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집중 호흡)] [목차] == 개요 == {{{+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안개의 호흡'''}}}}}}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ruby(霞, ruby=かすみ)]の[ruby(呼, ruby=こ)][ruby(吸, ruby=きゅう)][* 발음은 '''카스미노 코큐-'''] / Mist Breathing'''}}} [[일륜도]]의 색상은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808080, 0px 1px #808080, -1px 0px #808080, 0px -1px #808080, 1px 1px #808080, 1px -1px #808080, -1px -1px #808080, -1px 1px #808080; color:#fff;display:inline-block" '''흰색'''}}}[* 애니메이션에서는 [[물의 호흡]]보다 색상이 약간 옅은 [[하늘색]]으로 칠했다.]이다. 호흡음은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후우우(フウウウウ)'''}}}[* 한국 정발판은 '후우우우욱'] 기본 계파가 아닌 [[바람의 호흡]]에서 파생된 파생 호흡이지만 작중 등장한 다른 파생 호흡들과는 비교도 안 되게 오래된, 역사가 매우 깊은 호흡이다. 1000년 전, 또는 900년 전 초기 [[귀살대]] 시기부터 존재한 [[안개]](霞)의 도술(刀術)이 400년 전 기본 다섯개 계파 호흡이 탄생한 시기에 전집중 호흡으로 변화했다. 시작의 세대 반점 소유자들을 보면 [[토키토 무이치로|무이치로]]와 닮은 반점을 가진 자가 있다. 번역하기 참 난감한 이름으로, 카스미(霞)의 호흡에서 '霞'는 보통 일출몰시의 노을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뿌옇게 흐린 것'을 나타내는 카스미(翳み)란 의미에 가까우며 보통 이런 의미에서 霞란 한자가 쓰이면 멀리 산턱에 낀 안개(霧), 아지랑이(靄), 연무(煙霧) 등을 통칭하는 문학적인 표현이 된다. 이는 보통 안개로 번역되고는 하나 霞는 문학적 수사일 뿐 기상학적인 용어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안개, 아지랑이, 연무와도 다르므로 정확하게 일대일로 대응되는 의미는 아니다. 아무래도 무이치로가 [[츠기쿠니 요리이치|해의 호흡 사용자]]의 후손[* 엄밀히 말하면 요리이치가 아닌 코쿠시보의 후손이니 방계가 된다.]이라는 점을 살리기 위해 일부러 해와 관련된 중의적인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팬북에서의 설명을 보면 대체로 짧은 연격을 수 없이 겹쳐서 퍼붓는 형태가 안개처럼 느껴지는 검술인 듯 하다. [[파일:굣코 지옥.jpg]] 지옥의 도깨비 취재편에서는 안개의 호흡에 당한 도깨비들은 하나같이 엉엉 울거나, 토로 범벅이 된 돌멩이를 보는 것 같았다고 하거나,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던가, 무이치로의 차가운 눈빛에 눈물이 나왔다고 평가한다. 아무래도 전집중 호흡에 의한 통증보다는 무이치로의 독설에 상처를 입은 듯하다. 사용자: 하주(霞柱) [[토키토 무이치로]] === 동작 === ==== 제1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壱ノ型 「[ruby(垂, ruby=すい)][ruby(天, ruby=てん)][ruby(遠, ruby=とお)][ruby(霞, ruby=がすみ)]」}}}[* 발음은 '''스이텐토오가스미'''][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1의 형 「수천원하」}}}}}}[* 수천(垂天)은 구름으로 뒤덮인 하늘을 뜻한다.][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1st Form 「Low Clouds, Distant Haz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ow_Clouds_Distant_Haze.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하늘을 향해[* 기술을 사용했을 당시에 무이치로가 머리를 아래로 하여 거꾸로 갇혀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기술한 듯, 원래대로면 정면을 향한다고 기술했을 것이다.] 자신과 수직이 되도록 칼을 찌른다. [[굣코|도깨비]]의 술법에 걸렸을 때 사용했으나, 공격이 흡수돼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출처]''' 검을 수평으로 세워 날카롭게 찌르는 기술. 굣코의 혈귀술 수옥발에 대응하여 사용했으나 물항아리의 탄성 때문에 막혔다. ==== 제2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弐ノ型 「[ruby(八, ruby=や)][ruby(重, ruby=え)][ruby(霞, ruby=かすみ)]」}}}[* 발음은 '''야에카스미'''][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2의 형 「여덟 겹 안개」}}}}}}[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2nd Form 「Eight-Layered Mist」}}}'''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ight_Layered_Mist.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여러 번에 걸쳐서 참격을 가하는 연격 기술. [[굣코|도깨비]]의 술법으로 물항아리에 갇혔을 때, 이 기술을 써서 위기를 벗어났다. 물속에서도 그 위력은 절대적이다.[*출처]''' 사방으로 단숨에 짧은 8연격의 참격을 내는 기술. ==== 제3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参ノ型 「[ruby(霞, ruby=か)][ruby(散, ruby=さん)]の[ruby(飛沫, ruby=しぶき)]」}}}[* 발음은 '''카산노시부키'''][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3의 형 「하산의 물보라」}}}}}}[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3rd Form 「Scattering Mist Splash」}}}'''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uichiro_using_Third_Form_Manga_CH120.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안개를 걷어내는 듯한 고속 회전베기. 상대의 공격을 전부 튕겨낸다.[*출처]''' 검을 안개의 물보라와 같이 휘두르는 기술로 굣코의 물고기 떼를 휘어잡았다. ==== 제4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肆ノ型 「[ruby(移, ruby=い)][ruby(流, ruby=りゅう)][ruby(斬, ruby=ぎ)]り」}}}[* 발음은 '''이류-기리'''][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4의 형 「이류 베기」}}}}}}[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4th Form 「Shifting Flow Slash」}}}'''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hifting_Flow_Slash.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0424_004447.gif|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흐르는 듯한 몸놀림으로 칼을 휘두른다. 갑자기 나타난 [[한텐구|상현 도깨비]]에게 재빨리 날린 기술.[*출처]''' 빠르게 돌진해 올려 베는 기술.돌진하면서 안개가 나온다. 작중 처음으로 나온 안개의 호흡 기술이다. ==== 제5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伍ノ型 「[ruby(霞, ruby=か)][ruby(雲, ruby=うん)]の[ruby(海, ruby=うみ)]」}}}[* 발음은 '''카운노우미'''][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5의 형 「안개 구름 바다」}}}}}}[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5th Form 「Sea of Clouds and Haz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ea_of_Clouds_and_Haze.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빠른 속도로 자잘한 연격을 넣어, 적의 공격을 절단한다. 대량의 안개가 일대를 뒤덮는 듯한 움직임이다.[*출처]''' 돌진하면서 전방위 참격을 날리는 기술. ==== 제6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陸ノ型 「[ruby(月, ruby=つき)]の[ruby(霞, ruby=か)][ruby(消, ruby=しょう)]」}}}[* 발음은 '''츠키노카쇼-'''][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6의 형 「달의 하소」}}}}}}[* [[달의 호흡]]을 쓰는 [[코쿠시보]]를 생각하면 '''복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6th Form 「Lunar Dispersing Mist」}}}'''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uichiro_using_Sixth_Form_Manga_CH120.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광범위한 부분을 안개로 감싸듯이 베어낸다. [[굣코|상대]]의 술법으로 만들어진 1만 마리의 물고기를 모조리 절단했다.[*출처]''' 높게 뛰어올라 아래방향으로 수많은 참격을 넣는 기술. ==== 제7형 ==== ||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漆ノ型 「[ruby(朧, ruby=おぼろ)]」}}}[* 발음은 '''오보로'''][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제7의 형 「몽롱」}}}}}}[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ee, 0px 1px #eee, -1px 0px #eee, 0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1px 1px #eee; color:#84c3be;display:inline-block" 7th Form 「Obscuring Clouds」}}}'''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bscuring_Clouds.png|width=100%]]}}} || || '''{{{#f70a28 원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 '''{{{#f70a28 애니메이션}}}''' || >'''동작에 대폭의 완급을 넣어서 상대를 교란시키고, 눈 깜짝할 사이에 일격을 가한다.[*출처]''' '''무이치로가 만들어낸 고유의 형.'''[* 굣코의 목을 벤, 사실상 무이치로의 필살기라 할 수 있다. 상현 1 코쿠시보도 이 기술을 보고 매우 아름다운 기술이라고 칭찬했다. 무이치로의 천재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이지만, 문제는 코쿠시보가 칭찬한 [[달의 호흡#제1형|직후...]]] 동작에 대폭의 완급을 주어 적을 교란한 후 빈틈을 노리는 기술이다. 모습을 드러낼 때에는 거북이처럼 느리게 움직이다가, 모습을 숨길 때에는 엄청나게 빠르게 대상 주변을 움직이며, 이 때의 모습이 잔상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 기술은 한가지 큰 헛점이 있는데, [[내비치는 세계|기척을 쉬이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상대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불법 번역판에서는 [[朧]]의 의미 중 '아련함'을 반영해서 '아련'이라고 번역한 탓에 '아련'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기술의 방식 및 특징을 고려해보면 '몽롱'이라고 번역하는게 맞다. [[분류:전집중 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