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련 육군 독립기계화군 사령관)] ---- || '''{{{#ffe400 안드레이 게트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 장성급 지휘관)]}}}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5대 독립기계화군 사령관[br]{{{+1 안드레이 라브렌티예비치 게트만}}}[br]Андрей Лаврентьевич Гетман[br]Andrey Lavrentievich Getm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드레이 게트만.jpg|width=100%]]}}} || ||<|2> '''출생''' ||[[1903년]] [[10월 5일]][* 구력: [[9월 22일]]] || ||[[러시아 제국]] 쿠르스크현 클레팔리 마을[br](現 [[우크라이나]] [[수미주]] 부린스키구 클레팔리 마을) || ||<|2> '''사망''' ||[[1987년]] [[4월 8일]] (향년 83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5대 독립기계화군 사령관 || ||[[1956년]] [[1월 17일]] ~ [[1958년]] [[4월 1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올가 이바노브나 게트만[* [[의사]]] || || '''자녀''' ||아들 아나톨리[* [[군인]]][br]딸 엘비나 || ||<|4> '''복무''' ||[[노농적군]] || ||[[1924년]] ~ [[1946년]] || ||[[소비에트 지상군]] || ||1946년 ~ [[1987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소비에트 지상군)}}} || || '''병과''' ||[[보병]] → [[기갑]] || || '''주요 참전''' ||[[하산 호 전투]][br][[할힌골 전투]][br][[독소전쟁]] || || '''주요 서훈''' ||[[10월 혁명 훈장]][br][[레닌훈장]] (5회)[br][[소비에트 연방 영웅]][br][[수보로프 훈장]] 2등급[br][[적기훈장]] (6회)[br][[적성훈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군인]]. == 생애 ==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4년제 시골 학교를 졸업한 뒤 [[설탕]] 공장과 [[기차역]]에서 4년 정도 근무했다. 1924년 10월 노농적군에 징집돼 우크라이나 군관구 제44소총사단에서 복무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하산 호 전투]], [[할힌골 전투]] ==== 1938년 5월 제31기계화여단 참모장으로 임명돼 8월 하산 호 전투에 참전했다. 1939년 9월부터 제1적기군 제2기계화여단 부여단장을 역임하며 할힌골 전투를 지휘했다. ==== [[독소전쟁]] ==== 1941년 8월 15일, [[보로실로프그라드]] 내 제112전차사단장으로 임명돼 [[모스크바 공방전]]을 지휘했다. 칼루가 공세 이후 기동부대를 지휘한 뒤 제112전차사단은 제112전차여단으로 감축됐다. 1942년 4월, 게트만은 제6전차군단장을 역임하며 [[쿠르스크 전투]]를 치렀으며 1943년 10월 경 제6전차군단 제11근위전차군단으로 개명됐다. [[베를린 공방전]] 종료와 함께 게트만은 제1근위전차군 부사령관으로 임명됐다. 종전까지 그의 이름은 [[이오시프 스탈린]] 최고사령관의 공로감사문에서 20번 정도 언급됐다. === 전후 === 기갑부대 사령관을 역임한 뒤 1965년 5월 7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과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게트만의 전우 [[아마자습 바바자냔]]이 직접 훈장을 달아줬다.] 1972년 1월부터 소련 국방부 감찰단 [[고문(직위)|고문]]으로 근무하다 1987년 4월 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진급 이력 == * 1942년 5월 30일: [[소장(계급)|기갑소장]] * 1943년 8월 21일: [[기갑중장]] * 1953년 8월 3일: [[상장(계급)|기갑상장]] * 1964년 4월 13일: [[대장(계급)|대장]] [[분류:1903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수미주 출신 인물]][[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소련의 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소련 최고회의 5기 연방평의회 위원]][[분류:소련 최고회의 6기 연방평의회 위원]][[분류:소련 최고회의 7기 연방평의회 위원]][[분류:소련 최고회의 8기 연방평의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1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대영제국 훈장 남성 2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