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Essence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 [include(틀:역대 BET 어워드 평생공로상 수상자)] ---- }}} || ||<-2> '''{{{+1 아이즐리 브라더스}}}[br]The Isley Brothe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yKB1mQWgAQsZU0.jfif.jpg|width=100%]]}}} || ||<|2> '''결성''' ||1954년|| ||[[미국]] [[오하이오주]] 링컨 헤이츠|| || '''현 멤버''' ||로널드 아이즐리[br]어니 아이즐리|| || '''전 멤버''' ||루돌프 아이즐리[br]오'켈리 아이즐리 주니어[br]버논 아이즐리[br]마빈 아이즐리[br]크리스 재스퍼|| || '''장르''' ||[[소울 음악|소울]], [[펑크(음악)|펑크]], [[R&B]], [[록 음악|록]]|| || '''활동''' ||1954년 ~ 1955년[br]1957년 ~ 1984년[br]1990년 ~ 2007년[br]2010년 ~ 현재|| || '''링크''' ||[[http://theisleybrothersofficial.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theisleybrother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isleybrothers?locale=en_K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음악 그룹. == 역사 == === 최초 결성 === 아이즐리 형제[* 총 6남.]들의 부모님은 둘 다 음악가였다.[*A Maritza Fernandez, "[[https://www.blackpast.org/african-american-history/groups-organizations-african-american-history/isley-brothers-1957-1984/|THE ISLEY BROTHERS (1957-1984)]]", blackpast.org, 2018.12.25.] 1954년, 그룹은 아이즐리 형제 4명이 뭉친 [[가스펠]] 4중주단으로 시작했다. 그룹은 미국 중서부에서 활동했다. 그러다 1955년 버논 아이즐리가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그룹은 해체되었다.[*A] === 재결성 === 1957년 그룹은 다시 결성되었고, 로널드 아이즐리가 리드 싱어를 맡게 되었다. 이후 그룹은 [[뉴욕시]]로 가서 두왑 싱글을 녹음했다. 하지만 이 싱글은 상업적으로 실패하고 말았다.[*A][*B Jason Ankeny, "[[https://www.allmusic.com/artist/the-isley-brothers-mn0000766893/biography|The Isley Brothers: Biography]]", [[AllMusic|올뮤직]]] 계속 활동을 이어가던 중, 그룹은 [[재키 윌슨]]의 [[Lonely Teardrops]]를 부르다가 즉흥 공연을 해서 큰 호응을 얻었다.[*B][* Stevie Chick, "[[https://www.theguardian.com/music/musicblog/2014/jan/07/10-of-the-best-isley-brothers|10 of the best: the Isley Brothers]]", 「[[더 가디언]]」, 2014.1.7.] 이 공연이 추후 그들의 싱글인 "[[Shout(아이즐리 브라더스)|Shout!]]"의 토대가 되었다. 그 뒤 이 공연을 봤던 RCA 레코드사의 A&R이었던 하워드 블룸이 그들에게 이 즉흥 공연을 레코드로 녹음하자고 제안했다.[* uDiscover Team, "[[https://www.udiscovermusic.com/artist/the-isley-brothers/|The Isley Brothers]]", 「uDiscoverMusic」, 2020.4.27.] 레코드로 녹음돼 발매된 "[[Shout(아이즐리 브라더스)|Shout!]]"는 차트에선 47위에 그쳤지만 판매량은 100만장 이상이었다. 이로 인해 골드 디스크를 수여받았다. 하지만 이후 작업물들은 실패로 끝났고, 이후 RCA 레코드를 떠나 1962년에 완드 레코드에 정착했다. 레이블을 옮긴 후 그룹은 더 탑 노트스 (The Top Notes) 의 곡 [[Twist and Shout#s-4]]를 커버해 다시 큰 성공을 거뒀다.[* Colin Larkin,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 2011.5.27.), 1983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_NNmFiUnSmUC&lpg=RA1-PA1983&dq=The%20Isley%20Brothers%20rca%20records%20in%201962&hl=ko&pg=RA1-PA1983#v=onepage&q&f=false|#]]] 그들은 1964년에 자체 레코드 회사인 티-넥 레코드를 설립했다.[* Colin Larkin,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 2011.5.27.), 1984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_NNmFiUnSmUC&lpg=RA1-PA1983&dq=The%20Isley%20Brothers%20rca%20records%20in%201962&hl=ko&pg=RA1-PA1984#v=onepage&q&f=false|#]]] 레코드 설립 후 기타리스트를 모집했는데, 그가 [[지미 헨드릭스]]였다. 그룹은 지미 헨드릭스와 2곡을 녹음했으나 모두 인기를 얻지 못했고, 결국 티-넥 레코드를 버리고 [[모타운 레코드]]의 자회사인 탐라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B][*C "[[https://www.britannica.com/topic/the-Isley-Brothers|the Isley Brothers: American music group]]",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1년 뒤 그곳에서 발매한 "[[This Old Heart of Mine (Is Weak for You)]]"가 큰 성공을 거뒀다. 1967년에 영국에서 차트 3위를 기록하자 그룹은 영국으로 이주하기도 했다.[*B] 하지만 이 곡을 제외하곤 모타운 레코드에서 히트곡을 내지 못하였고[*B], 1968년에 자발적으로 모타운 레코드를 떠났다.[*A] === 전성기 === 미국으로 돌아온 그룹은 1969년, 티-넥 레코드를 다시 운영하기 시작했다.[*C] 이후 1969년 2월 [[It's Your Thing]]이 발매돼 큰 호응을 얻었는데, 5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그래미 최우수 R&B 보컬 퍼포먼스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A] 이 시기 그룹엔 동생 어니 아이즐리와 마빈 아이즐리, 그리고 처남 크리스 재스퍼가 들어왔다. 라인업이 달라지고 그룹의 음악성도 변화하기 시작했다.[*B] 그렇게 1970년대 ~ 1981년 동안, 앨범이 파는 족족 골드 또는 플래티넘 디스크를 수상할 만큼 그룹은 큰 인기를 누렸다. === 2차 해체 === 그러다 1984년에 크리스, 어니, 마빈이 그룹을 떠나 자신들끼리 아이즐리-재스퍼-아이즐리 (Isley-Jasper-Isley) 를 결성했다.[* "Jet", 1984.11.12., 64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eq4DAAAAMBAJ&lpg=PA64&dq=The%20Isley%20Brothers&hl=ko&pg=PA64#v=onepage&q&f=false|#]]] 이들이 1985년에 발매한 싱글 [[Caravan of Love]]는 같은 해에 히트를 거두었고 남은 셋 (오'켈리, 로널드, 루돌프) 은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고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발매된 후 오'켈리가 1986년 3월 31일, 잉글우드병원에서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 Jason Ankeny, "[[https://www.allmusic.com/artist/okelly-isley-mn0000465302/biography|O'Kelly Isley: Biography]]", [[올뮤직]]][* "[[https://apnews.com/article/e748fce38ca8654fc04cd276b5a8c35b|Rhythm and Blues Singer O’Kelly Isley Dead At Age 48]]", 「[[AP통신]]」, 1986.4.2.] 향년 48세. 이후 루돌프는 1989년, 목사가 되기 위해 음악을 그만두었다.[* "[[https://www.songhall.org/profile/rudolph_isley|Rudolph Isley]]", songhall.org] === 2차 재결성 === 1990년 로널드가 다시 그룹을 결성했고, 어니와 마빈이 멤버로 돌아왔다. 1992년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Brock Helander, "The Rockin' 60s: The People Who Made the Music" (Schirmer Trade Books · 2001.1.1.), 373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4mbHDgAAQBAJ&lpg=PT373&dq=isley%20brothers%201990&hl=ko&pg=PT373#v=onepage&q&f=false|#]]] 1996년 [[당뇨병]]을 앓던 마빈이 [[뇌졸중]]과 [[신부전]]으로 두 다리를 절단하고 말았다.[* Devon Thomas, "[[https://www.cbsnews.com/news/marvin-isley-bassist-of-the-isley-brothers-dies-at-56/|Marvin Isley, Bassist of the Isley Brothers, Dies at 56]]", 「CBS 뉴스」, 2010.6.8.] 이 일로 결국 마빈은 밴드를 떠났고, 로널드와 어니가 듀오로 활동했다. 1996년에는 [[R. 켈리]]의 노래 "[[Down Low (Nobody Has to Know)]]에 피처링으로 참여했고,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2주 연속 4위를 기록하고 [[199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5위에 오르는 등 대히트를 기록했다. 1998년에는 로널드 아이즐리가 R. 켈리와 함께 켈리 프라이스의 싱글 "[[Friend of Mine]]"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빌보드 핫 100에서 12위, [[1998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72위에 오르며 크게 히트했다. 2001년 8월 7일에는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28집 앨범 "Eternal"이 발매되었고,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3위를 기록했다. 앨범의 첫 싱글 "[[Contagious]]"는 빌보드 핫 100에서 19위를 기록했고 [[2001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81위에 오르는 등 크게 히트했다. 2003년 5월 6일에는 29집 앨범 "Body Kiss"가 발매되었다.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했고, 첫 싱글 "What Would You Do?"가 빌보드 핫 100에서 49위를 기록하며 히트했다. 30집 앨범 "Baby Makin' Music"는 2006년 5월 9일에 발매되어 빌보드 200에서 5위를 기록했다. 그런데 로널드가 지속적인 [[탈세]]로 인해 2007년에 징역 3년 1개월을 선고받는 일이 일어났다.[* The Associated Press, "[[https://www.today.com/id/wbna14681264#.UVRKkTfKSSo|]Singer Ronald Isley gets 3 years in prison]]", today.com, 2006.9.5.] 결국 복역하게 되었고 로널드는 2010년 4월에 석방되었다.[*B] 같은 해 6월 6일 일요일 마빈이 사망했다. 향년 56세.[* "[[http://www.thedeadrockstarsclub.com/2010.html|2010 January to June]]", thedeadrockstarsclub.com][* Dennis Hevesi, "[[https://www.nytimes.com/2010/06/08/arts/music/08isley.html|Marvin Isley, Bassist in Isley Brothers, Dies at 56]]", 「[[뉴욕 타임즈]]」, 2010.6.7.] 석방 이후 그룹은 계속 활동하고 있다. 2023년 10월 11일, 창립 멤버 루돌프 아이즐리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향년 84세.[* Daniel Kreps,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rudolph-isley-isley-brothers-dead-obit-1234852904|Rudolph Isley, Founding Member of the Isley Brothers, Dead at 84]]", 「[[롤링 스톤]]」, 2023.10.12.]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Shout! (1959) * Twist & Shout (1962) * Twisting and Shouting (1963) * This Old Heart of Mine (1966) * Soul on the Rocks (1967) * It's Our Thing (1969) * The Brothers: Isley (1969) * Get into Something (1970) * Givin' It Back (1971) * Brother, Brother, Brother (1972) * 3 + 3 (1973)[* [[빌보드 200]] 8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92년 6월 2일에 기록)] * Live It Up (1974)[* 빌보드 200 14위][* RIAA 골드 레코드 (1974년 11월 4일에 기록)] * The Heat Is On (1975)[* 빌보드 200 1위][* RIAA 2x 플래티넘 레코드 (1999년 8월 17일에 기록)] * Harvest for the World (1976)[* 빌보드 200 9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2001년 10월 19일에 기록)] * Go for Your Guns (1977)[* 빌보드 200 6위][* RIAA 2x 플래티넘 레코드 (1999년 8월 17일에 기록)] * Showdown (1978)[* 빌보드 200 4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78년 5월 3일에 기록)] * Winner Takes All (1979)[* 빌보드 200 14위][* RIAA 골드 레코드 (1979년 6월 7일에 기록)] * Go All the Way (1980)[* 빌보드 200 8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80년 6월 4일에 기록)] * Grand Slam (1981)[* 빌보드 200 28위][* RIAA 골드 레코드 (1981년 5월 5일에 기록)] * Inside You (1981) * The Real Deal (1982) * Between the Sheets (1983)[* 빌보드 200 19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95년 9월 12일에 기록)] * Greatest Hits, Vol. 1 (1984)[* 컴필레이션 앨범][* RIAA 2x 플래티넘 레코드 (1999년 8월 17일에 기록)] * Masterpiece (1985) * Smooth Sailin' (1987) * Spend the Night (1989) * Tracks of Life (1992) * Mission to Please (1996)[* 빌보드 200 31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1997년 1월 23일에 기록)] * Eternal (2001)[* 빌보드 200 3위][* RIAA 플래티넘 레코드 (2001년 9월 10일에 기록)] * Body Kiss (2003)[* 빌보드 200 1위][* RIAA 골드 레코드 (2003년 6월 9일에 기록)] * Baby Makin' Music (2006)[* 빌보드 200 5위] * Power of Peace (2017) === 싱글 === ==== [[빌보드 R&B 차트]] 1위 ==== * [[It's Your Thing]] (1969)[* RIAA 골드 레코드 (1969년 4월 9일에 기록)] * [[Fight the Power|Fight the Power (Part 1 & 2)]] (1975)[* RIAA 골드 레코드 (1975년 9월 11일에 기록)] * [[The Pride|The Pride (Part I & II)]] (1977) * [[Take Me to the Next Phase|Take Me to the Next Phase (Part 1)]] (1978) * [[I Wanna Be with You|I Wanna Be with You (Part 1)]] (1979) * [[Don't Say Goodnight (It's Time for Love)|Don't Say Goodnight (It's Time for Love) (Parts 1 & 2)]] (1980) * [[Down Low (Nobody Has to Know)]] (1995)[* [[R. Kelly]]의 노래에 피쳐링.] ==== [[빌보드 핫 100]] 2위 ==== * [[It's Your Thing]] (1969)[* RIAA 골드 레코드 (1969년 4월 9일에 기록)] ==== 빌보드 핫 100 3 ~ 10위 ==== * [[That Lady|That Lady, Pts. 1 & 2]] (1973) - 6위[* RIAA 골드 레코드 (1973년 10월 2일에 기록)] * [[Fight the Power|Fight the Power (Part 1 & 2)]] (1975) - 4위[* RIAA 골드 레코드 (1975년 9월 11일에 기록)] * [[Down Low (Nobody Has to Know)]] (1995) - 4위[* [[R. Kelly]]의 노래에 피쳐링.] ==== 빌보드 핫 100 11 ~ 40위 ==== * [[Twist and Shout#s-4]] (1962) - 17위 * [[This Old Heart of Mine (Is Weak for You)]] (1966) - 12위 * I Turned You On (1969) - 23위 * Love the One You're With (1971) - 18위 * [[Pop That Thang]] (1972) - 24위 * For the Love of You (Part 1 & 2) (1975) - 22위 * Livin' in the Life (1977) - 40위 * [[Don't Say Goodnight (It's Time for Love)|Don't Say Goodnight (It's Time for Love) (Parts 1 & 2)]] (1980) - 39위 * [[Contagious]] (feat. [[R. Kelly]] & Chanté Moore) (2001) - 19위 ====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 * [[Shout(아이즐리 브라더스)|Shout – Part 1]] (1959) - 47위 * [[Shout(아이즐리 브라더스)|Shout – Part 1]] (1962) - 94위 * Twistin' with Linda (1962) - 54위 * Take Some Time Out for Love (1966) - 66위 * I Guess I'll Always Love You (1966) - 61위 * Got to Have You Back (1969) - 93위 * Black Berries — Part 1 (1969) - 79위 * Was It Good to You (1969) - 83위 * Keep on Doin' (1970) - 75위 * Girls Will Be Girls, Boys Will Be Boys (1970) - 75위 * Get into Something (1970) - 89위 * Freedom (1970) - 72위 * Spill the Wine (1971) - 49위 * Lay Lady Lay (1971) - 71위 * Lay-Away (1972) - 54위 * Work to Do (1972) - 51위 * What It Comes Down To (1973) - 55위 * Summer Breeze (Part 1) (1974) - 60위 * Live It Up (Part 1 & 2) (1974) - 52위 * Midnight Sky (Part 1 & 2) (1974) - 73위 * Who Loves You Better (Part 1) (1976) - 47위 * Harvest for the World (1976) - 63위 * [[The Pride|The Pride (Part I & II)]] (1977) - 63위 * It's a Disco Night (Rock Don't Stop) (1979) - 90위 * Hurry Up and Wait (1981) - 58위 * Let's Lay Together (1996) - 93위 * Floatin' on Your Love (feat. Angela Winbush) (1996) - 47위 * Tears (1996) - 55위 * What Would You Do? (feat. [[R. Kelly]]) (2003) - 49위 ==== 그 외 싱글 ==== * Nobody but Me (1963) - 106위 * Simon Says (1965) - 131위 * Love Is a Wonderful Thing (1966) - 110위 * That's the Way Love Is (1967) - 125위 * Take Me in Your Arms (Rock Me a Little While) (1968) - 121위 * Bless Your Heart (1969) - 105위 * If He Can, You Can (1970) - 113위 * Warpath (1971) - 111위 * Footsteps in the Dark (1977) - 싱글은 아니지만 [[아이스 큐브]]의 명곡 '[[It Was a Good Day]]'에 샘플링되어서 유명하다. * Between the Sheets (1983) - 101위, 빌보드 R&B 차트 3위[* RIAA 골드 레코드 (2006년 6월 14일에 기록)][* 국내에서는 보통 [[GTA 산 안드레아스]]의 라디오 채널곡으로 알려져있다.] * Smooth Sailin' Tonight (1987) - 빌보드 R&B 차트 3위 * Spend the Night (Ce Soir) (1989) - 빌보드 R&B 차트 3위 * Busted (feat. JS) (2003) - 112위 * Just Came Here to Chill (2006) - 108위 * Friends and Family (feat. [[Snoop Dogg]]) (2021) - [[빌보드 R&B 차트|빌보드 핫 R&B/힙합 송즈]] 49위 [[분류:아이즐리 브라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