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남도의 시군)] {{{+1 安岳郡 / Anak County / [[아사달]] ([[고유어/지명]])}}} ||<-2> {{{+2 안악군}}} [br] 安岳郡 / Anak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851㎢ || || 광역시도 || [[황해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읍 8면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황해남도 안악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안악군(安岳郡)은 [[북한]] [[황해남도]] 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재령군]], [[황해북도]] [[봉산군]], [[황주군]], 서쪽으로 [[은률군]]과 [[삼천군]], 남쪽으로 [[신천군]], 북쪽으로 [[은천군]]과 접해 있는 군이다. == 역사 == 대방군(帶方郡) 함자현(含資縣)이었고 고구려 시대에는 [[아사달]]이라고 불렸다. 안악 1,2,[[안악 3호분|3호]] 고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던 곳으로 보인다. 안타깝게도 이들 고분은 완전히 도굴당하여 유골과 부장품이 없는 관계로 주인을 알 수 없다. 주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미천왕]]과 [[고국원왕]] 항목 참조.[* 다만 남한학계에서는 3호분의 경우 [[동수]]의 묘로 거의 확실시하는 분위기이다. 애초에 딴거 떠나서 국내성에서 500km 떨어진, 그것도 갓 확보한 영토인 안악에다 왕릉을 지을 이유가 없다. [[조선]]으로 치면 [[조선왕릉]]을 함경북도에다 설치한거나 마찬가지다...] [[통일신라]]에서 [[한산주]]에 소속시키고 고을 이름을 양악(楊岳)이라 이름붙였다.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황해도]] 안악군이 되었다. 구한말에는 신문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진취적인 고장으로, 도산 [[안창호]]는 "우리 강토 13도마다 안악 같은 고을이 하나씩만 생겨도 이 나라의 문명은 10년 안에 일본을 따라잡게 될 것"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그러나 1911년 안악 사건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광복 후 국토가 분단되면서 북한 땅이 되었다. 1952년에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북부 5면(은홍면, 대행면, 서하면, 안곡면, 용문면)을 분리해 [[은천군]]을 신설한 대신, [[신천군]]의 북부 3면(용진면, 산천면, 노월면)을 편입하면서 군 자체가 남쪽으로 이동한 모양새가 되었다. [[치하포 사건]]의 무대라고 한다. == 교통 == 도로는 [[51번 국도]](대한민국 기준)가 지나간다. 하지만 다리가 없어 대행면[*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안악군이 아닌 [[은천군]]] [[대동강]]가에서 [[남포시]]로 가는 51번 국도 구간이 끊겨 있다. 산지대 고장이 아닌데도 '''철도가 없다.''' 광복 당시의 황해도 17군 가운데 철도가 지나지 않는 3군 가운데 하나이다. 나머지 두 곳은 산중삼읍으로 불리는 산간지역인 [[수안군]]과 [[곡산군]]. 그나마 도로망은 [[태탄군]]이나 [[룡연군]]보다는 훨씬 낫다. == 지리 == 평야가 많은 편이다. 유명한 산으로는 [[은율군]]과의 경계에 있는 [[구월산]]이 있다. 안악읍 북쪽에는 양산(陽山, 379m), 남쪽에는 남산(176m)이 있다. 광복 당시 군의 북쪽은 [[대동강]]을 끼고 평안남도와 접했으나, 지금은 은천군에 내어주었다. == 출신 인물 == 구한말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지역이기도 하다. * [[고시복]] * [[노종균]] * [[문용주(1933)]] * [[박덕영]] * [[신현확]] * [[안무혁]] * [[오면직]] * [[이연호]] * [[정봉욱]] * [[정하연]]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안악군기.png|width=50%]] || [[파일:안악군.jpg|width=100%]] || * '''안악읍'''(安岳邑) * 관할 리: __비석(碑石)__, 남암(南巖), 남정(南井), 사현(沙峴), 서산(瑞山), 소천(小川), 수삼(壽三), 신장(新長), 어은(漁隱), 연곡(燃谷), 용석(龍石), 유성(柳城), 차신(車新), 판오(板五), 판육(板六), 판칠(板七), 판팔(板八), 평정(坪井), 해창(海倉), 훈련(訓鍊) * 비석리에 읍사무소, 소천리에 군청이 있었다. 읍의 진산인 양산(楊山, 379m)에는 1258년 창건된 [[http://www.mediabuddha.net/news/view.php?number=11909|고정사]](高井寺)가 있다. 또 읍 서남쪽에는 남산(176m)이 있다. * '''대원면'''(大遠面) * 관할 리: __덕산(德山)__, 가양(可陽), 굴륭(屈隆), 당오(堂梧), 당전(堂田), 망암(望巖), 복사(伏獅), 봉성(鳳城), 상산(上山), 송산(松山), 엄곶(嚴串), 원룡(元龍), 월암(月巖), 하금(下金) * 안악읍에서 [[재령]] 가는 길에 있다. 재령군 북률·남률·서호면과는 서강(西江)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100m대 중반의 높이를 지닌 월호산(月扈山)과 월암산(月巖山)을 제외하면 대부분 재령평야 지대이며, 상산리에 [[고구려 고분군]] 중 하나인 안악 1, 2호분이 있다. * '''대행면'''(大杏面) * 관할 리: __한봉(鷳峰)__, 광풍(光楓), 굴산(屈山), 생근(生芹), 석운(石雲), 송당(松堂), 월촌(月村), 저도(猪島)[* 원래는 말 그대로 섬이었으나, 1930년대 초에 간척되어 육지화됐다.], 적둔(滴屯), 창운(倉雲), 추산(楸山), 풍곡(楓谷) * 북쪽으로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평남]] [[남포시]]가 있다. 광복 당시까지도 다리를 지을 기술력이 없어 남포로 가는 [[51번 국도]]는 이 곳 저도리에서 중간에 끊겨 있다. * 면 남쪽 산지에는 월촌저수지, 운봉저수지가 있다. 운봉저수지는 은홍면과의 사이에 있다. * '''문산면'''(文山面) * 관할 리: __금강(金岡)__, 감문(甘門), 상당(上堂), 송간(松間), 신당(新唐), 신촌(新村), 안랑(安浪), 원성(遠城), 유성(楡城) * '''서하면'''(西河面) * 관할 리: __초정(椒井)__, 덕일(德日), 매천(梅泉), 복두(卜頭), 상보(上保), 상요(上要), 상촌(上村), 신장(新長), 중기(中基), 중도(中島) * 가후산(家後山, 48m)은 본 면과 안악군 최북단 지역으로, [[평남]] [[남포시]] 시가지와는 [[대동강]]을 1.8km 정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 초정리에 16세기부터 알려진 초정약수(안악초정)가 있다. * '''안곡면'''(安谷面) * 관할 리: __학포(鶴浦)__, 금정(金亭), 낙암(洛巖), 당석(堂石), 동양(東陽), 동파(東波), 만월(萬月), 봉곡(鳳谷), 북삼(北三), 상룡(上龍), 상사(上寺), 신덕(新德), 용천(龍泉), 장월(長月), 제중(濟中), 중하(中下), 학산(鶴山) * 북쪽은 [[대동강]]으로 평남 [[용강군]] 다미면과 접하고, 동쪽은 [[재령강]]으로 황주군 청룡면과 접한다. 명승지로 구절벽(九折壁)이 있고, 제중리에는 한식에 [[최영]]을 제사지내는 제량당(濟良堂)이 있으나 현황은 미상이다. * '''용문면'''(龍門面) * 관할 리: __동창(東倉)__, 덕학(德鶴), 매화(玫花)[* [[가톨릭]] 신앙촌이었다. 위 지도도 그렇고 문헌에 따라 민화(玟花)라고도 잘못 적혀 있는데 이는 옥돌 민('''玟''')과 매괴 매('''玫''')가 매우 비슷한데서 오는 착오로, [[충북]] [[음성군]] [[감곡 매괴 성모순례지]]의 매괴(玫瑰)와 같은 한자다. [[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928&keyword=%EB%A7%A4%ED%99%94%EB%8F%99%EB%B3%B8%EB%8B%B9&gubun=01|가톨릭대사전]]이나 [[http://m.cpbc.co.kr/m/paper/view.php?cid=615128&path=201601|가톨릭계 언론]]도 이 곳에 있는 본당 이름을 매화동본당(玫花洞本堂)이라 적고 있다. 아무튼 이 이름은 [[묵주]]('매괴'가 묵주의 옛말이다)에서 유래한 것[[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928&gubun=01|#]]이고, 황해도 최초의 본당이 1896년에 일개 마을인 이 곳에 세워졌을 정도.], 상덕(上德), 상무(上茂), 석양(石陽), 송곡(松谷), 신오(新梧), 용운(龍雲) * '''용순면'''(龍順面) * 관할 리: __유설(柳雪)__, 가정(柯亭), 노암(路巖), 신곡(新谷), 신율(新栗), 옥정(玉井), 유순(兪順), 장산(長山) * 안악읍과 접한 북쪽 지대를 제외하면 전 지역이 재령평야 지대이다. 유순리에 [[안악 3호분]]이 있다. * '''은홍면'''(銀紅面) * 관할 리: __온정(溫井)__, 광석(廣石), 내평(內坪), 두양(斗陽), 매석(梅石), 보광(寶光), 상홍(上紅), 신창(新倉), 약봉(藥烽), 용덕(龍德), 운봉(雲鳳), 원봉(院鳳), 청천(淸川), 학산(鶴山) * 온정리에는 이름에 걸맞게 안악[[온천]]이 있는데 수온이 80도에 이른다. 북한 행정구역상 [[은천군]] 소재지. * 동북단 운봉저수지는 대행면과의 사이에 있다. [[분류:황해남도]]