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 [목차] == [[유희왕/OCG]]의 함정 카드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abyrinthofNightmare-EE2-JP-C.jpg|width=400]] ||<:>한글판 명칭||'''악몽의 미궁'''|| ||<:>일어판 명칭||'''悪夢の迷宮'''|| ||<:>영어판 명칭||'''Labyrinth of Nightmare'''|| ||<-2><:>지속 함정|| ||<-2>각 턴의 엔드 페이즈시, 턴 플레이어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2>'''후후후...... 출구가 없는 미궁을 영원히 헤매도록 해라! 함정 카드 악몽의 미궁!!'''' - 듀얼링크스에서 미궁형제 전용 대사|| 국내에선 [[천공의 성역(부스터 팩)|천공의 성역]]에서 발매된, '''엔드 페이즈시''' 앞면 수비 표시면 앞면 공격 표시로, 앞면 공격 표시면 앞면 수비 표시로 변경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 기본적으로는 표시 형식이 변경되면 효과를 발동하는 [[블레이드 래빗]] 등의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바꾸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엔드 페이즈에야 표시 형식이 변경되므로 소환하는 즉시 표시 형식을 바꾸는 [[스텀블링]]에 비하면 즉효성과 수비 능력은 떨어지지만 자신의 공격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차별점은 있다. 가장 상성이 좋은것은 수비력이 시궁창인 주제에 제멋대로 수비 표시가 되어버리는 [[고블린의 돌격 부대]]와 같은 공격 후 수비 표시가 되는 디메리트를 보유한 몬스터들. 유사한 표시 형식 변경 디메리트를 탑재한 [[자동기계(유희왕)|자동기계]]와의 상성은 좀 애매한 편이다. [[분노 유인원]]과 [[운마물]]의 천적으로, 이 몬스터들은 앞면 수비 표시일 때 스스로 파괴되는 디메리트가 있어 소환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무조건 파괴된다. == 동명의 부스터 팩 == [[악몽의 미궁(부스터 팩)]]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