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OCG]]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마력 카운터)] [목차] == 설명 == [[파일:アーカナイト・マジシ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아캐나이트 매지션, 일어판명칭=アーカナイト・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Arcanite Magician, 레벨=7,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400, 수비력=1800, 효과1=튜너 + 튜너 이외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2=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2개 놓는다., 효과3=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의 수 × 1000 올린다., 효과4=③: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는 사실상 조건만 갖춰지면 무제한의 필드 파괴. 마력 카운터만 충분히 쌓인다면 상대 필드를 깨끗히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래 공격력이 낮은게 문제지만, 이건 거꾸로 이 카드를 [[리미트 리버스]] 등의 소생 카드로 부활 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도 되기에 어떻게 보면 장점이 되는 경우도 있다. 단 싱크로 소환 이외의 수단으로 등장 했을 경우엔, 마력 카운터가 없는 상태로 소환되니 주의. 원래 공격력이 400이기 때문에 [[데브리 드래곤]]으로 건져서 [[성태룡]]을 싱크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신의 마력 카운터를 다 쓰거나, 싱크로 소환이 아닌 소생해서 공격력이 낮은 상태라면 수비 상태로 두어 낮게나마 벽으로 쓰거나 혹은 [[미라클 싱크로 퓨전]]으로 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을 불러오는 것도 좋은 콤보가 된다. [[마법도시 엔디미온]]과의 시너지 효과는 발군으로, 자신의 공격력은 내리지 않고, 마법도시 엔디미온에 있는 수많은 마력 카운터로 상대 필드를 능욕하는게 가능하다. 이 카드는 자신의 마력 카운터를 써야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라면 전부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카운터가 쌓인 마법도시 엔디미온과 조합하면 상당한 화력의 필드 클린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 특히나 마법 카드의 남발이 잦고 필드 마법이 양쪽 플레이어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듀얼 환경이 변화되면서 마법 도시 엔디미온의 안정성이 극대화 되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나기 더 쉬워진 편. 덧붙여 [[매직 템피스터]]와도 시너지 효과가 있어, 템피스트 매지션으로 인해 효과 사용 횟수 추가, 공격력 증가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특수 소환 후 마력 카운터가 올라가지 않는 것도, 이 카드의 효과로 보완가능. 패 소모는 감수해야하겠지만 버스터와의 시너지는 원판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 있는데 사실상 패 2장으로 필드 클리어가 가능하다. 이런 연유로 과거에 [[레스큐 캣]],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등의 카드를 활용, 아캐나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덱을 AKB[* 아캐나이트비트의 약자. 사실 아캐나이트의 스펠링은 arcanite인데 AKB가 된 이유는 나이트를 knight로 착각했기 때문. 물론 [[AKB48]]을 연상시키는 덱 이름이기도 했다.]덱이라고 한다. 캣이 금지된 이후론 마술사를 적극 채용한 덱으로 어느 정도 손쉽게 굴러가는게 가능. [[인스턴트 퓨전]]을 채용한 덱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중 [[음악의 제왕]](레벨 5), [[카오스 위저드]](레벨 4)가 있기 때문에 이들을 소환한 다음 튜너를 소환해 단번에 싱크로 소환될 수 있다. 강력한 카드지만, 효과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지라 [[이펙트 뵐러]]나 [[금지된 성배]]에 매우 취약하다. 효과가 무효화되면 다른 몬스터들에 비해 피해가 상당히 심각하므로 주의. 효과가 무효화되는 순간 마력 카운터를 올릴 수 없는 카드로 취급되기 때문에 이 카드에 있던 마력 카운터가 전부 사라지고 이 카드는 레벨 7에 공격력 400의 바보가 된다. 자세한 설정은 공개된 바없으나, 이름으로 추측할 때 연금술사 인 것으로 보인다. arcanite는 금속 아르카나이트(arcanite)가 모티브이며, 판타지에서는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아케이나이트]](Arcanite) 등 연금술이나 무기 재조 등과 관련된 것에 자주 붙어진다. 다만, [[버스터 모드#s-4.1.1|아캐인 파이로]](Arcane Apprentice)와의 연관성을 생각해보자면 Arcanite는 Arcane(신비로운)의 변형일 가능성도 있다. 여담으로, 이 카드의 성별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일본 쪽에서는 남자인지 여자인지 관련 스레에 장문의 토론이 벌어지기도 할 정도. '매지션'이라는 단어가 그 자체만 놓고 보면 남자 쪽을 주로 지칭하는 단어이긴 하나 유희왕의 경우에는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처럼 매지션을 굳이 남성에 한정시켜놓고 있진 않기 때문에 무의미. 결국 유희왕 팬들 사이에선 '믿고 싶은 쪽의 성별이 그 사람에게는 진짜'로 단순한 결론이 내려졌다고 한다. 2014년, 갑자기 [[섀도르]] 덱에서 이 카드를 자주 채용하고 있다. 섀도르 비스트+섀도르 팔콘이라던가 [[매스매티션]]-[[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로 간단하게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 대회팩으로 시크릿 레어가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심홍의 위기]] || CRMS-KR04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JP043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DUELIST EDITION Vol.3 || DE03-JP095 || [[슈퍼 레어]] || 일본 || ||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2019 Vol.2]] || 19TP-JP209 || [[노멀]] || 일본 ||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4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아캐나이트 매지션/버스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5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아캐나이트 매지션/버스터, 일어판명칭=アーカナイト・マジシャン/(スラッシュ)バスター, 영어판명칭=Arcanite Magician/Assault Mode, 레벨=9,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900, 수비력=2300,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버스터 모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2개 놓는다. 이 카드에 얹혀 있는 마력 카운터 1개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에 얹혀 있는 마력 카운터를 2개 제거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또한\, 필드 위에 존재하는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아캐나이트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버스터 모드]]로 강화되어 돌아온 아캐나이트 매지션. 여전히 [[마법도시 엔디미온]]과 연계가 가능하며 상대 필드의 카드 파괴가 마력 카운터 2개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로 강화되었다. 단 아캐나이트 매지션과는 텍스트가 미묘하게 달라 효과 발동시에는 반드시 자신의 마력 카운터를 사용해야 하며(마법도시 엔디미온에 놓인 카운터만은 다른 카드 대신 소모하는 취급이므로 여전히 가능), 그것도 마력 카운터 소모가 한번에 두 개로 심한 편이라 마법도시 엔디미온 없이 쓰게 되면 공격력이 확 내려가서 이후 직공때려 봐야 데미지도 얼마 안나오고, 이 카드가 파괴된 후 다시 돌아온 아캐나이트 매지션은 마력 카운터는 0개라는 단점이 있다. 빨리 불러내서 좋을 것은 별로 없고,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마력 카운터를 다 쓴 후 버스터 모드로 이걸로 바꿔 추가타를 노리는 정도의 운용이 무난하다. 다른 /버스터 몬스터들이 갑옷을 추가로 입은 모습을 하고 있는 반면 이쪽은 잘 보면 원래 아캐나이트 매지션 때 입고 있던 로브 밑에 있던 갑옷을 입은 모습이다. 로브를 벗고 숨겨져있던 진정한 힘을 개방했다는 설정인 듯. 단 [[스타더스트 드래곤]]에게는 그냥 맛 좋은 먹이다. 그리고 나오자마자 상대가 [[흑마족 부활의 관]]을 쓰면 기껏 버스터 모드로 소환했는데 상대의 [[블랙 매지션]]이나 기타 몬스터의 소재로서 릴리스되는 광경을 보며 피눈물을 흘리게 된다. 이 효과는 릴리스라서 아캐나이트 매지션이 안 나오기 때문에 더더욱 눈물. 그런데 파괴 효과였어도 애초에 임의 효과라서 타이밍을 놓쳐 안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심홍의 위기]] || CRMS-KR02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JP02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DUELIST EDITION Vol.3 || DE03-JP083 || [[노멀]] || 일본 ||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2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5042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 일어판명칭=覇魔導士(はまどうし)アーカナイト・マジシャン, 영어판명칭=Supreme Arcanite Magician, 레벨=10,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400, 수비력=2800, 효과1=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 + 마법사족 몬스터, 효과2=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2개 놓는다., 효과4=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의 수 × 1000 올린다., 효과5=③: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6=●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7=●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에서 등장한 싱크로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능력치가 아캐나이트 매지션에서 각각 1000씩 상승. 공격력이 1400인지라 역시 나락에 안 걸린다. 동일 팩에서 같이 등장한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지천의 기사 가이아드레이크]]와는 다르게 융합 소재가 꼭 아캐나이트 매지션일 필요는 없는지라 다른 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를 사용해도 문제 없다. ~~하지만 [[늪지의 마신왕]]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이 함정~~ 게다가 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들은 대부분 소재가 마법사족 제한인지라 싱크로 하는 것으로 융합 소재가 저절로 모인다. 싱크로 소재가 [[싱크로 퓨저니스트]]라면 [[미라클 싱크로 퓨전]]까지 패에 들어오니 소환 난이도는 어렵지 않은 편. 애시당초 묘지의 몬스터에는 그렇게 연연하지 않는게 마법사족이니... 단 효과는 미묘한 편. 마력 카운터만 있으면 필드를 다 쓸어버릴 수 있는 아캐나이트 매지션이나, 자신의 마력 카운터를 2개 쓰지만 상대의 필드를 클린하는 아캐나이트 매지션/버스터와 비교하면 1턴에 1번 제약이 있다. 또 마력 카운터를 제거하고 쓸 수 있는 효과가 2개 적혀있는데, 이는 '마력 카운터 1개를 제거해서 두 효과가 동시에 발동된다.'가 아닌 '''마력 카운터 1개를 제거해서 두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서 발동할 수 있다'''라는 의미이다. 즉 파괴하면서 동시에 드로우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 그렇다고 1턴에 카운터를 2개 써서 파괴 한번 드로우 한번 이렇게 할 수 있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고, 1턴에 파괴나 드로우 중 1개만 선택해서 1번만 쓸 수 있다는 의미이다. 처음에 텍스트가 밝혀졌을 때는 카드 텍스트가 애매하게 적혀 있어서 상당히 강력한 카드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상은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열화판.''' 일단 파괴 효과에서 대상이 '상대 필드'가 아닌 그냥 '필드'가 되었기 때문에 자신 필드에 있는 카드도 선택해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는 발전도 있긴 하지만, 자신 필드에 있는 카드를 파괴할 일은 드문 만큼 횟수 제한을 채워줄 만한 발전이라고는 하기 힘들다. '''단, 이는 이 카드를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강화판으로 인식할 때의 이야기다.''' 융합 조건을 보면 알겠지만, 이 카드는 딱히 융합 소재가 아캐나이트 매지션일 필요성은 없다. [[매직 템피스터]], [[익스플로시브 매지션]]으로도 융합이 가능한 것. 이런 관점에서 볼 경우, 이 카드의 정체성은 '''마법사족 특화 덱에서 융합 쪽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넓혀주는 카드'''로 볼 수도 있다. 저 둘의 경우 마력 카운터 죄다 써버리고 쓱삭 융합해서 고공격력으로 한 대 크게 먹여주는 것도 가능. 혹은 [[초융합]]으로 상대의 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를 먹어버릴수도 있다. 그러니까 아캐나이트 매지션이나 아캐나이트 매지션/버스터처럼 상대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겨주기 위해 우선적으로 노리고 소환하는 주력 몬스터라기보다는, 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가 파괴되거나 필드의 아캐나이트 매지션이 마력 카운터를 다 쓸 때의 [[보험]], 또는 히든 카드라고 생각하고 운용하는 것이 좋다. 미러클 싱크로 퓨전 1장으로 묘지 자원만 슥삭 제외하고 갑자기 튀어나오는 공격력 3400짜리 몬스터는 그래도 꽤 위협적이며, 진화 전에 비해 너무 구려져서 그렇지, 1턴에 카드 1장 파괴도 그렇게 나쁜 효과는 아니다. 다른 마법사족 싱크로면 모를까 묘지로 간 아캐나이트 매지션은 되살려 봤자 공격력이 올라가지 않아 제대로 못써먹으므로 제외해서 이걸 소환해도 그리 아깝지 않다. 또 수비력이 2800으로 무식하게 올라간지라 효과 다 쓰고 벽으로 쓸 수 있고, 드로우 효과는 원래 없던 효과인 만큼 마법도시 엔디미온 등 마력 카운터를 중점적으로 쓰는 덱이라면 마법 카드 1장 사용 = 1턴에 1장 드로우로 치환할 수 있게 되었다. 수비 표시로 두고 매턴 드로우를 책임지는 역할도 맡을 수 있다는 것. 일반적으로는 역시 마력 카운터를 쓰거나 최소한 마법사족을 중심으로 짜인 덱에서 쓰는 카드지만, [[TG(유희왕)|TG]] 덱에서 미라클 싱크로 퓨전을 이용해 [[TG 원더 매지션]]과 [[TG 사이버 매지션]]을 융합해 상대의 허를 찌르는 방법도 있다. 원판에 비해 별 볼 일 없는 효과가 된 것은 2번째의 드로우 보조 효과의 영향이 크다. 제한 없이 여러번 발동할 수 있다면 [[왕립 마법도서관|악용될]] [[엑조디아|여지]]가 있기 때문. 참고로 "[[마도(유희왕)|마도]]"라는 이름이 붙은 마법사족 몬스터에 해당한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받을 수 있는 관련 서포트가 없다. 영어판에서는 마도에 해당하는 Prophecy가 영판 이름에 붙지 않았기에 [[마도(유희왕)|마도]]에 해당하지 않아서, 관련 서포트를 내려면 영판쪽이 에라타해야하는 상황.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3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펜듈럼 에볼루션]] || SD31-KR043 || 노멀 || 한국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3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펜듈럼 에볼루션|ペンデュラム・エボリューション]] || SD31-JP043 || 노멀 || 일본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3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마도전사 브레이커]] === === [[버스터 모드#아캐인 파이로|아캐인 파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