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1 아트 펑크}}}[br]Art punk''' || ||<|2> '''기원''' ||^^'''장르'''^^ [[펑크 록]], [[아트 록]], [[익스페리멘탈 록]] || ||^^'''지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등장 시기''' ||[[1970년대]] || || '''관련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포스트 하드코어]], [[포스트 펑크]], [[인디 록]]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트 펑크는 기존 펑크 록의 공격성을 유지하면서 [[아트 록]]과 [[익스페리멘탈 록]]을 결합한 장르를 말한다. [[재즈]], [[훵크]], [[미니멀리즘]]에서 영향을 받기도 했는데, 뿐만 아니라 아프로비트, 클레즈머, [[민요]]와 같은 비서양권 음악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점에서 [[포스트 펑크]]와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아트 펑크는 펑크 록의 뻔뻔한 태도와 빠른 악기 연주를 유지하며, 곡의 분위기보다는 파격적인 곡 구조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지나면서 아트 펑크가 발전함에 따라 [[프로그레시브 록]], [[포스트 하드코어]], [[인디 록]], 집시 펑크와 같은 장르들과 융합되었다. 특히 1990년대 후반과 2000대 초반 포스트 하드코어가 부상하면서 [[넘버걸]], [[블랙 아이즈]], [[푸가지]]와 같은 밴드들이 두 장르들을 융합시키기도 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아트 펑크에 인디 록의 영향을 크게 받아들인 Parquet Courts, Protomartyr, [[Iceage]]와 같은 밴드들이 등장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영국에서 [[스퀴드|Squid]], [[셰임(밴드)|Shame]], [[Black Country, New Road]]같은 밴드들이 등장했다. ==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Art_punk|영어위키 아트 펑크 항목]] * [[https://rateyourmusic.com/genre/art-punk/|Rate Your Music 아트 펑크 항목]] [[분류:아트 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