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성씨를 가진 대한민국의 직장인, rd1=안현빈)] [[안 (성씨)|안 씨]]는 한국의 성씨다. 2015년 통계청 조사에서는 685,639명이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7위를 차지했다. 본관은 순천·죽산·광주·탐진·안산·공주·안동·태원·주천·순천·지곡·수안·수원 등의 문헌에 109부가 전한다. 순흥·죽산·광주·탐진 등 4개 판본으로 구성돼 있으며 순흥 안씨가 전체 안씨 인구의 대다수를 웃돌고 있다. == 광주 안씨 == 광주 안씨의 시조인 안방걸은 고려 태조 때 광주 장군을 지냈으며, 이후 광주군에 의해 봉해졌다. 후삼국 통일 후 토성 분할에 의해 안씨(安氏)로 자신의 성을 갖게 되었다. 2015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48,033명이다 == 순흥 안씨 == 순흥 안씨의 시조인 안자미는 고려의 새 시대에 흥위보승별장을 역임하고 신호위상호군을 추대하였다. 안자미의 증손자 안향은 1260년(고려 원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충렬왕 때 도첨에 이르렀으며, 인구는 2015년 520,384명이다. 현대 인물으로는 [[안현빈]]이가 있다 == 죽산 안씨 == 죽산 안씨에는 두 가지 계통이 있다. 1대째는 안준, 안영. 안영의 증손 안정은 고려 충렬왕 때 도독을 지냈다. 안준의 7대손 안극인은 고려 공민왕의 양아버지인 정정(鄭貞)의 아버지이며, 죽성군으로 봉안되었다. 2015년 기준으로 죽산 안씨의 인구는 77,026명이다. 신죽산 안씨 시조 안원형은 고려 공민왕 때 문화중으로 활동하면서 나라에 공을 세워 죽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안원형의 손자 안노생은 1376년(고려 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태종 때 예도(禮都)와 경기도 관찰사를 지냈다. 11세손 안방준(安方,)은 효종 때 벼슬을 지낸 아들이다 == 탐진 안씨 == 탐진 안씨의 시조인 안우는 고려 공민왕 때 중서평장정사와 추충절 정란공신으로 출세하였다.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강진 안씨 15,585명, 탐진 안씨 10,513명으로 총 26,098명이다. == 안산 안씨 == 안산 안씨의 시조인 안자(安子)는 1342년(충혜왕 복위 3년) 원나라에 갈 때 왕의 공로로 이등공신이 되었고, 1347년(충목왕 3)에는 태묘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을 맡았다. 안탄대는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에 원종공신으로 등재되었다. 1507년(중종 2) 안탄대(安 and大)의 딸이 9세 때 궁녀로 뽑혀 중종의 후궁인 창빈 안씨(昌 ahn安氏)가 되었고, 외손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아들이 조상으로 즉위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안산시의 인구는 179명이다. == 공주 안씨 == 공주 안씨 또는 공주 안씨의 시조인 안익(安,)은 고려 후기에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조선이 건국되자 참찬문 하주사가 되었다. 그의 필명은 정평이다. 1447년(세종 29) 안덕손의 손자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천안군수와 형조좌랑을 지냈다. 인구는 2000년 1,678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