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The Andromeda Strain'''}}} [목차] ||<:><-5>
<#8A2BE2>'''[[성운상|{{{#FFFFFF 역대 성운상 시상식}}}]]''' || ||<:><-5><#FFFFFF,#191919>[[파일:seiunprize.jpg|width=200]]|| ||<:><-5><#8A2BE2>[[성운상/해외 장편 부문|{{{#FFFFFF '''해외 장편 부문'''}}}]]|| ||<:>'''제1회[br]([[1970년]])'''||<:>{{{+1 → }}}||<:>'''제2회[br]([[1971년]])'''||<:>{{{+1 → }}}||<:>'''제3회[br]([[1972년]])'''|| ||<:> [[제임스 G. 발라드]][br]《크리스털 세계》 || {{{+1 → }}} ||<:> '''[[마이클 크라이튼]][br]《안드로메다 스트레인》''' || {{{+1 → }}} ||<:> 로버트 실버버그[br]《Nightwings》 || ||<:><-5><#8A2BE2>|| == 개요 == 미국의 소설가 [[마이클 크라이튼]]의 [[1969년]]작 [[테크노 스릴러]] 소설. 외계에서 온 정체불명의 질병과 그것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5일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 서문에서부터 이 작품을 쓰는 데 도움이 된 인물들을 소개하면서 작 중 등장인물과 설정을 언급하는 등 마치 [[논픽션]]인 것처럼 쓴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는 [[1992년]] [[책마을]]과 [[명지사]]에서 각각 출판했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애리조나주]]의 피드먼트(Piedmont)라는 인구수 48명의 작은 산골마을 근처에 인공위성[* Scoop(숟갈)이라는 위성으로 지구 궤도권에서 물질을 수집하는 위성이다. [[생체병기]]로 쓸 새로운 미생물을 찾아내기 위해서 쏘아 올렸다]이 떨어지고 마을 주민 대부분이 원인불명의 죽음을 맞이한다. 위성을 회수하러 간 군인들마저 사망하자, 책임자인 맨체크 소령은 외계의 생물학적 위기에 대처하는 Wildfire[* 책마을판에서는 "들불", 명지사판에서는 "번개탄"으로 번역되었다] 계획의 멤버들을 소집한다. Wildfire의 리더인 제레미 스톤(Jeremy Stone) 박사와 외과의 마크 홀(Mark Hall) 박사는 [[화생방보호의]]를 입고 프드먼트로 위성을 회수하러 들어간다. 두 박사는 위성을 회수하면서 마을 사람들 대다수가 혈액이 응고되어 즉사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미쳐서 환각에 시달리다가 자살했음을 알게 된다. 위성을 회수한 박사들은 귀환하던 중 마을의 유이한 생존자들인 6개월 된 아기 제이미 리터(Jamie Ritter)와 노인 피터 잭슨(Peter Jackson)을 발견하고 데려간다. Wildfire의 나머지 멤버인 찰스 버튼(Charles Burton) 박사와 피터 레빗(Peter Leavitt) 박사는[* 한 명 더 있지만 그 사람은 [[맹장염]]으로 입원해서 소집되지 않았다] 차를 타고 미국 [[농무부]]의 사막 녹지화 연구소로 위장한 Wildfire 본부로 간다. 거기서 둘은 스톤, 홀과 합류하고 철저한 소독을 받으며 최하층으로 내려간다. 멤버들은 위성과 생존자들을 통해 정체불명의 질병을 연구한다. 연구 결과 이 질병의 [[병원체]]는 지구 외에서 유래됐으며, 공기를 통해 전염되고, 숙주가 죽으면 병원체도 사망하며, 크기는 바이러스보다 크고, [[아미노산]]도 [[RNA]]도 [[DNA]]도 없으며, 산소에 취약하고, 에너지를 흡수해서 증식하며 아무것도 배출하지 않는 데다가 빠른 속도로 변이를 일으키는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생명체임을 알게 된다. 이 병원체는 "[[안드로메다]]"라는 암호명을 지정받는다. 연구를 진행하던 중 실험실에서 안드로메다 병원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실험실은 폐쇄되었고, 그 안에 갇힌 버튼 박사를 살리기 위해 스톤과 홀은 실험실에 순 산소를 주입한다. 하지만 생존자들을 연구하던 홀은 그들이 살아남은 이유가 혈액의 산도가 정상치에서 벗어났기 때문임을 깨닫고[* 안드로메다 병원체는 아주 좁은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 범위 내에서만 생존할 수가 있다. 잭슨은 아스피린과 고체연료로 만든 술을 많이 먹어 혈액이 산성화 되어있었고, 리터는 하도 많이 울어 체내의 이산화탄소가 잔뜩 빠져나가 혈액이 알칼리화 되어있었다] 산소 공급을 차단한 다음 버튼에게 혈액을 알칼리화 시키기 위한 가쁜 호흡을 시킨다. 다행히도 안드로메다 병원체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쪽으로 변이를 일으켜 버튼은 살아남을 수 있었다. 하지만 변이된 안드로메다는 플라스틱을 부식시키는 성질을 가지게 되었고[* 앞부분에서 훈련 중인 전투기 한 대가 피드먼트 근처에서 플라스틱이 부식되어 추락하는데 이 부분이 복선이다] Wildfire 본부의 플라스틱과 합성 고무들을 부식시켰다. 그러자 병원체가 대규모로 유출되었다고 판단한 컴퓨터는 모든 시설을 폐쇄하고 핵 자폭장치를 가동시킨다. 에너지를 흡수하고 증식하는 안드로메다 병원체의 특징상 핵폭발이 발생하면 대규모로 증식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자폭을 중단시킬 열쇠를 가진 홀은[* 홀이 열쇠를 가진 이유는 그가 독신자이기 때문인데, 작중에서 독신 남성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다는 오드맨 가설(Odd-Man Hypothesis)이 나온다. 실제 존재하는 가설은 아니고 소설 속 창작이다] 비상통로를 통해서 실험동물 탈출을 대비한 독가스를 피해가며 겨우겨우 윗 층으로 올라가 자폭 저지 장치를 작동시킨다. 안드로메다 병원체는 산소가 희박한 대기권 상층부로 이동하는데, 에필로그에선 이 때문인지 유인우주선 안드로스 5호(Andros V)가 귀환 도중 파괴되었으며 유인우주선 계획들이 동결되었다고 나온다. == 영상화 == === 영화 === ||<:>
<-5>
<#8A2BE2>'''[[성운상|{{{#FFFFFF 역대 성운상 시상식}}}]]''' || ||<:><-5><#FFFFFF,#191919>[[파일:seiunprize.jpg|width=200]]|| ||<:><-5><#8A2BE2>[[성운상/미디어 부문|{{{#FFFFFF '''영화연극 부문'''}}}]]|| ||<:>'''제2회[br]([[1971년]])'''||<:>{{{+1 → }}}||<:>'''제3회[br]([[1972년]])'''||<:>{{{+1 → }}}||<:>'''제4회[br]([[1973년]])'''|| ||<:> [[UFO(드라마)|UFO]] || {{{+1 → }}} ||<:> '''안드로메다 스트레인''' || {{{+1 → }}} ||<:> [[시계태엽 오렌지]] || ||<:><-5><#8A2BE2>|| [youtube(YMbSpnlOOtE)] [[로버트 와이즈]] 감독의 [[1971년]] [[SF]] 영화. 전체적으로 원작의 줄거리를 그대로 따라가지만 군데군데 차이점이 있다. 독특한 화면 분활의 사용으로 유명하다. 헐리우드에서 특수효과의 장인인 [[더글라스 트럼불]]이 특수효과를 맡아서 [[1972년]] 제44회 [[아카데미 프로덕션 디자인상|아카데미 미술상]]과 편집상의 후보작이다. 또한, 제19회 [[휴고상]]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부문의 후보작이자, 제3회 [[성운상]] 영화연극 부문[* 현 "미디어 부문"] 수상작이다. === 미니 시리즈 === [youtube(Qj1XFZN0JzA)] [[2008년]] 미국 A&E에서 방송한 2부작[* 재방송에서는 4부작으로 재편집되었다고 한다] 미니 시리즈 드라마. 배경을 21세기 초반으로 옮겼으며 등장인물과 줄거리도 많이 변경되었다고 한다. == 기타 == 출판되자마자 대단한 인기를 끌었으며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내 번역판에서는 이 작품을 마이클 크라이튼의 첫 작품으로 소개하는데, 사실 그 이전에 가명으로 쓴 소설이 몇 편 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 13화 "[[이로울(신세기 에반게리온)|사도, 침입]]"은 이 작품을 오마주한 에피소드다. 1971년 제2회 일본 [[성운상]] 해외 장편 부문의 수상작이다. 50주년 기념으로 2019년 11월 12일 "안드로메다 에볼루션(The Andromeda Evolution)"이란 제목의 후속작이 출간되었다. 작가는 [[로보포칼립스]]를 쓴 [[대니얼 H. 윌슨]]. 제목의 “스트레인”(strain)은 “균주”, 즉 특정한 종류의 미생물이란 의미이다. 예를 들어 [[1968년 인플루엔자 범유행|홍콩 독감]]의 병원체는 H3N2라는 바이러스 스트레인이다. 하버드 의대를 졸업한 마이클 크라이튼의 작품답게 치밀한 과학적 설정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그는 소설 [[국제 첩보국]](The IPCRESS File)[* 렌 데이튼의 1962년작 스파이 소설. [[마이클 케인]]이 주연한 1965년작 영화도 있다. 소설과 영화 둘 다 고전이니, 스파이 스릴러를 좋아하며 아직 본 적이 없다면 꼭 보자.]을 읽고 “실제 사건, 인명, 과학 정보를 소설에 인용함으로써 몰입도를 높일 수 있구나”라고 생각해 이 작품을 3년에 걸쳐 집필했다 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류의 최종무기는 연구소를 통째로 날려버릴 핵폭탄 외에도 “만능 항생제”(universal antibiotic)가 있는데, 물론 작가의 상상의 산물이지만 많은 의학자들이 이 내용을 읽고 고개를 끄덕였다. 이 만능 항생제는 어느 제약회사가 개발한 물질로, 포유류 세포가 아닌 모든 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등)을 죽이는 놀라운 물질이다. 극 중에서 안드로메다가 누출되자 이에 감염된 과학자(버튼)가 자기한테 이 만능 항생제를 주사해달라고 요구하는데, 아무도 차마 그러질 못한다. 이는 이 항생제는 어떤 병원체보다도 무서운 물질이기 때문으로, 인체가 수천만년에 걸쳐 구축해온 미생물들과의 공존 체계를 완전히 붕괴시킴으로써(즉 인체 내에서 공생하는 수많은 정상 미생물들을 사멸시킴으로써) 그 빈 자리를 박차고 들어오는 새로운 미생물들에 인체를 무방비로 노출시킨다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임상시험에서 이 항생제를 투여받은 사람들은 항생제를 중단하고 며칠 내로 전원이 사망했으며, 여태까지 인체에 무해한 미생물이라 생각했던 온갖 세균, 원생동물, 정체도 모를 바이러스 등등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괴질을 일으키며 인체를 문자 그대로 녹여버렸다. 때문에 이 항생제는 한 번 맞으면 평생 맞아야 하며 끊는 순간 죽는 무서운 물질인 것(게다가 항생제는 그렇게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 즉 이걸 맞는다는 것은 사형 선고나 마찬가지). [[분류:미국 SF 소설]][[분류:스릴러 소설]][[분류:1969년 소설]][[분류:20세기 문학작품]][[분류:성운상 수상 소설]][[분류:성운상 수상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