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OpenAI)] ||<-2> '''{{{+1 안드레 카파시}}}[br]Andrej Karpathy'''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8DA9527-9E31-42A0-9787-E7AA476AAA86.jpg|width=100%]]}}}|| || '''본명''' ||안드레 카파시 (Andrej Karpathy)[* 실제 영어 발음은 “앤드레 카파띠”에 가깝다.] || ||<|2> '''출생''' ||[[1986년]] [[10월 23일]] ([age(1986-10-23)]세)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 '''직업''' ||[[컴퓨터과학|컴퓨터 과학자]],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 '''현직''' ||[[OpenAI]] {{{-2 (연구원)}}}[br] || || '''학력''' ||[[토론토 대학교]] {{{-2 (컴퓨터과학, 물리학 / 학사)}}}[br][[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2 (물리학 / 석사)}}}[br][[스탠퍼드 대학교]] {{{-2 (컴퓨터과학 / 박사)}}}[* [[페이페이 리]]의 지도 하에 [[자연 언어 처리]], [[컴퓨터 비전]] 등을 수련했다. 2016년 9월 졸업.]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arpathy, 크기=24)] | [[https://m.youtube.com/@AndrejKarpath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안드레 카파시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데이터|데이터셋]]의 압축으로 데이터를 매우 효과적으로 다루어,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테슬라 오토파일럿|테슬라]]가 업계 선두를 달리는 데에 큰 공헌을 한 인물이다. 시스템 단순화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다. 초기 [[컴퓨터 비전]] 인식을 위해서는 직원들이 일일이 사물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라벨링하는 과정을 거쳤던 반면[* A는 차량, B는 자전거, C는 사람...], 예측이나 경로설계 향상 등을 위해서 수집하는 막대한 실제 주행 데이터 중에서는 특별한 이벤트[* 근처 차량이 차선을 변경한다든지 동물이나 사람이 포착된다든지.]가 발생한 부문 등을 위주로만 잡아내어 이를 반복 학습시키며 라벨링 자동화 비율이 높아졌다. [[딥러닝]] 모델에 데이터를 넣어 간소화 후 저장한다든가, [[라이다]] 등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센서]]를 없애서 분류하기 힘들어질 정도로 섞이는 데이터를 모으지 않아 노이즈와 엔트로피를 줄이는 등의 행위를 함으로서 알차고 간소화된 데이터를 중요시한다. 특히 같은 타입의 센서여도 해당 센서의 버전과 제조사별로 규격이 전부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생성 패턴이 각각 다르고 [[SQL]]상에 부하가 생기며 이로 인해 데이터 엔진에 큰 부담이 가기에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나 큰 비용이 발생한다고 한다. 즉, 현재 테슬라가 타사들과 다른 방식의 자율주행 개발 방식을 택하는 것에는 앤드류 카파시의 영향이 매우 컸다. == 생애 == 학창 시절, 토론토로 이민을 와 캐나다 국적을 취득했다. 토론토 대학에서 [[제프리 힌튼]] 교수의 수업을 듣고, [[딥러닝]]에 빠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스탠퍼드에서 [[페이페이 리]]의 지도를 받으며 박사 과정을 거쳤고, 특히 CS231n이라는 [[인공신경망|CNN]] 강의에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혔다. 2017년까지 [[OpenAI]] 창업 멤버로 합류하여 연구원으로 활동한다. 이후 [[테슬라]]로 이직한 뒤, 인공지능 총괄자로 일하며 [[테슬라 오토파일럿]] 팀을 이끈다.[* 당시에 [[일론 머스크]]는 [[OpenAI]] 경영진과 마찰이 생겨 이사회에서 사임한 상태였는데, 이후 독자적인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테슬라 오토파일럿 팀에 힘을 실어주는 과정에서 OpenAI의 핵심 인재였던 카파시를 헤드헌팅한 것이다. 이후 카파시는 테슬라에서 인공지능 기술력을 유의미하게 끌어올리며 해당 스카우팅은 신의 한 수가 되었다.] 2023년, OpenAI로 다시 복귀했다. 테슬라에서는 기술적인 업무보단 관리자, 최종 결정자로서 직무를 수행했고, 본업인 컴퓨터 과학자로서의 연구를 재개 하기 위해서 퇴사했다고 한다. 이제는 오토파일럿 팀이 본인 없이도 잘 돌아가고, [[AGI]]에 집중하고 싶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테슬라의 [[로봇공학|옵티머스]]를 칭찬하며, 향후 복귀할 가능성도 열어 두었다. == 여담 == * [[오픈소스]]와 교육을 통한 [[딥러닝]] 대중화에 관심이 많다. 2020년 4월, [[깃허브]]에다 Tiny Autograd Engine[* [[텐서]] 연산에 대해 자동 미분을 제공하는 [[PyTorch]]의 엔진]인 Micrograd를 공개했다.[* [[조지 호츠]]가 2022년에 선보인 [[머신러닝]] [[라이브러리]] tiny grad가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트랜스포머]] 방식의 [[인공지능]] 개발에 한계점을 느낀 것으로 추정된다. [[신경과학]]을 통해 인간의 것들을 모방하면서 적용해보는 방식으로 새로운 것을 시도해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류:Open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