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이언 하베스트 1920+)] [include(틀:아이언 하베스트 1920+)] [목차] == 개요 == 아이언 하베스트의 설정과 스토리를 정리한 문서. == 설정 == === 펜리스 === 아이언 하베스트 1920+를 관통하는 흑막의 비밀집단. 전쟁을 획책하는 집단으로 테슬라의 기술력을 노리고 있으며 각 정계와 군부에 자신들의 요원들을 심어놓았으며 결국 이들의 간부 중 한 명이었던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루스비에트에 공산 혁명을 획책하고야 만다. == 지역 == [[파일:Europe_or_Europa_Iron_Harvest_Map.png]] 유럽(유로파) 아이언 하베스트 세계관에서 1차 대전 이후에 정립된 세계관. 1차 대전 이후에도 독립한 국가들이 폴라니아~~1차 대전 이전에도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후 독립을 한 나라는 없어 보인다. 등장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회색 : 작센 제국의 영토이다. 고도로 발전된 산업 강국은 전쟁 후 불리한 항복 조건에 여전히 굴욕을 당하였다. 영토 크기를 보면 무시무시한데 서쪽으로는 네덜란드와 벨기에까지 남으로는 오스트리아 까지 맞닿아 있다. 따지고 보면 원본 독일보다 더 거대해졌다. 흰색 : 폴라니아 공화국은 공격적인 이웃 국가에서 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농업 국가다. 동쪽은 현재 루스비에트가 점거하고 있다. 빨간색 : 거대한 인구와 산업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정치적 불안과 기근에 시달리고 전쟁으로 지친 거대한 국가 인 러스비에트. Red Dot : The Factory는 첨단 기술과 국경을 폐쇄 한 산업으로 유명한 독립 도시 국가. 노란색 : 크리미안 칸국 은 오래된 기병대 전통을 굳건히 지키는 약한 세력이므로 진화하는 기술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중이다. 파란색 : 오랜 항해의 역사를 가진 왕의 손에 집결 한 자랑스러운 부족 국가인 노르딕 왕국. 아직 미등장 미구현 국가로는 다음과 같다. 알비온 클랜(알비온 씨족): 스코틀랜드의 고지대에서 영감을 받아 영국의 영토를 지배하고 있는 세력. 토가와 막부: 동아시아를 주제로 하며 일본 제국이 모티브이다. 한반도, 중국의 일부를 지배할 가능성이 높다. 그 외에 프랑스는 프랑크 왕국[* 협상장 손님이 국왕을 언급하는 장면이있다.묘사로보아 언론의 자유도 없는듯]이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미국[* 유소니아 연방국 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첫번째 DLC], 이탈리아, 캐나다, 호주 포지션 국가들도 나오는지 각 국가의 정치인이 종전을 축하하기 위해 루스비에트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종전회담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루스비에트 캠페인 [[아이언 하베스트 1920+/시나리오#s-2.2.1|평화와 번영]] 파트에서 각국 정치인들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아 야네크가 내용을 지어내서 직접 흉내 내는 장면이 나온다. 이외에도 [[마타 하리]]나 작센 제국군이랑 전쟁을 벌이는 아라비아에 대해서도 언급된다. 잘레시에(Zalesie) Zalesie는 이야기의 시작 부분에 안나 코스가 자리 잡고 있고 그녀의 오빠와 아버지가 살고 있는 마을이다. [[파일:TheFactoryLocation.png]] 공장(The Factory) 불가사의한 장소에 위치한 독립 도시국가이다. 국경을 폐쇄하고 첨단 기술과 산업으로 잘 알려진 독립국가이다. 최첨단으로 이루어진 도시라 모든 국가들이 탐내는 격전의 곳이다. [[니콜라 테슬라]]가 세운 [[기업국가]] 형태의 도시이다. 실제 지도상에서는 루마니아 북동쪽에 위치한 모습으로 보인다. 폴라니아, 작센, 루스비에트는 메크를 움직일 때 디젤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니콜라 테슬라의 병력은 전부 전기로 움직이며 심지어 전기 탄환도 발사를 한다. 디젤펑크 스런 세계관에 혼자 사이버펑크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며 몇몇 병과는 [[The War of the Worlds|우주전쟁]][* 허버트 조지 웰즈의 과학소설이 1898년 만들어진 것을 보면 참 재미있는 설정이다.]에서 볼듯한 [[트라이포드]]가 나온다. [[니콜라 테슬라]] 휘하의 병력은 그 성능이 매우 최첨단이며 상대하기 매우 까다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인간 병력들도 나와서 싸움을 하니 꼭 기계에만 많이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여담으로 지도에서 보이는 폴라니아 땅의 동쪽은 루스비에트에 의해 점령당했다고 묘사하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갓 독립했을 적에는 원래 본래의 땅이고 이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폴란드와 소비에트와의 전쟁]][* 혹은 폴란드-볼셰비키 전쟁]으로 얻은 땅이다. === 국가 목록 === *폴라니아 공화국 *작센 제국 *루스비에트 연방 *노르만 왕국 *토가와 막부 *크리미안 칸국 *알비온 씨족 *아메리카 대륙 *유소니아 연방국 현실의 미국에 해당한다.[* 다만 중간 중간 미합중국이나 미연방정부 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미국이라는 확실한 언급은 나온다.] 대전쟁때에는 개입하지 않고 있었으며, 본작에서 유로파 대륙이 혼란에 빠지자 본격적으로 개입을 시작한다. 원본 역사의 미국과는 조금 다르게 알래스카를 루스비에트로부터 구입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프랑크 왕국 *이탈리아 *멕시코 *아라비아 == 스토리 == 아이언 하베스트가 하도 과거 회상씬이 많다보니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문서. 대전쟁은 1920년대 5년 전부터 이어진 사건이지만 실제 1차 세계대전은 3년간의 전쟁(혹은 4년)이었지만 이 전쟁은 무려 5년 이상 지속된 전쟁이므로 더더욱 기술적으로 엄청난 양상을 띄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세계관에서의 이벤트인 대전쟁의 발발 원인은 알 수가 없다. === 타임 라인 === 발발 원인은 알 수 없다. 발발 원인은 떡밥으로 남게 된 건지 알 수가 없다. 다만 펜리스가 페르디단드 오스트리아 대공을 언급하는 장면을 봐서는 여기서도 사라예보사건이가 큰일을 한듯하다. 사라예보사건을 펜리스가 일으켰다는 암시가 있다. 참고로 아이언하베스트 세계관에서는 작센이 오스트리아까지 먹어서 그런지 작센대공이라고 외국위키에는 적혀있다. ==== 대전쟁 ==== [youtube(sseiidSbP3M)] > 그들은 전쟁이 모험이 될 거라고 했다. 긍지와 명예를 약속했다. 전쟁은 결국 오 년 동안 이어졌다. 전 세계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고통과 공포의 시기였다. 사상 처음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들이 단 한 번의 공격으로 수십 명, 아니 수백 명을 죽일 수 있는 무기를 들고 서로 싸웠다. 이제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수백만 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그중에 야네크도 있었다. 크리스마스에는 돌아오겠다던 우리 오빠. 절대로 날 떠나지 않겠다고 약속했던 오빠. 아이언 하베스트를 관통하는 거대한 사건. 1차 대전을 모티브로 했다. 하지만 1차 대전임에도 불구하고 산업혁명의 산물인 메크가 동원이 되었던 사건이었다. 이 전쟁 시기에는 보행병기인 메크가 투입되었으며(전쟁 후반기에 투입되었다고 한다.) 기술적으로 많은 것을 이룩하였지만 수백만 명의 생명을 앗아간 전쟁이다. 정황상 기존의 1차 대전에 실제 전쟁보다 더 강력한 무기들이 투입되어서 더 끔찍한 전투가 된 것으로 보인다. ==== 그리고 1920+년 이전 ==== 대략 1905년전 콥스 가는 질레시에에 살고 있었다. 그리고 1905년 안나 콥스가 태어난다. ===== 스트르가르트 전투 ===== 1917년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 겨울 작센 VS 폴라니아 위치 조네나우프강 작센이 조네나우프강 인근의 보급조달 및 [[아이언 하베스트 1920+/시나리오#s-2.3.1|병참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기차역을 점거]]하려 한다. 기차역에 도달하기까지 폴라니아 측에서는 거센 저항이 있었지만 작센측의 추가병력이 투입됨에 따라 병력이 압도되었고 이에 퇴각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 그리고 1920+년 현재 ==== 그리고 5년이 지난 시점인 1920년, 아직도 전쟁이 끝나지 않았다.정확히 말하자면 휴전 협상을 하는 중. 각 국가들이 전쟁에서 지쳐가는 와중에 휴전 협상을 루스비에트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되었다. ===== 팩토리 전투 ===== ===== 루스비에트 혁명 ===== 루스비에트 차르국에서 벌어진 공산주의 혁명으로 [[적백내전|빠르게 내전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때문에 알래스카에서 미국인들의 투자로 만들어진 석유 기업들이 공산주의 혁명군에게 점령되자 유소니아는 이를 빌미로 알래스카를 공산 루스비에트 혁명군으로부터 뺏기 위해 침공하게 된다.[* 때문에 기자였던 랜돌프가 이에 대해서 "미국이 자유를 위해 싸우는 자들을 공격해야만 한겁니까?"라는 식으로 돌려깐다. 이후엔 아예 "미국 젊은이들이 석유 산업을 위해서 피를 흘려야만 합니까?"라면서 직접적으로 비난한다.] ===== 아라비아 내전 ===== 아라비아의 왕이 살해당하고, 새로운 왕이 왕권 강화를 위해 작센 제국의 도움을 받으며 아라비아 전역에서 작센 제국군에 대한 저항이 발생하자 고립주의를 천명하던 아메리카 대륙의 신흥 강대국, 유소니아 연방이 본격적으로 개입을 시작한다. [[분류:아이언 하베스트 1920+]][[분류:게임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