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가수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소련|{{{#ffd700 소비에트 연방 제10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br]{{{#ffd700 {{{+1 안드레이 안드레예비치 그로미코}}}[* 벨라루스어로는 안드레이 안드레예비치 흐라미카(Андрэ́й Андрэ́евіч Грамы́ка)][br]Андрей Андре́евич Громы́ко[br]Andrei Andreyevich Gromik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Андре́й_Андре́евич_Громы́ко_01.jpg|width=100%]]}}} || ||<|2> '''출생''' ||[[1909년]] [[7월 18일]] || ||[[러시아 제국]] 모길료프현 고멜군 스타리예 그로미키[br](現 [[벨라루스]] [[호멜|호멜주]] 스타리야 흐라미키)|| ||<|2> '''사망''' ||[[1989년]] [[7월 2일]] (향년 79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주]] || || '''묘소''' ||러시아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10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85년]] [[7월 2일]] ~ [[1988년]] [[10월 1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안드레이 마트베예비치 그로미코[br][[어머니]] 올가 예브게니예브나 베카레비치 || || '''배우자''' ||리디아 드미트리예브나 그리네비치 || || '''자녀''' ||아들 아나톨리 안드레예비치 그로미코[br]딸 에밀리아 안드레예브나 피라도바 || || '''학력''' ||민스크 농업대학[br]벨라루스 국가경제연구소[* 지금의 벨라루스 주립경제대학.] {{{-2 (경제학 / 박사)}}} || || '''종교''' ||[[무종교]] {{{-2 ([[무신론]])}}} || || '''소속 정당''' ||[include(틀:소련 공산당)] || || '''주요 서훈''' ||[[사회주의노력영웅]] (2회)[br][[레닌훈장]] (7회)[br]조국전쟁훈장 (1등급)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외교관]], [[정치인]]이자 제10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57년]]부터 [[1985년]]까지의 소련의 [[외무장관]]으로써 재임하였다. 상대국인 [[미국]]의 [[대통령]] 7명, [[국무장관]] 9명[* 존 덜레스(1953-1959), 크리스챤 허터(1959-1961), 딘 러스크(1961-1969), 윌리엄 로저스(1969-1973), 헨리 키신저(1973-1977), 사이런스 반스(1977-1980), 에드먼드 머스키(1980-1981), 알렉산더 헤이그(1981-1982), 조지 슐츠(1982-1989).]을 상대할 만큼 장기간 동안 재임했으며, 냉전 시기 소련 외교를 대표하던 1인자로, 소련 외교사를 다룰 때 반드시 언급되는 인물이다. == 생애 == 1909년 [[러시아 제국]] 모길료프현에 속해있던 고멜군[* 현 [[벨라루스]] 호멜 주 벳카 구]의 스타리야 흐라미키에서 농부인 안드레이 마트베예비치 그로미코[* 벨라루스어로는 안드레이 마츠베예비치 흐라미카(Андрэй Мацвеевіч Грамы́ка).]와 올가 예브게니예브나 베카레비치[* 벨라루스어로는 볼하 야우헤나우나(Вольга Яўгенаўна)]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민스크 농업대학을 거쳐 1931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고, 1936년에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소련 과학원의 경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1939년 외무인민위원회로 자리를 옮긴다. 주미 소련 대사관에서 근무[* [[이오시프 스탈린|강철의 대원수]]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바텐더]]가 직접 임명했다. 이 때 스탈린을 처음으로 직접 봤다고.]하면서 본격적인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그로미코가 주미 대사관에서 일하던 시기 소련은 '''[[독소전쟁|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던 상황이었다. [[미국인]]들과 미국 정계가 소련은 이내 무너질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었을 때 그로미코는 소련이 [[모스크바 전투|시련을]] [[스탈린그라드 전투|이겨낼]] [[쿠르스크 전투|것이라며]] 연합국의 협력을 독려하며 소련의 상황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데 주력하였다. [[테헤란 회담]],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등에도 참석하였다. 1947년 1월 외무성 부상에 임명되었으며, 1949년 3월 외무성 제1부상으로 승진하였다. 1952년 6월 외무성 부상 겸 주영대사에 임명되어 8월에 신임장을 제정하고 8개월 정도 있다가 1953년 4월에 귀국하여 다시 외무성 제1부상을 맡았다. 1952년 10월 19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고, 1956년 2월 20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57년 2월 15일 소련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어 1985년까지 재임하면서 사실상 냉전 후반기 소련 외교를 이끌었다. 특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집권 이후 1970년대에는 [[데탕트]]를 주도하면서 미국과 소련 양국이 [[전략무기제한협정]](SALT)에 서명하도록 이끌어내어 냉전 완화에 기여하기도 했다. [[1985년]] 소련 서기장 [[콘스탄틴 체르넨코]]가 사망하자 그로미코는 개혁파의 기수인 젊은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지지했다. 서기장에 취임한 고르바초프는 1985년 7월 27일 그로미코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소비에트 연방의 명목상 [[국가원수]])에 임명했다. 이는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그로미코의 지지에 대한 보답이었지만, 동시에 서방국가들에 보다 유화적인 외무장관으로 교체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실제로 그로미코의 후임으로 취임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 맞게 보다 유화적인 외교노선을 보여주었다.] 1988년 10월 1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으로 취임하면서 은퇴한 그로미코는 회고록을 집필했으며, 1989년 7월 2일에 사망했다. [[분류: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분류:소련 제1부총리]][[분류:소련 외무장관]] [[분류:소련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분류:소련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정치국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정치국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6기 정치국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7기 정치국 위원]][[분류:1909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소련의 대사]][[분류:호멜 주 출신 인물]][[분류:사회주의노력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