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안산시)] [목차] == 개요 == 전국에서 학년당 학급수, 학급당 인원수가 많은 곳 중 하나다. 아직도 대부분의 중·고등학교들이 학년당 10개 반이 넘어가며, 18반까지인 경우도 꽤 있다.[* 초지고등학교 2009년도 신입생들의 반의 갯수가 '''20반이나''' 됐었다. --그 당시 초지고등학교가 미쳤는지 정원수를 900명 넘게 뽑은 것도 있다-- --결과는 130명 미달-- 2014년에도 거의 한 학년 당 16~18반 정도의 반 갯수를 유지했다.] 가뜩이나 반도 많은데 학급당 인원도 40명 내외일 정도로 많다. 보통 고등학교 한 학년이 500명대 후반에서 700명대 중반이다. 대개 인문계 고등학교는 문과반 인원수가 이과반의 인원수보다 다소 많은데, 그래서 문과반은 50명에 육박하기도 한다. 반면 이과반은 30명대.[* 일례로 2012학년도 고잔고등학교 3학년 문과반 중 한 반의 인원수가 '''47명'''이었다. 반대로 이과반 중 한 반의 인원수는 '''33명'''. 참고로 전체 반은 '''18반'''(!!!)까지 있었다. 3학년 전체 인원이 '''700명대 중반'''(...)이라는 수치를 자랑했다. 이건 다른 관내 고등학교도 대부분 마찬가지. 과거 비평준화 시절의 "경안고등학교"나 자사고 지정 이전에 탑을 먹었던 "동산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이과가 압도적으로 많아서 이와 정 반대였다. 과학고등학교 준비하던 학생들이 이 두 학교에 많이 들어가서 그런다는 이야기가 있다. 결국 이 고등학생들이 초등학생이었을 때에는 학교의 인원이 '''5,000명'''(...)에 육박했다는 소리가 된다.] 물론 출산율 감소로 초등학교는 이 정도로 많진 않다. 초등학교는 4~5학급에 학급당 20명대 후반에서 30명대 초반 정도다. 하지만 아직도 새로운 학교가 생기는 걸 보면 아동, 청소년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이긴 한가 보다. 그리고 타 지역과 구별되는 큰 특징이 있는데, 바로 '''모든 학교가 남녀공학'''이다. 한때 안산여자정보고등학교라는 유일한 여고가 있었지만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면서 남녀공학으로 전환돼서 안산시에 있는 모든 학교가 남녀공학이 되었다. == 초등학교 == 안산 전역에 분교를 포함하여 총 52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많아 보이지만 아동인구 대비 초등학교 숫자가 상당히 적어 학교당 수용인원이 폭발할 지경. 그러나 요즘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 중학교 == [include(틀: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의 중학교)] [include(틀: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의 중학교)] == 고등학교 == [include(틀: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의 고등학교)] 안산시내 고등학교는 [[남고]]와 [[여고]]가 단 한 곳도 없으며 모두 다 [[남녀공학]]이다. 경기도에서 비평준화 고교 입시지역이었는데, 2002년에 고양, 성남, 수원, 부천 그리고 안양 등이 평준화 되는 와중에도 비평준화 체제를 유지했다.[* 이 때문에 경기도 내 평준화 지역의 우수학생들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었다.] 비평준화 시절에 학생들을 제일 많이 끌어들인 두 학교가 [[안산동산고등학교|동산고]]와 [[경안고등학교(경기)|경안고]]였고, 2003년 이후에는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가 경안고의 입지를 빼앗으며 급부상했다. 그렇긴 하지만 보통은 동산고는 2004년도 까지는 인근 광명의 진성고와 경쟁 관계였고 그 이후에는 특목고를 주로 준비하던 학생들이 입학한 관계로 경안고나 강서고 등 안산 내의 주요 고등학교와는 큰 경쟁관계는 없었다. 2012년을 시행 목표로 삼아 고교 평준화 추진을 시작하였으며, [[의정부시]], [[광명시]],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와 동시에 2013학년도부터 [[고등학교 평준화 제도]] 도입이 확정되었다. 대부고와 동산고를 제외한 모든 고등학교를 동부와 서부 학군으로 나누어, 동일학군 출신 중학생 50%, 나머지 50% 순으로 추첨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 일반계 === * [[경안고등학교(경기)|경안고등학교]] * [[고잔고등학교]] * [[안산광덕고등학교|광덕고등학교]] * [[단원고등학교]]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2014년 세월호 사건]]으로 유명한 곳. * 대부고등학교 : [[특수지 고등학교]] * [[부곡고등학교]] * [[상록고등학교]] * [[선부고등학교]] * [[성안고등학교]] * [[성포고등학교]] * [[송호고등학교]] * [[신길고등학교]] * [[안산강서고등학교]] * [[안산고등학교]] * [[양지고등학교]] * [[원곡고등학교]] * [[초지고등학교]] === 자율형 사립고 === * [[안산동산고등학교]](본오동) === 특성화고 === *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팔곡동) : 보통 모바일이라고 부른다.--반월정보산업고등학교라고 부르던데.-- *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선부동) * 대부고등학교(대부동) : 대부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상업계가 함께있는 종합고등학교다. * [[안산공업고등학교]]([[부곡동(안산)|부곡동]]) *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장상동) : 줄여서 국비라고들 많이 부른다. *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본오동]]) : 옛 안산여상->안산여정.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와동) == 고등교육 == [include(틀:안산시의 대학)] * 4년제 대학교 * [[한양대학교/ERICA|한양대학교 ERICA]] : 안산시의 유일한 4년제 [[종합대학]]이다. * 전문대학 * [[서울예술대학교]] : [[남산(서울)|남산]](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에서 안산시로 이전(2001년)한 [[예술대학]]으로 수많은 대중문화 예술인을 배출한 명문 예술사학이다. 단원구 고잔동(예술대학로 171) 소재하고 있으며, 서울남산캠퍼스는 예술창작중심, 안산캠퍼스는 예술교육중심을 목적으로 [[이원화캠퍼스|이원화]]로 운영하고 있다. * [[신안산대학교]] : 2011년 5월 안산공과대학에서 신안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는데 안산주민들은 '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자 4년제 대학교로 승급을 한 줄로 착각하고 있다(...). * [[안산대학교]] : 2011년 5월 안산1대학에서 안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는데 안산주민들은 '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자 4년제 대학교로 승급을 한 줄로 착각하고 있다(...). * 평생교육기관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안산캠퍼스 : 서울 등에 캠퍼스를 가지고 있는 사이버대학이다. 주민들도 어디있는지 모른다고 하더라. 게다가 2001년에 정규 4년제 학사과정을 따내자마자 서울예대가 안산으로 이사와서(...)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안산시학습관 [[분류:안산시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