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2년 설립]][[분류:통번역]] ||<-2>
{{{#ffffff {{{+1 '''아이유노'''}}}[br]Iyun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Iyuno.webp|width=200%]]}}} || || '''기업명''' ||(주)아이유노글로벌 || || '''설립''' ||[[2002년]] || ||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6길19 || || '''대표''' ||이현무 || || '''업종''' ||번역 및 통역 서비스업 || || '''기업 분류''' ||[[다국적 기업]]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유노는 전 세계에 위치한 [[자막]] 현지화 및 [[더빙]] 전문 회사이다. 대표인 이현무는 본래 [[NASA]] 입사를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는데 그 중 [[미국]] 유학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DVD]] 타이틀에 들어가는 자막 번역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친한 동료들과 함께 [[2002년]] 회사를 세운 것이 그 시작이었다고 한다. 여러가지 우여곡절 끝에 번역 및 더빙 전문 현지화 분야에선 '''세계 1위이자 세계 최대 기업의 규모'''를 자랑하는 회사가 되었으며 그것을 입증하듯 동종 업계 유럽 1위의 BTI를 인수하고[[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170396|#]] 그 뒤 미국 [[SDI 미디어]]도 인수하여[[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0580553|#]] 기업의 규모를 확장해 나갔으며 [[소프트뱅크]]에게 1800억 투자 유치를 받는 등[[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421&aid=0005278174|#]] 현재 전 세계 34개국 67개의 지사를 보유한 글로벌 콘텐츠 현지화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현재 아이유노에게 자막 및 더빙을 맡기는 회사들은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소니 픽처스]], [[디스커버리]][* 특히 디스커버리하고의 관계는 위성시절부터 그 관계가 이어졌다.] 등 전 세계 유명 제작사들이 아이유노에게 자막 및 더빙 등 현지화 작업을 맡긴다고 하며 당장 [[넷플릭스]]만 해도 62개 언어로 현지화한 영상을 190개국에 내보낸다고 한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0209100002131|#]] 현재 한국지부에서는 한국어 더빙, 극장용 영화 사운드 후반 작업 및 색 보정을 포함한 포스트 프로덕션 서비스도 제공한다. == 미국 지부 == * 자세한 내용은 [[아이유노(미국)]] 참조 == 아이유노가 쓰는 PD == * 김하영[* [[김하영|그 성우분]]과 동명이인으로 [[재능TV]] 소속 PD였다.] * [[최옥주]] * [[김의진(PD)|김의진]] * 전소라 * 김지혜 * 최승용 * [[김나나]] * [[조정란]] == 우리말 녹음을 더빙한 애니메이션 == * [[드래곤 프린스]] * [[레고 시티 어드벤처]] *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영화|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더 무비]] * [[마이 리틀 포니: 나만의 마법]] * [[몽키 키드]] * [[극장판 마이 리틀 포니: 새로운 희망|마이 리틀 포니: 새로운 희망]] *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 * [[오버 더 문]] * 유레카! (디즈니+) * [[켄타 월드]] *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