한 종류만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기차완구 전문회사라 기차만 생산할것 같지만, 도로, 미니카[* 종류는 [[마티즈]], [[아반떼]], [[기아 엘란|엘란]], 5시리즈 경찰차와 소방순찰차, [[스타렉스]], 트럭(대우 차세대트럭을 베이스로 한것으로 추정)이 있다. 버스도 있었으나 갑자기 사라졌다. 옛날에는 구급차, 운전학원 차등도 있어서 종류가 더 다양했다. 그리고 트럭시리즈중 소방 사다리차와 캐리어카 제품에는 비작동 미니카도 들어있다.]와 트럭 시리즈도 생산하고 있다. 미니카도 고증은 잘된편이다. 자동차 시리즈도 트럭 미니카(1:72 스케일이다.[[https://blog.naver.com/kyu2733/120110632098|#]]), 버스시리즈, 각종 RC카 등이 나왔었으나 현재는 전부 단종되어 생산하고있지 않다. 아이다는 현재 기차완구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원래는 RC카를 처음 생산 판매했었다. [[철도 모형]] 정도의 [[퀄리티]]를 원하는 이에겐 만족스럽지 못한 완구 영역일수 있으나, 35년의 역사를 가지고 완구 분야에서 한국의 기차를 다룬다는 점은 장인적인 행보라고 볼수있다. === 생산 제품 === ==== 지하철 ====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7차분 (2005~2006)|1호선]]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1차분 (2005)|2호선]]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1차분 (2009~2010)|3호선]]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3차분 (1999)|4호선]]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1차분 (1994~1995)|5호선]]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1차분 (1999~2000)|6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1차분 (1995~1996)|7호선]]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1차분 (1995~1996)|8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9호선]] ==== 기차 ==== * [[ITX-새마을/차량|ITE 새마을열차]] * [[새마을열차]] * [[KTX(차량)|KTE-중국]] * [[KTX(차량)|KTE-한국]] * [[KTX-산천#140000호대(KTX-산천(원강선))|KTE 산천호]] * [[새마을호#장대형 새마을호|새마을-중국]] * [[새마을호#장대형 새마을호|원격 새마을]] * [[KTX-산천|원격 TGV]][* 프랑스 TGV 고속열차보다는 KTX-산천에 더 가깝다.] * --[[KTX(차량)|R/C 긴급]]--[*실존X 실존하지 않는 차량. 실제 모델이 있더라도 원형을 알아보기 힘들거나 특정하기 어려운 차량도 포함.][* 한국산 KTX에다 병원 객차스러운 도색을 했다.] * TRS 고속열차[*실존X] * [[HSR-350X|경부고속열차]][*실존X] * [[새마을호|새마을고속열차]][*실존X] * [[자기부상열차|자기부상고속열차]][*실존X] * [[은하철도 999|은하 검정]][*실존X] * [[신칸센|JR-SAKURA]] * [[신칸센 N700S계 전동차|JR-N700]] * [[신칸센 E5·H5계 전동차|JR-하야부사(횡단TRS)]] * [[신칸센 E6계 전동차|JR-KR]][*실존X] * [[화차(철도)#평판차|JR-기간차]][*실존X][* 나무를 싣고있는 평판차와 그것을 끄는 JR 소속 증기기관차.] * --[[113계 전동차|쇼난]]-- === 실제 차럄과의 반영 오류 === * 아이다의 지하철 차량은 한 면당 '''3도어(...)''', 총 6개이다. 실제 차량은 4도어, 총 8개이다. * [[파일:코레일311083.jpg|width=500]] * [[파일:1000011523.jpg|width=500]]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7~11차분으로 추정되는 1호선 제품에 이상한 선이 파여있다.[* 제품의 손톱자국같은 것은 단순히 오랫동안 굴리다가 찍힌 것이고 새 제품에는 없다. 또한 자석도색의 색이 연한 것은 단순 일시적인 공정 상 실수.] * 지하철 차량들의 내부 운전실이 그려져 있지 않다. * [[파일:1000010790.jpg|width=500]] * [[파일:20240221_175434.jpg|width=500]] 코레일 [[자석도색]]이 문 뿐만 아니라 창문 사이에도 그려져있다. 1, 4호선 제품이 해당한다. * 차량 측면 주름이 없는 것은 7, 8, 9호선의 차량을 제외하면 오류이다. * 대부분의 지하철 시리즈의 모든 창문이 통유리다. 4호선 차량을 비롯한 차량은 창문 전체 또는 노약자석 위치 창문이 개폐되어야 한다. * 지하철 시리즈 창문이 전부 2분할 정사각형 유리다. 4, 5, 6, 7, 8호선 차량을 제외하면 가로로 길쭉한 통으로 된 창문이여야 한다. * 2호선 제품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으로 보이는데, 굵은 도색만 있고 그 굵은 도색이 회색이 아닌 연두색이다. * [[파일:S3005.jpg|width=500]] * [[파일:1000011520.jpg|width=500]] 3호선 제품의 모델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인데 전두부 도색의 주황색 도색이 다르다. * [[파일:Screenshot_20240221_184845_Gallery.jpg|width=500]] * [[파일:1000011521.jpg|width=500]] 4호선 제품의 출입문 창문이 1호선과 수인분당선의 2세대 차량(동글이)처럼 창문이 정사각형이 아닌, 가로로 기다란 직사각형이다[* 역이용해서 도색을 1호선용 자석도색으로 변경하면 1호선 2세대 차량이 된다.][* 여담으로 파일에 행선지 표시가 붙어있는데, [[진접역|진접행]]인데, 역시 오류다.(...) 코레일 차량은 계약 상 진접선에 진입하지 않기 때문. 또한 차량기지가 2026년 완공되어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3차분 (1999)|해당 차량]]은 2024년 말 퇴역하므로 진접선에 들어갈 수 없다. 또한 제품의 전두부 자석도색의 남색 부분 도색이 연한 것은 공정 상 문제이다.]. 해당 차량은 출입문 창문의 형상으로 철도 동호인들의 은어인 '동글이(의 전두부)'와 '납작이(의 측면)'를 합쳐 '[[동작이]]'라고 불린다. * [[파일:attachment/800px-SeoulMetro9_Train_9502.jpg|width=500]] * [[파일:Screenshot_20240221_215421_Google.jpg|width=500]] 9호선은 1~8호선에 비해 약간 작아야 하고 측면이 굽어있어야 정상이나 재현되어있지 않다. 또한 실차와는 달리 전두부의 빨간색 부분이 없다. * 지하철 시리즈 창문 디자인이 모두 같다[* 뱀눈이와 2,3,9호선이 창문이 개폐형 창문 2개이다.]. * KTX의 창문이 모두 7개이고 출입문이 칸당 모두 4개이다. 일부 칸은 창문이 5개, 6개이기도 하며 출입문이 칸당 2개인 칸도 있다. * [[파일:IMG_3398.jpg|width=500]] * [[파일:b3eb990759d56e3e9953304fa62b6c8b.jpg|width=500]] ITX 새마을이 단순히 새마을호에 ITX 도색을 입혔다. 실제 ITX 새마을은 일반 새마을호와는 형체가 다르다. * [[파일:G7.png|width=500]] * [[파일:1000011528.gif|width=500]] [[HSR-350X]]를 기반으로 한 경부고속열차 제품의 전면부, 측면이 모두 실제와 다르다. * [[파일:1000011999.gif|width=500]] "새마을" 제품은 실제 모델들을[* 전면 창문은 [[신칸센 300계 전동차|신칸센 300계]], 도색 형태는 [[신칸센 0계 전동차|0계]], 옆면 창문은 무궁화호 객차와 유사하다.] 마구 뒤섞어놓은 오리지널 차량이다. * [[파일:2face0bd80af30b802086ce4552c8bbc.jpg|width=500]] "JR-KR" 제품 역시 실제 모델이 없는 단순 지하철 객차[* 굳이 중간차 도색 모양이 비슷한 현실 전철을 꼽자면 경춘선의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정도. 이마저도 경춘선 도색은 파란색이고 JR-KR 제품 도색은 빨간색이다.]에 신칸센 E6계 기반 고속열차 제품 모델링과 도색을 수정한 동차를 붙인 차량이다. [[분류:장난감 회사]][[분류:1987년 기업]]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이다, version=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