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북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안동시}}}}}}'''[br]{{{-1 {{{#fff [[안동시|{{{#fff 안동시}}}]][br]Ando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안동시.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68,876명 (2016)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북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안동시|{{{#000 안동시}}}]] 전역'''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 ||<-2> '''신설년도'''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 ||<-2> '''이전 선거구''' ||<-2> 안동시 갑, 안동시 을 || ||<-2> '''이후 선거구''' ||<-2> [[안동시·예천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김광림]] || [목차] [clearfix] == 개요 == 원래 안동시 갑과 안동시 을로 나뉘어 있었으나 2000년 16대 총선 당시 통합되어 [[안동시]] 전체를 관할하는 선거구로 바뀌었다. 현재는 이웃한 [[예천군]]과 함께 [[안동시·예천군]]을 이루게 되어 폐지되었다. 경북 북부답게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기는 한데 안동은 다른 지역과 좀 다른 면모가 있다. 그게 무엇인고 하니 누가 전통있는 양반 고을 아니랄까봐 특정 문중 출신 여부가 당락을 좌우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안동에서 3선을 지낸 [[권오을]] 전 의원은 초선 당시 통합민주당 소속 후보였고, [[김광림(정치인)|김광림]] 전 의원도 초선은 무소속으로 각각 신한국당, 한나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물론 이들은 후에 한나라당 소속이 되지만.] 실제로 역대 안동 출신 유력 정치인들의 면면을 보면 안동 김씨나 안동 권씨들이 상당수 존재하는게 사실이니...[* 서울에서 국회의원을 지내고 대구시장을 역임중인 [[권영진(정치인)|권영진]]의 경우도 실제 대구에서 산 기간은 시장 당선 이전에는 5년이 채 안되고[* 그래서 대구에서는 그를 안동 사람으로 인식하지, 대구 사람이라 인식하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 역시 경북 출신의 [[조해녕]], [[김범일]] 전 시장은 중고교를 모두 대구에서 졸업해 대구 사람으로 인식된다.] 유년기 대부분을 안동에서 보냈음에도 스스로 안동에 자리잡기를 거부했다. 아무래도 본인이 속한 문중의 힘 때문에 이런저런 부작용이나 외풍에 휘둘릴수 있다고 생각했다나...]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5> 역대 '''안동시'''의 국회의원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오경의]] || [include(틀: 통일민주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안동시''' || || [[류돈우]]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안동군''' || ||<|2> 제14대 || [[김길홍]] || [include(틀: 무소속)]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안동시''' || || [[류돈우]]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안동군''' || ||<|2> 제15대 || [[권오을]]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안동시 갑''' || || [[권정달]] || [include(틀: 무소속)] || '''안동시 을''' || || 제16대 ||<|2> [[권오을]] ||<|2> [include(틀: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5> '''안동시''' || || 제17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제18대 ||<|3> [[김광림(정치인)|김광림]] || [include(틀: 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김형동]]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안동시'''·예천군 || * 안동시 갑 :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중구동, 명륜동, 옥률동, 신흥동, 용성동, 동남동, 대흥동, 대신동, 태화동, 안막동, 송천동, 강남동 * 안동시 을 : 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남후면, 도산면, 녹전면, 당북동,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 안동시, 안동군 (13~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권중동|{{{#373a3c,#dddddd 권중동}}}]](權重東) || 21,854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1.73% || 낙선 || ||<|2> {{{#ffffff {{{+5 '''2'''}}}}}} || '''[[오경의|{{{#373a3c,#dddddd 오경의}}}]](吳景義)''' || '''23,258''' || '''1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44.41%'''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김노식|{{{#373a3c,#dddddd 김노식}}}]](金魯植) || 6,545 || 3위 || || [include(틀: 한겨레민주당)] || 12.49%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김성현(金聖顯)}}} || 705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1985년))] || 1.3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5,251 ||<|3> '''투표율'''[br]81.02% || || '''투표 수''' || 52,864 || || '''무효표 수''' || 502 || 민정당 텃밭이라는 이점에 문중 파워까지 안고 있던 권중동 후보의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선거 이틀 전 권 후보 측에서 금품을 살포한 사실이 포착되면서 여론이 급변했고[* 민정당에서는 권중동 후보에 대한 제명까지 논의되었으나 실제 제명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개표 결과 통일민주당 오경의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벌어졌다.[* 참고로 이걸 [[MBC 뉴스]]에 보도한 사람이 나중에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17대 대선]]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로 출마하게 되는 '''[[정동영]]'''이다.] ||<-4> {{{#ffffff {{{+1 '''안동군'''}}}}}}[br]{{{#ffffff 안동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류돈우|{{{#373a3c,#dddddd 류돈우}}}]](柳惇佑)''' || '''29,230'''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1.66%'''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정석교(鄭析敎)}}} || 4,729 || 4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8.35% || 낙선 || ||<|2> {{{#373a3c {{{+5 '''3'''}}}}}} || {{{#373a3c,#dddddd 김재환(金在煥)}}} || 1,212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2.14% || 낙선 || ||<|2> {{{#ffffff {{{+5 '''4'''}}}}}} || [[김시명|{{{#373a3c,#dddddd 김시명}}}]](金時明) || 12,860 || 2위 || || [include(틀: 신민주공화당)] || 22.73% || 낙선 || ||<|2> {{{#ffffff {{{+5 '''5'''}}}}}} || [[박해충|{{{#373a3c,#dddddd 박해충}}}]](朴海充) || 8,54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1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8,249 ||<|3> '''투표율'''[br]84.20% || || '''투표 수''' || 57,480 || || '''무효표 수''' || 905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경의|{{{#373a3c,#dddddd 오경의}}}]](吳景義) || 16,182 || 3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7.77% || 낙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김성현(金聖顯)}}} || 1,461 || 5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2.50% || 낙선 || ||<|2> {{{#FFFFFF {{{+5 '''3'''}}}}}} || [[권중동|{{{#373a3c,#dddddd 권중동}}}]](權重東) || 16,94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9.08% || 낙선 || ||<|2> {{{#FFFFFF {{{+5 '''4'''}}}}}} || '''[[김길홍|{{{#373a3c,#dddddd 김길홍}}}]](金吉弘)''' || '''20,950'''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5.95%''' || '''당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김창환(金昌煥)}}} || 2,723 || 4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4.6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3,216 ||<|3> '''투표율'''[br]80.30% || || '''투표 수''' || 58,799 || || '''무효표 수''' || 535 || 민자당에서 민주계 출신인 현역 오경의 의원을 공천하자 이에 반발한 민정계 주자들이 줄줄이 무소속으로 출마하였고, 개표 결과 민정계 무소속 후보가 1, 2위를 차지하였다. ||<-4> {{{#ffffff {{{+1 '''안동군'''}}}}}}[br]{{{#ffffff 안동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류돈우|{{{#373a3c,#dddddd 류돈우}}}]](柳惇佑)''' || '''24,000'''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2.83%'''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권혁구(權赫求)}}} || 4,764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0.48% || 낙선 || ||<|2> {{{#ffffff {{{+5 '''3'''}}}}}} || [[김시명|{{{#373a3c,#dddddd 김시명}}}]](金時明) || 16,658 || 2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36.6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8,640 ||<|3> '''투표율'''[br]79.40% || || '''투표 수''' || 46,544 || || '''무효표 수''' || 1,122 || === 안동시 갑/을 ([[96총선|15대]]) === ==== 안동시 갑 ==== ||<-4> {{{#ffffff {{{+1 '''안동시 갑'''}}}}}}[br]{{{#ffffff ,,중구동, 명륜동, 옥률동, 신흥동, 용성동, 동남동, 대흥동, 대신동, 태화동, [br]안막동, 송천동, 강남동,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길홍|{{{#373a3c,#dddddd 김길홍}}}]](金吉弘) || 16,462 || 2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3.10% || 낙선 || ||<|2> {{{#ffffff {{{+5 '''2'''}}}}}} || '''[[권오을|{{{#373a3c,#dddddd 권오을}}}]](權五乙)''' || '''19,749''' || '''1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39.71%''' || '''당선''' || ||<|2> {{{#ffffff {{{+5 '''3'''}}}}}} || [[강감창|{{{#373a3c,#dddddd 강감창}}}]](姜邯昌) || 2,329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68% || 낙선 || ||<|2> {{{#FFFFFF {{{+5 '''4'''}}}}}} || [[김노식|{{{#373a3c,#dddddd 김노식}}}]](金魯植) || 11,18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2.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9,770 ||<|3> '''투표율'''[br]73.80% || || '''투표 수''' || 51,466 || || '''무효표 수''' || 1,741 || ||<-8> {{{#ffffff '''15대 총선 안동시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신한국당)]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길홍|{{{#ffffff 김길홍}}}]] || [[권오을|{{{#ffffff '''권오을'''}}}]] || [[김노식|{{{#ffffff 김노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16,462 [br] (33.10%)''' || {{{#ffffff '''19,749 [br] (39.71%)'''}}} || '''11,185 [br] (22.49%)''' || '''- 3,287 [br] (▼6.61)''' || '''51,446 [br] (78.00%)''' || || '''중구동''' || 36.13% || {{{#009d68 39.01%}}} || 19.40% || ▼2.88 || || || '''명륜동''' || 31.05% || {{{#009d68 43.04%}}} || 20.09% || ▼11.99 || || || '''옥율동''' || {{{#003990 '''44.23%'''}}} || 34.35% || {{{#696969 17.88%}}} || △9.88 || || || '''신흥동''' || 35.00% || {{{#009d68 37.78%}}} || 22.63% || ▼2.78 || || || '''용성동''' || 31.62% || {{{#009d68 42.74%}}} || 20.33% || ▼11.62 || || || '''동남동''' || {{{#003990 39.76%}}} || 36.38% || 18.99% || △3.38 || || || '''대흥동''' || 36.59% || {{{#009d68 39.94%}}} || 19.76% || ▼3.35 || || || '''대신동''' || 32.44% || {{{#009d68 41.68%}}} || 21.13% || ▼9.24 || || || '''태화동''' || 30.08% || {{{#009d68 43.69%}}} || 22.08% || ▼13.61 || || || '''안막동''' || 33.43% || {{{#009d68 42.36%}}} || 19.56% || ▼8.93 || || || '''송천동''' || {{{#003990 42.90%}}} || 36.27% || 18.19% || △6.63 || || || '''강남동''' || 36.99% || {{{#009d68 40.69%}}} || 18.60% || ▼3.70 || || || '''일직면''' || {{{#003990 37.74%}}} || 36.72% || 20.37% || {{{#696969 △1.02}}} || || || '''남선면''' || 27.67% || {{{#009d68 '''45.56%'''}}} || 23.27% || '''▼17.89''' || || || '''임하면''' || {{{#003990 39.58%}}} || 31.00% || 23.19% || △8.58 || || || '''길안면''' || {{{#696969 25.45%}}} || {{{#696969 27.85%}}} || {{{#808080 '''43.51%'''}}} || ▼15.66 || || || '''임동면''' || 30.11% || {{{#009d68 41.79%}}} || 23.31% || ▼11.68 || || || '''예안면''' || 30.16% || {{{#009d68 35.78%}}} || 29.02% || ▼5.62 || || '''15대 총선 TK 지역 최대 이변의 지역구.''' 지역 특유의 보수성향 때문에 그래도 여당 프리미엄이 있는 [[신한국당]] 김길홍 후보가 우세할 것으로 점쳐졌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안동 권씨]] 문중의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권오을 후보가 당선되면서 "안동은 성향보다 문중"이라는 인식이 박히게 되었다. ~~근데 [[권오을]] 의원은 보수정당인 [[한나라당]] 창당에 합류했다.~~여기에 친여 무소속인 [[김노식]] 후보가 反YS 성향의 지역 표심을 상당 부분 잠식한 요소도 판세에 크게 작용하였다.[* 참고로 김길홍 후보는 의성 김씨, 김노식 후보는 광산 김씨 출신이다.] 참고로 여기서 [[자민련]] 후보로 출마한 [[강감창]] 후보는 낙선 후 지역 기반을 다시[* [[1회 지선]]에서도 똑같이 [[자민련]] 후보로 [[송파구 제4선거구]]에 출마했다가 떨어진 적이 있다.] [[송파구]]로 옮겨 3선 [[서울시의원]]을 지내게 된다. ==== 안동시 을 ==== ||<-4> {{{#ffffff {{{+1 '''안동시 을'''}}}}}}[br]{{{#ffffff 당북동,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풍산읍, [br]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남후면, 도산면, 녹전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류돈우|{{{#373a3c,#dddddd 류돈우}}}]](柳惇佑) || 15,134 || 2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1.56% || 낙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강병철(姜秉哲)}}} || 916 || 6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1%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신종철(申鍾轍)}}} || 2,008 || 4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4.18% || 낙선 || ||<|2> {{{#ffffff {{{+5 '''4'''}}}}}} || [[김시명|{{{#373a3c,#dddddd 김시명}}}]](金時明) || 3,024 || 3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6.30% || 낙선 || ||<|2> {{{#FFFFFF {{{+5 '''5'''}}}}}} || '''[[권정달|{{{#373a3c,#dddddd 권정달}}}]](權正達)''' || '''24,516'''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1.13%''' || '''당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권태윤(權泰尹)}}} || 378 || 7위 || || [include(틀: 무소속)] || 0.78%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정석교(鄭析敎)}}} || 1,965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4.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5,910 ||<|3> '''투표율'''[br]75.05% || || '''투표 수''' || 49,440 || || '''무효표 수''' || 1,499 || 갑 선거구와 마찬가지로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에 대한 반감에서 나타난 소위 'TK 정서'가 발현되면서 5공 실세 출신인 무소속 [[권정달]] 후보가 압승하였다. === 안동시 (16대~20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1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권오을|{{{#373a3c,#dddddd 권오을}}}]](權五乙)''' || '''43,99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6.21%''' || '''당선''' || ||<|2> {{{#ffffff {{{+5 '''2'''}}}}}} || [[권정달|{{{#373a3c,#dddddd 권정달}}}]](權正達) || 36,183 || 2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38.01%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강성용(姜聲龍)}}} || 7,622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8.00% || 낙선 || ||<|2> {{{#FFFFFF {{{+5 '''4'''}}}}}} || [[김명호(1960)|{{{#373a3c,#dddddd 김명호}}}]](金明浩) || 7,38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7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6,868 ||<|3> '''투표율'''[br]70.45% || || '''투표 수''' || 96,424 || || '''무효표 수''' || 1,24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1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권오을|{{{#373a3c,#dddddd 권오을}}}]](權五乙)''' || '''50,470'''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61.6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김윤한|{{{#373a3c,#dddddd 김윤한}}}]](金允漢) || 1,319 || 5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1.61% || 낙선 || ||<|2> {{{#000000 {{{+5 '''3'''}}}}}} || {{{#373a3c,#dddddd 김승년(金勝年)}}} || 23,202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8.32%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김원철(金源喆)}}} || 1,620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7%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김태영(金泰永)}}} || 5,314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6.4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4,243 ||<|3> '''투표율'''[br]61.93% || || '''투표 수''' || 83,138 || || '''무효표 수''' || 1,213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2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허용범|{{{#373a3c,#dddddd 허용범}}}]](許容範) || 27,892 || 2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34.67% || 낙선 || ||<|2> {{{#ffffff {{{+5 '''3'''}}}}}} || [[김윤한|{{{#373a3c,#dddddd 김윤한}}}]](金允漢) || 1,568 || 4위 || || [include(틀: 자유선진당)] || 1.94% || 낙선 || ||<|2> {{{#ffffff {{{+5 '''6'''}}}}}} || [[장대진|{{{#373a3c,#dddddd 장대진}}}]](張大鎭) || 10,029 || 3위 || || [include(틀: 친박연대(2008년))] || 12.46%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김구한(金求漢)}}} || 991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23% || 낙선 || ||<|2> {{{#FFFFFF {{{+5 '''8'''}}}}}} || '''[[김광림(정치인)|{{{#373a3c,#dddddd 김광림}}}]](金光琳)''' || '''39,968'''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9.68%'''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33,439 ||<|3> '''투표율'''[br]61.15% || || '''투표 수''' || 81,598 || || '''무효표 수''' || 1,150 || [[한나라당]]은 현역 [[권오을]] 의원을 컷오프하고 '''[[친박]]인'''[* 이게 중요한데, 18대 총선에서 영남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낙선한 경우는 대부분 친박 공천학살에 대한 반발이었지만 이 지역구는 그것도 아니었다는 거다.] [[허용범]] 후보를 공천했는데, 문제는 그가 지역의 유력 가문 출신이 아니라는 점이었고, 결국 '''[[안동 김씨]]'''인 [[김광림(정치인)|김광림]] 전 재경부 차관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허용범 후보를 15%P의 큰 표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안동에서는 보수정당 공천보다도, 박근혜와의 관계보다도, 문중이 제1변수라는 걸 다시금 확인시킨 사례가 되겠다(...). 이후 허용범 후보는 --김씨나 권씨로 태어나지 않은 걸 원망하며-- [[동대문구 갑]]으로 옮겨 국회의원에 꾸준히 재도전하고 있으나 이곳에서도 아직까지 별 재미는 보지 못하고 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2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광림|{{{#373a3c,#dddddd 김광림}}}]](金光琳)''' || '''63,56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82.49%''' || '''당선''' || ||<|2> {{{#3AB34A {{{+5 '''2'''}}}}}} || {{{#373a3c,#dddddd 이성노(李省魯)}}} || 13,490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17.5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5,962 ||<|3> '''투표율'''[br]57.76% || || '''투표 수''' || 78,525 || || '''무효표 수''' || 1,474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동시(선거구)|{{{#ffffff {{{+1 '''안동시'''}}}}}}]][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2 옥동,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남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광림|{{{#373a3c,#dddddd 김광림}}}]](金光琳)''' || '''55,120'''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8.66%'''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이성노(李省魯)}}} || 12,878 || 2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16.04%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박인우(朴仁雨)}}} || 12,275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15.2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9,956 ||<|3> '''투표율'''[br]58.59% || || '''투표 수''' || 81,988 || || '''무효표 수''' || 1,715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현역 [[김광림(정치인)|김광림]]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며 [[미래통합당]]의 경선이 매우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등록한 예비후보가 [[권택기]] 전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명호(1960)|김명호]] 전 경상북도의원, 박재웅 전 바른미래당 경북도당위원장, [[안형진]] 변호사, 권정욱 청와대 부속비서관실 선임행정관, 김상돈 전 자유한국당 중앙당 부대변인 등 무려 6명이다. 하지만 공관위에서 예비후보들을 배제하고 급작스럽게 [[김형동]] 한국노총 중앙법률원 부원장을 전격 전략 공천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삼걸]] 전 [[행정안전부]] 차관이 나서고, [[권오을]] 전 의원도 무소속으로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인근 [[예천군]]과 함께 [[안동시·예천군]] 선거구로 통합 획정되었다. 이것은 안동시 인구가 단독 선거구 인구에 못 미쳤기 때문이 아니라[* [[김천시]]의 경우 안동시보다 인구가 더 적은데도 21대 총선에서도 [[김천시(선거구)|단독 선거구]]로 획정되었다.], [[경상북도청신도시]]가 [[안동시]] [[풍천면]], 예천군 [[호명면]]에 걸쳐 있다 보니 안동시와 예천군을 같은 [[선거구]]로 해 달라는 지역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안동 - 예천 간 행정구역 통합의 포석으로 보기도 한다.] [[분류:폐지된 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북도의 정치]][[분류:안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