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이언사이트)] [목차] == 개요 == 돌격소총에서 장탄수와 사거리만 늘리고 나머지 모든 성능을 하향시킨 무기군. 특히 반동이 너무 강력해 사용자는 손에 꼽는다. 반동제어를 성공해도 너무 느린 재장전 시간과 무기 교체 속도가 발목을 잡으며, 덕분에 급하게 수류탄을 던져야 하는 상황에 여러 모로 불편한 무기. 오죽 인기가 없었으면 총기 5정을 통틀어서 '''에픽 스킨이 딸랑 하나밖에 없고 그마저도 외형 변화가 없는 색놀이에 불과하다'''. 경기관총류는 공통적으로 대 드론 데미지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 [[울티맥스 100|Ultimax 100]] === ||<:><-99>[[파일:Ultimax 100_IS.png]]|| ||<-99> 싱가포르에서 제작한 경량 분대지원화기. 100발들이 탄창을 포함해 6.5kg밖에 무게가 나가지 않을 만큼 가볍다. || ||<:><#C8C8C8>장탄수||<:>100/100|| ||<:><#C8C8C8>공격력||<:>30|| ||<:><#C8C8C8>사거리||<:>65|| ||<:><#C8C8C8>연사속도||<:>62|| ||<:><#C8C8C8>기동력||<:>84|| ||<:><#C8C8C8>반동제어||<:>49|| 무난한 성능으로 무난하게 써먹을 수 있는 경기관총. 연사속도가 가장 느리긴 하지만 반동제어가 높아서 오히려 정확한 사격에 유리하다. 100발 경기관총중엔 재장전 속도가 제일 빠르기 때문에 빠른 재장전 외에도 바이퍼 조준경 + 안정감이나 빠른 무기 교체 등의 다른 선택지가 존재하며 빠른 재장전을 그대로 쓰면 돌격소총마냥 재장전속도가 빨라진다.) 어그와 비슷한 단점을 공유하는데 거기서 사거리와 반동제어가 낮다. 안정적인 경기관총을 찾는다면 이것과 아래의 M240밖에 선택지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Mk.46 LWMG|MK46]] === ||
<:><-99>[[파일:MK46_IS.png]]|| ||<-99> 베트남전 이후 경량화 자동화기에 대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M249의 개량형. 지속적인 급탄을 위해 탄약 파우치를 부착한다. || ||<:><#C8C8C8>장탄수||<:>100/100|| ||<:><#C8C8C8>공격력||<:>30|| ||<:><#C8C8C8>사거리||<:>56|| ||<:><#C8C8C8>연사속도||<:>75|| ||<:><#C8C8C8>기동력||<:>84|| ||<:><#C8C8C8>반동제어||<:>44|| 경기관총 중 가장 저평가받는 무기. 언뜻 보면 경기관총 중엔 평균적인 스탯으로 보이는데 실전에서 쓰면 반동이 정신이 나가있다. 데미지도 높은 편이 아니고 연사력도 그리 빠른 편도 아닌데 반동만 쓸데없이 너무 강해서 제대로 써먹기가 곤란한 무기. 그나마 장점이라고 하기 민망하지만 100발인데 연사속도가 적당해서 근,중거리에서 오랫동안 쏘기 좋다는 정도. 이름은 MK46인데 STANAG 탄창 삽입구가 그대로 있다. [[모던 워페어 3]]에서 일어났던 고증오류. === [[MG3]] === ||
<:><-99>[[파일:MG3_IS.png]]|| ||<-99> 2차 대전에 독일군 제식 기관총이었던 MG42를 개량한 버전. 중량이 무거운 편이며, 양각대를 부착해 방어 및 엄호용으로 쓰인다. || ||<:><#C8C8C8>장탄수||<:>75/150|| ||<:><#C8C8C8>공격력||<:>32|| ||<:><#C8C8C8>사거리||<:>62|| ||<:><#C8C8C8>연사속도||<:>87|| ||<:><#C8C8C8>기동력||<:>80|| ||<:><#C8C8C8>반동제어||<:>46|| 경기관총 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지닌 경기관총. 처음 몇발은 반동이 이리저리 튀지만 이후에는 레이저총 마냥 무반동에 가깝게 사격한다. 아니면 연사력이 빠르다는 것에 착안해 레이저 사이트를 끼고 근접 난투전을 벌일 수도 있다. 당연하겠지만 연사력이 가장 빠른 경기관총이 그렇듯 총알이 생각보다 금방 동나기때문에 재장전에 신경 많이 써야된다. === [[PKP 페체네그|PKP]] === ||
<:><-99>[[파일:PKP_IS.png]]|| ||<-99> 소련군의 제식 기관총으로 사용된 PKM의 개량 버전. 중량이 큰 총열을 장비해 원거리의 적을 영사해도 정밀한 사격이 가능하다. || ||<:><#C8C8C8>장탄수||<:>75/150|| ||<:><#C8C8C8>공격력||<:>35|| ||<:><#C8C8C8>사거리||<:>66|| ||<:><#C8C8C8>연사속도||<:>64|| ||<:><#C8C8C8>기동력||<:>84|| ||<:><#C8C8C8>반동제어||<:>27|| 경기관총 중 데미지가 가장 높지만 반대급부로 반동도 가장 심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연사력이 느려서 체감 반동은 MK46보다 약한 편이라는 것. 탄띠가 왼쪽으로 들어간다. [[모던 워페어 3]]에서도 일어났던 고증오류. === [[M240 기관총|M240 LWS]] === ||
<:><-99>[[파일:M240_LWS_IS.png]]|| ||<-99> 7.62x51mm NATO 탄을 사용하며, M240 기관총을 보다 가볍고 짧은 버전으로 만들었다 || ||<:><#C8C8C8>장탄수||<:>100/100|| ||<:><#C8C8C8>공격력||<:>28|| ||<:><#C8C8C8>사거리||<:>63|| ||<:><#C8C8C8>연사속도||<:>69|| ||<:><#C8C8C8>기동력||<:>86|| ||<:><#C8C8C8>반동제어||<:>59|| 울티맥스와 비슷하게 안정적인 성능을 보고 쓰는 경기관총. 울티맥스가 비교적 높은 데미지와 낮은 연사력에서 나오는 안정성으로 승부한다면, M240은 데미지는 조금 낮지만 연사력이 빠름에도 안정적인 성능으로 승부한다. === [[RPD]] === ||
<:><-99> || ||<-99> 소련에서 개발된 경량 기관총으로 7.62mm 탄약을 사용하며 안정성과 연사력이 특징이다. 긴 총열과 높은 총구 속도로 인해 원거리에서도 효과적이다. || ||<:><#C8C8C8>장탄수||<:>100/100|| ||<:><#C8C8C8>공격력||<:>33|| ||<:><#C8C8C8>사거리||<:>63|| ||<:><#C8C8C8>연사속도||<:>67|| ||<:><#C8C8C8>기동력||<:>86|| ||<:><#C8C8C8>반동제어||<:>59|| [[분류:아이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