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성시의 버스)] [목차] == 개요 == 3번대 노선은 [[안성시]] 일죽면 지역을 위한 노선이나, 실질적으론 일죽면과 죽산면을 공유하고 있다. 이는 애당초 일죽과 죽산이 지금은 공도읍에 많이 밀리는 추세지만,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쭉 '''일죽, 죽산, 삼죽'''으로 불려왔고 이 지역이 전통적인 곡창지대인데다가 이천 장호원으로 향하는 교통 요충지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노선이 [[현대 카운티]]로 운행한다. 덕분에 [[백성운수]]의 전통적인 효자 노선인 장호원행 노선들도 [[안성 버스 37|37번]], [[안성 버스 370|370번]], [[안성 버스 380|380번]]처럼 앞자리에 '''3'''이 붙어 있다. == 노선 목록 == === 3번 === [include(틀:경기도 외부 진출 경기도 시내버스)] || [[파일:attachment/안성 버스 3/3.jpg|width=100%]] || [[파일:안성3.jpg|width=100%]]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번.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삼성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07:30 || || 막차 || 20:00 || 막차 || 20:3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12회 || ||<-2> 노선 ||<-4> 일죽터미널 - 일죽중.고교(후문) - 장암리 - 광천마을 - 태봉 - 매산사입구 - 보릿고개 - 온양터 - 대사리 - 썬밸리CC - 양덕2리 - 양덕3리 - 삼성시장 - 삼성터미널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routeId=231000072|전체 정류장 목록]]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일죽터미널과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삼성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화봉리, 대사리, 양덕리를 경유한다. 경기도 시내버스 중 [[비수도권]]으로 넘어가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 사실 [[안성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음성군을 갈 수 있는 시외버스가 없고, 이는 근처 [[평택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안성과 평택 지역에서 음성군으로 가려면 일죽터미널에서 이 버스를 타고 삼성으로 가는 것이 유일하다. 과거에는 위 사진과 같이 [[BS090]] 1대로 운행 중이었으나 현재는 [[현대 카운티]]가 투입되어 운행 중이다. 일죽터미널에 천장이 없어서 놔둔 나머지 뒷문에 시뻘겋게 녹이 슬어버리는 바람에 차량 상태가 거의 폐차에 가까운 상태라서 바꿨다고 한다. --지방터미널의 비애-- 도 경계를 넘어가지만 일죽과 삼성간 거리는 멀지 않아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한동안 서울 - 부산 시내버스 여행의 새로운 루트로 일죽 경유가 개척되면서 상주로 넘어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괴산군 농어촌버스 개편으로 인해 불가능해졌다. ||<-3> 안성 버스 3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일죽 || 삼성 || || 1 || 07:00 || 07:30 || || 2 || 08:00 || 08:30 || || 3 || 09:40 || 10:00 || || 4 || 11:00 || 11:30 || || 5 || 12:20 || 12:50 || || 6 || 13:30 || 14:00 || || 7 || 14:30 || 15:00 || || 8 || 15:50 || 16:20 || || 9 || 16:50 || 17:10 || || 10 || 17:40 || 18:10 || || 11 || 18:50 || 19:20 || || 12 || 20:00 || 20:30 || === 3-1번 === [[파일:안성3-1.jpg]]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1번.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죽산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장능리(하장경로당) || ||<|2> 종점행 || 첫차 || 07:40 ||<|2> 기점행 || 첫차 || 07:55 || || 막차 || 17:50 || 막차 || 18:1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 죽산터미널 - 죽산시장 - 두원대입구 - 죽산삼거리 - 하삼 - 상삼 - 두평리 - 능북리 - 하장경로당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1&routeId=231000062|전체 정류장 목록]]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장능리 하장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두현리, 능북리를 경유한다. 본래 능북리까지만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2017년 쯤 능북에서 하장을 거쳐 천계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이후 연장되었다. 1회차는 17번 차량이 지원운행한다. ||<-3> 안성 버스 3-1번 시간표[br]2023년 7월 3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죽산터미널 || 하장경로당 || || 1 || 07:40 || 07:55 || || 2 || 17:50 || 18:10 || === 3-2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2번.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죽산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산직.칠장사)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6:45 || || 막차 || 18:30 || 막차 || 18:55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 죽산터미널 - 죽산시장 - 서부 - 두원대입구 - 죽산삼거리 - 열원 - 천계리 - 신정목장 - 중동 - 안성골프장 - 칠장사입구 - 한겨레중.고교 - 극락 - 신대 - 산직.칠장사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2&routeId=231000061|전체 정류장 목록]]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칠장리 [[칠장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장계리, 한겨례중고등학교를 경유한다. 한겨례중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학생과 인근 칠장산과 덕성산으로 산행하는 이용객이 주로 이용한다. ||<-3> 안성 버스 3-2번 시간표[br]2023년 7월 3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죽산터미널 || 칠장사 || || 1 || 06:30 || 06:45 || || 2 || 09:30 || 09:55 || || 3 || 13:00 || 13:40 || || 4 || 18:30 || 18:55 || === 3-3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3번.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죽산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배태리(덕산낚시터) || ||<|2> 종점행 || 첫차 || 07:30 ||<|2> 기점행 || 첫차 || 07:40 || || 막차 || 20:00 || 막차 || 20:15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3회 || ||<-2> 노선 ||<-4> 죽산터미널 - 죽산시장 - 서부 - 두원대입구 - 죽산삼거리 - 하삼 - 상삼 - (→ 두평리 → 용두리 → 아펙스디아 → 용월지방산업단지 →/← 두현상회 ← 상장 ← 하장 ← 용월리 ← 외토 ←) - 삼죽 - 삼죽노인회관 - 아가월드 - 덕산낚시터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3&routeId=231000064|전체 정류장 목록]]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삼죽면 배태리 덕산낚시터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두현리, 삼죽면소재지(내강리)를 경유한다. 배태리 방면은 용월산단을 거쳐서 삼죽으로 운행하고 죽산 방면은 내장리로 돌아서 간다. ||<-4> 안성 버스 3-3번 시간표[br]2021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죽산터미널 || 배태리 || 비고 || || 1 || 07:30 || 07:40 ||<|3> 배태리 방면 용월산단 경유[br]죽산 방면 내장리 경유 || || 2 || 16:30 || 16:45 || || 3 || 20:00 || 20:15 || === 3-4번 === [[파일:external/blogfiles8.naver.net/sn203631_shindo5.jpg|type=w2]]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4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죽산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용설리(거곡)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07:15 || || 막차 || 19:20 || 막차 || 19:35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3회 || ||<-2> 노선 ||<-4> 죽산터미널 → 내리 → 남산 → 장암리입구 → 용설교 → 당리 → 당북리 → 한실 → 용설리 → 거곡마을회관 → 거곡 → 거곡마을회관 → 한실노인회관 → 설동 → 공연장 → 용설교 → 장암리입구 → 용설1교 → 남산 → 내동 → 장자터 → 두원대후문 → 열원마을 → 열원 → 죽산삼거리 → 두원대입구 → 서부 → 죽산시장 → 죽산터미널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4&routeId=231000065|전체 정류장 목록]]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용설리 거곡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거곡 방면은 용설저수지 서쪽 당북마을을 거쳐서 운행하고 죽산 방면은 용설저수지 동쪽 설동마을을 거친 후 장원산단, 열원마을로 돌아서 죽산으로 운행한다. 장암리입구 정류장에서 장암로 도로 따라 약 800m 정도 걸어가면 [[안성 버스 3-11|3-11번]] 종점인 죽림리.종배 정류장으로 갈 수 있다. ||<-6> 안성 버스 3-4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죽산 || 거곡 || 비고 || || 1 || 07:00 || 07:15 ||<|3> 거곡 방면 당북 경유[br]죽산 방면 설동, 열원 경유 || || 2 || 14:00 || 14:20 || || 3 || 19:20 || 19:35 || === 3-5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5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죽산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8:30 ||<|2> 기점행 || 첫차 || 09:00 || || 막차 || 15:45 || 막차 || 14:3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 죽산터미널 - 미륵당 - 매산리 - 한평 - 거운마을 - 고목 - 은석 - 고은리(U턴) - 은석 - 고목 - 주평 - 거운리 - 죽화초교 - 평촌 - 일죽터미널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5&routeId=231000067|전체 정류장 목록]]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은석리와 죽화초등학교를 거쳐 일죽시외버스터미널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매산리, 방초리를 경유한다. 은석리 구간은 방초산단이 있는 고은리까지 들어갔다가 회차한다. 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12시 20분에 출발한 차량은 일죽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 후 기사님이 식사 및 휴식 후 14시 30분에 출발하기 때문에 중간에 시간 공백이 발생한다. 죽산시외버스터미널 한정으로 은석리 방면으로 갈 때 대체노선으로 [[이천 버스 26-1|26-1번]]이 있다. ||<-8> 안성 버스 3-5번 시간표[br]2023년 7월 3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죽산 || 은석리 || 죽화초교 || 일죽 || 죽화초교 || 은석리 || 죽산 || || 1 || 08:30 || 08:40 || 경유 || 09:00 || 경유 || 09:15 || 도착 || || 2 || 12:20 || 12:35 || 경유 || 14:30 || 경유 || 14:40 || 도착 || === 3-7번 === [[파일:안성3-7.jpg]]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7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산북리(산북리) || ||<|2> 종점행 || 첫차 || 07:10 ||<|2> 기점행 || 첫차 || 07:20 || || 막차 || 18:50 || 막차 || 19:0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3회 || ||<-2> 노선 ||<-4> 일죽터미널 - 일죽초교 - 주천리 - 산북리마을회관 - 산북리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7&routeId=231000068|전체 정류장 목록]] 일죽시외버스터미널에서 산북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산북리에서 조금만 앞으로 가면 이천시 율면이긴 하나, 버스가 운행하는 본두리까지 약 2.5km를 가야 하고, 또한 본두리로 운행하는 [[이천 버스 27-1|27-1번]]이 하루 2회밖에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연계는 불가능하다. ||<-3> 안성 버스 3-7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일죽 || 산북리 || || 1 || 07:10 || 07:20 || || 2 || 13:00 || 13:10 || || 3 || 18:50 || 19:00 || === 3-8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8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 ||<|2> 일죽 출발 || 첫차 || 07:30 ||<|2> 두문, 노동, 덕현 출발 || 첫차 || 07:50 || || 막차 || 17:30 || 막차 || 17:5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3회 || ||<-2> 노선 ||<-4> 일죽터미널 → 능곡삼거리 → 지내마을회관 → 노동마을회관 → 덕현입구 → 신흥리 → 대죽4리입구 → 선유 → 지내 → 두문 → 우곡마을 → 죽화교 → 평촌 → 일죽터미널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8&routeId=231000069|전체 정류장 목록]] 일죽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해 능국삼거리, 신흥리(지내), 능국리(노동), 대죽4리, 신흥리(선유), 화곡리 순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노선이다. 중간에 이천시 관내 정류소를 한 군데(대죽4리입구) 들른다. 시간표 상 회차지점은 대죽4리입구이다. ||<-3> 안성 버스 3-8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일죽 || 대죽4리 || || 1 || 07:30 || 07:50 || || 2 || 13:50 || 14:10 || || 3 || 17:30 || 17:50 || === 3-9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9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율동) || ||<|2> 종점행 || 첫차 || 06:40 ||<|2> 기점행 || 첫차 || 06:55 || || 막차 || 18:10 || 막차 || 18:2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 일죽터미널 - 일죽중.고교(후문) - 장암리 - 포도마을 - 금옥동 - 하산리 - 율동입구 - 율동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9&routeId=231000070|전체 정류장 목록]] 일죽시외버스터미널에서 금산리 율동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장암리, 금옥동을 경유한다. ||<-3> 안성 버스 3-9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일죽 || 율동리 || || 1 || 06:40 || 06:55 || || 2 || 09:10 || 09:20 || || 3 || 13:20 || 13:30 || || 4 || 18:10 || 18:20 || === 3-11번 === ||<-6> [[파일:안성시 CI_White.png|width=25]]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11번 || ||<-2> 기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죽림리(죽림리.종배) || ||<|2> 종점행 || 첫차 || 08:30 ||<|2> 기점행 || 첫차 || 08:45 || || 막차 || 19:30 || 막차 || 19:40 || ||<-2> 운수사명 || [[백성운수]]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 일죽터미널 - 일죽중.고교(후문) - 장암리 - 죽림리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3-11&routeId=231000071|전체 정류장 목록]] 일죽시외버스터미널에서 죽림리 종배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장암리를 경유한다. 죽림리.종배 정류장에서 장암로 도로 따라 약 800m 정도 걸어가면 [[안성 버스 3-4|3-4번]]이 정차하는 장암리입구 정류장으로 갈 수 있다. ||<-3> 안성 버스 3-11번 시간표[br]2023년 1월 1일 기준 / [[https://www.anseong.go.kr/depart/contents.do?mId=0303010000|출처]] || || 횟수 || 일죽 || 장암리 || || 1 || 08:30 || 08:45 || || 2 || 19:30 || 19:40 ||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안성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