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일랜드의 전체 경주 목록은 [[경마/국가별 경기 목록]] 문서 참조. ||<-3> [[브리더스컵|[[파일:브리더스컵_챌린지.png|width=20]]]] '''{{{#fff 브리더스컵 터프 챌린지 [br]}}}''' || ||<-2> '''{{{#fff Irish Champion Stake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5p82sDXwAAZc1a.jpg|width=100%]][br]'''[[2023년]] 우승마 [[오귀스트 로댕(말)|오귀스트 로댕]]'''}}} || || {{{#ffffff '''개최국'''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아일랜드 || || {{{#ffffff '''창설일''' }}} ||[[1976년]] [[9월 25일]] || || {{{#ffffff '''경마장''' }}} ||레퍼즈타운 경마장[* 1984~1990년 기간은 피닉스 파크 경마장에서 개최되었으나, 피닉스 파크 경마장이 문을 닫은 이후 다시 레퍼즈타운 경마장으로 개최 장소가 이전되었다.] || || {{{#ffffff '''거리''' }}} ||잔디 1마일 2펄롱 (약 2012m) 좌회전 || || {{{#ffffff '''등급''' }}} ||G1 || || {{{#ffffff '''출주 조건''' }}} ||[[서러브레드]] 3세 이상 || || {{{#ffffff '''부담중량''' }}} ||정량 (3세 9st 1lb(약 57.6kg), 4세 이상 9st 7lb(약 60.33kg), 암말 3lb(약 1.36kg) 감소 || || {{{#ffffff '''상금''' }}} ||<-2>1착 580,000 유로, 총상금 1,000,000 유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6년부터 매년 아일랜드 레퍼즈타운 경마장에서 개최되는 G1 경주로, 영국의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프랑스의 [[개선문상]]과 같이 아일랜드에서 내세울 수 있는 제일 격이 높은 G1 경주라고 할 수 있다. == 역사 == 1976년 아일랜드의 정치인 조셉 맥그래스를 기리기 위해 조 맥그래스 메모리얼 스테이크스라는 이름으로 레퍼즈타운 경마장에서 개최되었으나, 1984년 피닉스 파크로 개최 장소가 옮겨가면서 이름도 피닉스 챔피언 스테이크스로 바뀌었다. 현재의 모습은 1990년 말 피닉스 파크 경마장이 재정난으로 문을 닫은 이후 1991년부터 다시 레퍼즈타운 경마장으로 돌아오면서 갖추게 된다. == 주요 특징 == 유럽의 경마 시즌을 마무리하는 10월 [[개선문상]] 주간 / [[브리티시 챔피언스 데이]] 직전의 마지막 대형 G1 경기 중 하나로 수많은 명마들이 스텝 레이스로 삼는 경주이다. 이름값에 걸맞게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5마리의 개선문 우승마와 6마리의 챔피언 스테이크스 우승마를 배출했으며,[* 같은 연도에 승리한 경우만 포함하며, 연도에 상관 없이 계산하거나 승리 없이 거쳐간 경우도 포함할 경우 조건에 들어맞는 말들은 더욱 늘어난다.] 그 외에도 6마리의 [[브리더스컵]] 터프 우승마, 1마리의 [[재팬 컵]] 우승마 등 비단 유럽이 아니더라도 하반기 경마에서 광범위하게 활약하는 말들이 거쳐간다. 특히 2016년은 참가자 12마리 중 8마리가 G1마인 초호화 라인업으로 진행되어, 이후 이들이 해당 년도의 개선문상, 챔피언 스테이크스, 브리더스컵 터프를 전부 쓸어담는 엄청난 활약을 보였다. 2009년부터 브리더스컵 터프 챌린지로 지정되어 우승마는 해당 경주의 우선 출주권을 얻는다. === 코스 === [[파일:id11leopardstown-22.png]] == 역대 우승마 == [include(틀: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 기록 === * 경주 기록 - 2:00:92 (2012년 우승마 [[스노우 페어리]]) * 최다 우승 - 2승 [[딜런 토머스(말)|딜런 토머스]] (2006년·2007년), [[매지컬(말)|매지컬]] (2019년·2020년) * 최다 우승 기수 - 마이클 키네인 7승 (1989년 캐럴 하우스, 1994년 세잔, 1997년 [[피우수트스키]], 2000년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3년 [[하이 채퍼럴]], 2004년 아자무르, 2009년 [[시 더 스타즈]]) * 최다 우승 조교사 - [[에이단 오브라이언]] 12승 (2000년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3년 [[하이 채퍼럴]], 2005년 오라토리오, 2006년 · 2007년 [[딜런 토머스(말)|딜런 토머스]], 2010년 케이프 블랑코, 2011년 [[소 유 싱크]], 2019년 · 2020년 [[매지컬(말)|매지컬]], 2021년 [[세인트마크스 바실리카]], 2022년 [[룩셈부르크(말)|룩셈부르크]], 2023년 [[오귀스트 로댕(말)|오귀스트 로댕]]) === 국가별 우승 횟수 === * 출생국이 아닌 조교국 기준이다. || '''순위''' || '''국가''' || '''횟수''' || || 1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아일랜드 || 26회 || || 2위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15회 || || 3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5회 || || 4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아랍에미리트 || 2회 || == 기타 == [[분류:1976년 설립]][[분류:아일랜드의 스포츠]][[분류:경마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