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악기도설.jpg]] [목차] == 개요 == 握奇圖說. [[조선]] [[정조(조선)|정조]] 시기의 무신인 양완(梁垸, 1744년 ~ 1816년)이 말년에 지은 [[한국]]의 [[병서]]. 총 2권 2책이며, 현재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악기도설 일부십이중산립도.jpg]] 악기도설에 등장하는 [[전차]], [[기병]], [[보병]]을 이용한 진도의 일종인 일부십이중산립도. 車는 전차, 큰 동그라미는 기병, 작은 동그라미는 보병을 의미한다. 보병간의 거리는 2보, 기병 간의 거리는 4보 그리고 각 층의 병력이 배치되고 그 나머지 공간은 30보, 각 층의 3 부대 간의 거리는 10보 그리고 각 측 간의 거리는 자연히 50보를 유지하는 진법이다. [[파일:악기도설 차설목옥녹각도.jpg]] 악기도설에 등장하는 당시의 녹각 전차 조선 정조 시기 경상좌수사를 지냈고 훗날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을 무찌른 [[양헌수]] 장군의 [[할아버지]]가 되는 양완이 말년에 저술한 병서로, 당시까지 전해오던 여러 다양한 [[진법]] 및 전차 운용 방법을 논한 것이다. 진법에 대해 다룬 상편과 전차 이용 전투의 절차 등에 대해 다룬 하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당시의 전차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사용되는 현대의 전차와는 다른 개념으로, 전투 순간에는 제자리에 멈춰두고 기병 돌격을 막는 장애물 내지 방호벽으로 이용되는 기동형 대기병 병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악기도설에 등장하는 양완의 전차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끌거나 미는 방식의 수레지만, 필요할 경우에는 전차를 직접 돌격시켜 적 진형을 무너뜨리는 방식도 고려하여 구상한 것으로, 이를 토대로 만든 양완의 진법은 현대의 기갑 전술처럼 전차를 공격적으로 운용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다. 기존 [[중국]]이나 한국의 전차진과는 달리 현대전의 전술이론이 녹아들어가 있는 고전 병서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속병장도설]], [[병학지남]], [[이진총방]], 연병실기, [[융원필비]], [[병학통]] 등의 다른 병서들과 함께 한국의 고전 진법 체계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 외부 링크 == * [[http://citrain64.blog.me/100144161131|[우리나라 병서(兵書)] 악기도설(握奇圖說)]]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32374&cid=49339&categoryId=49339|문화원형백과 : 악기도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32289&cid=62032&categoryId=62032|양헌수 장군이 들려주는 병인양요 이야기 : 악기도설]] [[분류:조선의 병서]][[분류:전쟁기념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