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이언사이트)] [목차] == 개요 == 아이언 사이트의 근접무기를 소개하는 항목. 대부분의 국산 FPS 게임과 마찬가지로 칼을 꺼내든 상태에서 좌클릭을 하면 약공격, 우클릭을 하면 강공격이 나가며, 특히 강공격은 선딜레이가 있는 대신 사거리 내의 적 플레이어를 자동조준하여 확정킬을 낸다. 또한 최근 출시된 해외 FPS 게임들처럼 주무기나 보조무기를 든 상태에서 빠른 근접공격이 가능한데, 이 때 적 플레이어가 사거리 내에 있으면 위에서 언급한 선딜레이가 존재하는 강공격으로 확정킬을 낸다. 다만 선딜레이 때문에 싫다는 사람도 있으며, 사거리 내에서 휘둘렀는데 강공격이 안 나간다던지, 사거리 내에서 강공격이 나갔는데 피격 판정이 안 나온다던지, 근접 무기를 휘두르지도 않고 무기 교체하는 시늉만 한다던지 하는 문제가 심각하다. 빠른 근접공격은 그다지 믿을만한 기능이 아니다. 지상의 설치형 드론은 플라이트랩과 고르곤 시스템을 제외하면 공격 종류 상관없이 두방이니 약공격으로 두 번 그어주자.[* 플라이트랩은 한방, 고르곤은 3방이다.] === 카람빗 나이프 === ||<-99> [[파일:카람빗 나이프_IS.png]] || ||<-99> 동남아 술라웨시 지방 전통 검의 곡선 형태를 그대로 살려 만든 나이프. 외날형으로 개량했으며, 역수 방식으로 사용한다. || 기본 근접무기. 빠른 공격속도를 가지고 있다. === 전술 도끼 === ||<-99>
[[파일:전술 도끼_IS.png]] || ||<-99>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크기를 줄인 근접용 전투 도끼. 냉병기 제작에 뛰어난 명성을 쌓은 타운샌드 사의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 강공격의 선딜레이가 긴 편이라 사용자 보기 어렵다. === 보위 나이프 === ||<-99>
[[파일:보위나이프_IS.png]] || ||<-99> 미국의 개척 시대때부터 이름을 날려온 보위나이프의 변종. 흔히 사용되는 펄스 엣지 타입이 아닌 양날형으로 제작된 버전이다. || 아이언사이트의 근접무기 중 가장 정상적인 나이프 형태라 사용자가 간간히 보인다. === Butterfly Knife === ||<-99>
[[파일:Butterfly_Knife_IS.png]] || ||<-99> 한손으로도 빠르게 무장하고 숨길수 있으며 화려한 플립 액션이 특징이다 || E키 강공격 속도가 가장 빠른 근접무기이며, 에픽 등급의 스킨은 꺼내는 애니메이션이 화려하여 사용자가 많다. 빠른 공격속도에 반해 공격거리가 매우 짧지만, 칼을 꺼내야 할 상황이 탄약이 모자란 상태의 초근거리 교전인만큼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E키가 습관이 된 유저는 코너를 끼고 기습 나이핑을 시도하는 일이 잦다. === Mace === ||<-99>
[[파일:Mace_IS.png]] || ||<-99> 참호전과 근접전투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전술 도끼와 마찬가지로 강공격 딜레이가 길어서 사용자는 많지 않다. === Stiletto Knife === ||<-99>
[[파일:Stiletto_Knife_IS.png]] || ||<-99> 매우 예리한 칼날을 가지고 있으며 스위치 블레이드 형식으로 날을 접거나 펼수있는 특징이 있는 단검 || 강공격 모션이 매우 빨라 사용자가 꽤 많다. === 스켈레톤 나이프 === ||<-99>
[[파일:IS_Skeleton_Knife.png]] || ||<-99>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디자인되었으며, 무기를 꺼내거나 살펴볼 때 안정성을 위해 둥근 구멍이 있는 특징이 있다. || === 쿠크리 === [[분류:아이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