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래디언트)] ||||<:> '''아이마켓코리아''' [br] '''IMarketKorea Inc.''' || ||||<:>[[파일:아이마켓코리아로고.png|width=350]]|| || '''정식명칭''' ||<(> 주식회사 아이마켓코리아 || || '''영문명칭''' ||<(> iMarketKorea Inc. || || '''설립일''' ||<(> [[2000년]] [[12월 8일]] || || '''대표이사''' ||<(> 남인봉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규모''' ||<(> [[중견기업]] || || '''업종''' ||<(> 상품 종합 도매업 || || '''매출액''' ||<(> 3조 5,881억 7,469만 ^^[2022.12.IFRS 연결 기준]^^ || || '''직원수''' ||<(> 426명 ^^[2023년 6월]^^ ||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 '''상장 시장''' ||<(> [[KOSPI]]([[2010년]] ~)^^[종목코드:12290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2, 16층 (삼성동, 삼성동빌딩) {{{#!wiki style="margin: 10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시 강남구 삼성로 512 너비=50%, 높이=50%)]}}} || ||<:>'''링크'''||<(> [[http://www.imarketkorea.com|[[파일:IMK아이콘.png|width=20]] ^^,,홈페이지,,^^]][br][[https://www.youtube.com/@OFFICIAL-en8m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아이마켓코리아 Official | ,,^^]][[https://www.youtube.com/@imk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아이마켓코리아 MRO,,^^]]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래디언트]] 계열사로 각 기업의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B2B 구매서비스 전문 기업이다. MRO 사업을 기반으로 IT, 건자재 등 다양한 전문 유통 사업과 헬스케어 분야로 진출하면서 산업 전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상세 == ||<:> [[파일:아이마켓코리아 로고.png|width=220]] || [[파일:H98H7UUr.jpg|width=220]] || || 삼성그룹 시절(2000~2011) || 인터파크그룹 시절(2011~2022) || === 역사 === 아이마켓코리아는 [[삼성그룹]]의 MRO 조달을 위해 설립된 회사이다.[* 대한민국 정부로 치면 조달청과 비슷한 느낌의 기업이다.] 이재용 회장이 설립한 회사[* e삼성] 중 하나였으며, 설립할 때 잡음이 있었다. [[2010년]] [[코스피]] 시장에 [[기업공개]]를 하면서부터 문제가 커졌다. "[[삼성그룹]]이 이 회사에 물량을 몰아줘서 [[빨대]] 꽃으려는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을 물려받기 쉽게 하려는 시도다." 등 여러 부정적인 여론이 있었다. 이 당시 일감 몰아주기 논란으로 인해 여론에 밀려 여러 대기업들이 MRO 계열사를 매각하는 추세였고, [[삼성그룹]]도 아이마켓코리아를 [[인터파크홀딩스]]에 [[2011년]] [[12월]], 울며 겨자먹기로 매각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5년간 삼성그룹의 물자를 계속해서 인터파크-아이마켓코리아에서 조달한다는 조건 하에 [[삼성그룹]]에서 계열 분리 되었다. [[인터파크]]그룹으로 매각된 이후 [[인터파크]](구 인터파크INT)와 더불어 [[인터파크홀딩스]]의 대부분의 실적은 [[아이마켓코리아]]에서 발생했다. 인터파크 입장에서 B2C를 전담하는 인터파크에 비해 B2B인 [[아이마켓코리아]]가 훨씬 더 돈이 되었다고 한다. 2022년 5월 [[인터파크홀딩스]](현 그래디언트)가 핵심 사업부인 커머스, 여행, 엔터 부문을 물적 분할해 [[야놀자]]에 지분 70%를 매각하면서, [[아이마켓코리아]]는 [[인터파크]]와도 별개의 회사가 되었다. 인터파크홀딩스가 야놀자에게 지분을 매각하면서 인터파크 상호명도 함께 판매했기 때문이다. 현재 아이마켓코리아는 그래디언트(구 [[인터파크홀딩스]])의 계열사이다. === 업계 내 위치 === 2022년 12월 기준 MRO 업계 내 2위를 지키고 있다. 1위는 구 LG 계열인 서브원으로 2022년 연매출액 5조 4천억원, 3위는 포스코 계열사 엔투비로 9884억원 규모이다. ||||''' MRO 기업 매출 순위 (2022년 기준)''' |||| || 1위 || [[서브원]] || || 2위 || [[아이마켓코리아]] || || 3위 || 엔투비 || || 4위 || 코리아e플랫폼 || || 5위 || KT커머스 || || 6위 || 동국시스템즈 || || 7위 || 한국미스미 || || 8위 || 오피스디포코리아(서브원) || || 9위 || 큐브릿지(아이마켓코리아) || || 10위 || 나비MRO || *행복나래 제외(사회적 기업) === 연결 회사 === 2022년 12월 결산 기준 아이마켓코리아 종속 회사는 다음과 같다 (16사) || '''전자상거래업[br](해외법인 포함)''' ||<(> IMarketVietnam co.,Ltd, IMarketAmerica Inc, IMarketXian lnc, IMarketFocus Inc,[br] IMarketEurope Kft, (주)아이아이씨컴퍼니, (주)큐브릿지 || || '''물류''' ||<(> (주)아이로지스틱스, 비투엘물류(BTL) || || '''의약품 및 의료용품 도매업''' ||<(> (주)안연케어, 가디언(주) || || '''기타''' ||<(> 데일리 넥스트 웨이브 바이오 헬스케어 펀드, 와이즈 글로벌 데카콘 펀드, (주)밸류포인트,[br] 아이엠테크놀로지(주) || === 지배 구조 === 2023년 9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그래디언트(기업)|그래디언트]] ||43.0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물산]] ||2.4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전자]] ||1.9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전기]] ||1.8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SDI]] ||1.5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엔지니어링]] ||0.97% || == 사업분야 == === 기본 사업 === 주 사업은 MRO이며,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그 외 건자재, 의약품[* 테라펙스, 안연케어], IT 등 다양한 아이템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텍사스주 테일러 시 투자 === 2023년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시에 약 26만평의 부지를 매입하여, '[[테일러]] 테크놀러지 파크'를 조성한다. [[삼성전자]] [[테일러]]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에서 8km, [[오스틴]] [[반도체]] 공장에서 40km, [[테슬라]] 기가팩토리에서 55km 떨어져 있다. 2025년부터 조세부담이 적은 텍사스로 국내외 [[반도체]], [[전기차]], [[이차전지]] 관련 기업이 [[테일러]]시로 입주 예정인데, 이에 맞춰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 것이다. 산업단지를 운영하면서 기존 사업인 [[MRO]]와 더불어 입주 기업에 물류 서비스와 '리로케이션 서비스'[* 항공권 예약, 비자 신청, 숙박, 셔틀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사업 확장 예정이다. [[분류:그래디언트]][[분류:대한민국의 유통업체]][[분류:2000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