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천시의 공동주택]][[분류:대단지 아파트]][[분류:2004년 건설]] [include(틀:경상북도의 공동주택)] ||<-2> [[파일:덕일한마음 로고.png|height=4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아포덕일한마음아파트, 너비=100%)]}}} || || '''명칭''' || '''아포 덕일한마음''' || || '''영문 명칭''' || Apo Dukil Hanmaum Apt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덕일한마음|[[파일:덕일한마음 로고.png|height=40 width=90]]]] ||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한지2길 64-9 ([[국사리]]) || || '''준공''' || 2004년 10월 || || '''입주''' || 2012년 6월[*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04070065|관련 기사 참조]] ] || || '''동수''' || 7개동 || || '''층수''' || 지상 10층 || || '''세대수''' || 1,084세대 || || '''면적''' || 41㎡, 59㎡, ㎡ || || '''시공사''' || [[덕일건설]] || || '''주차대수''' || 851대 (세대당 0.78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국사리]]에 위치한 공동주택. 2004년 10월 준공되었으며,아포읍의 두 번째 아파트인 세광에비앙 아파트가 완공된 2017년 11월 이전까지는 아포읍의 유일한 아파트였으며[* 아포읍의 세 번째 아파트는 2021년 12월에 완공된 스마트시티(민간임대)아파트이며, 2024년 11월에 아포읍의 네 번째 아파트인 천년가2단지가 완공될 예정이다.], 사실상 아포읍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는 아파트라 할 수 있다. 이 아파트가 준공된 2004년 10월에는 [[아이파크]],[[푸르지오]],[[롯데캐슬]]등 대기업 브랜드를 비롯하여 일부 중소 건설사도 영어 브랜드를 이미 사용하고 있었던 때이지만 이 아파트의 시공사인 덕일건설은 "한마음" 명칭을 그대로 브랜드에 사용하여 건설하였다. 덕일건설이 시공한 마지막 아파트이고, 이 아파트를 시공한 후 덕일건설은 아파트 사업을 중단한 후 결국 부도나게 되었다.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04070065|관련 기사]][* 반면에 자회사인 덕일엔지니어링은 2005년 11월 (주)덕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사원 수 34명(2021년 기준), 자본금 21억 2천만원(2020년 12월 31일 기준), 건설업계 순위 467위의 작은 업체로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https://m.jobkorea.co.kr/company/43860110|관련 정보]]] 이 아파트가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 사이에 지어진 덕분에 [[충청북도]] 지역 기반의 덕일한마음 브랜드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하였으며, 서울~부산이나 부산~서울간을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열차, 버스, 자가용 등을 이용하여 자주 오고 가거나,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에서 [[경부고속도로]]나 [[경부선]] 철도로 [[영동군]] 등 [[충청북도]] 동북부 지역 또는 이들 지역을 경유하여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일부 지역을 자주 오가거나,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경상북도]] 북서부나 [[충청북도]] 중북부, [[경기도]] 남동부 지역을 자주 오간다면 [[경부선]] 철도의 [[구미역]]과 [[김천역]] 사이 또는 [[경부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만나는 [[김천JC]] 앞에서 이 아파트를 필히 보게 되면서 외지인들에게 알려졌다. 여행 중이나 여행에서 집으로 돌아올 때 이 아파트를 보면 심신이 안정되고 마음이 푸근해질 것이다. 그 이유는 아마도 예전부터 우리나라는 수 많은 부분에서 서로가 같은 생각으로 똘똘 뭉치는 민족성[* [[1997년 외환 위기]]때 [[금모으기 운동]]을 통해 경제적 위기를 극복한 것만으로도 똘똘 뭉치는 민족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우리나라는 어려울 때일수록 서로가 같은 생각으로 똘똘 뭉쳐 위기를 극복하는 "한마음" 정신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 한 조사기관에서 한국 갈등지수가 세계 1위라는 조사결과가 발표된 것[[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185163|관련 기사(링크)]]처럼 지금 우리나라는 성별, 세대,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부분에서 심각한 대립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한마음 정신은 대부분 사라졌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마도 이 아파트가 한마음 정신을 상징하는 흔적으로 작용되었더고 할 수 있다.] 여행으로 지친 심신을 모두가 같은 마음으로 달래준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사회의 여러 부분에서 한마음 정신이 사라지고 있지만[* 다만. 이는 각자가 가진 취미,특기나 각자가 처한 상황를 비롯한 생활 방식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으며, 주로 등산이나 여행이 취미인 사람들은 한마음 정신을 많이 느끼지만, 정당가입이나 집회,시위 등 정치적인 활동을 주로 한다면 한마음 정신은 사라졌다고 느껴질 것이다.] 이 아파트 외벽의 "덕일 한마음" 글차체나 전반적인 디자인을 보면 [[1980년대]] 중후반에 지어진 아파트처럼 느껴진다.[* 현재 이 아파트 도색은 촤근 트랜드를 반영하여 바뀌었고, 옛날 느낌이 드는 "덕일 한마음" 글자체도 사라졌다.][* 특히. 이 아파트가 도심이 아닌 농촌지역에 위치한 영향으로 [[MZ 세대]]들의 어머니,아버지 세대들이 어렸을 적에 살던 시골풍경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 특징 및 시설 == 네이버 부동산의 단지 정보에 따르면, 현재까지도 개별난방과 LPG 방식으로 난방을 히고 있는 아파트이다. === 주민 시설 === 단지 내 어린이집이 4곳(기린,아이누리,동화속,우리)이나 있다. === 상업 시설 === 아파트 주위로 [[GS25]]편의점이 두 곳[* 아포중앙점과 아포덕일점]이나 있으며, 한지2길을 건너면 카페와 빵집을 비롯한 다양한 상업시설들이 밀집한 곳이 나온다. == 주변 환경 == === 교통 === 아파트 앞으로 [[구미 버스 53, 553|53, 553번]]을 비롯하여 김천과 구미를 오갈 수 있는 다양한 노선의 버스를 탈 수 있는 버스정류장이 있다. === 교육 === * [[아포초등학교]] * [[아포중학교]] *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